성태의 닷넷 이야기
홈 주인
모아 놓은 자료
프로그래밍
질문/답변
사용자 관리
사용자
메뉴
아티클
외부 아티클
유용한 코드
온라인 기능
MathJax 입력기
최근 덧글
[정성태] 32비트 값을 64비트 레지스터에 넣을 때, 상위 32비트에 대...
[정성태] 본문에서 상위 8바이트의 16비트가 사용되지 않는 것을 볼 수 ...
[정성태] 한 번도 궁금한 적이 없었는데, If I mark my t...
[정성태] 그냥 RSS Reader 기능과 약간의 UI 편의성 때문에 사용...
[이종효] 오래된 소프트웨어는 보안 위협이 되기도 합니다. 혹시 어떤 기능...
[정성태] @Keystroke IEEE의 문서를 소개해 주시다니... +_...
[손민수 (Keystroke)] 괜히 듀얼채널 구성할 때 한번에 같은 제품 사라고 하는 것이 아...
[정성태] 전각(Full-width)/반각(Half-width) 기능을 토...
[정성태] Vector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Vector가 닷넷 BCL...
[orion] 글 읽고 찾아보니 디자인 타임에는 InitializeCompon...
글쓰기
제목
이름
암호
전자우편
HTML
홈페이지
유형
제니퍼 .NET
닷넷
COM 개체 관련
스크립트
VC++
VS.NET IDE
Windows
Team Foundation Server
디버깅 기술
오류 유형
개발 환경 구성
웹
기타
Linux
Java
DDK
Math
Phone
Graphics
사물인터넷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내용
<div style='display: inline'> <h1 style='font-family: Malgun Gothic, Consolas; font-size: 20pt; color: #006699; 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어느 순간부터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예외가 발생한다면?</h1> <p> 고객사 컴퓨터에서 이벤트 로그에 다음과 같은 로그가 남는다고 합니다.<br /> <br /> <pre style='margin: 10px 0px 10px 10px; padding: 10px 0px 10px 10px; background-color: #fbedbb; overflow: auto; font-family: Consolas, Verdana;' > 응용 프로그램:tzsync.exe Framework 버전:v4.0.30319 설명: 처리되지 않은 예외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습니다. 스택: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위치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SchemaErrors.ThrowIfErrors(Boolean) 위치 System.Configuration.BaseConfigurationRecord.ThrowIfParseErrors(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SchemaErrors) 위치 System.Configuration.ClientConfigurationSystem.EnsureInit(System.String) 예외 정보: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위치 System.Configuration.ClientConfigurationSystem.EnsureInit(System.String) 위치 System.Configuration.ClientConfigurationSystem.PrepareClientConfigSystem(System.String) 위치 System.Configuration.ClientConfigurationSystem.System.Configuration.Internal.IInternalConfigSystem.GetSection(System.String) 위치 System.Configuration.PrivilegedConfigurationManager.GetSection(System.String) 위치 System.Diagnostics.DiagnosticsConfiguration.Initialize() 위치 System.Diagnostics.DiagnosticsConfiguration.get_IndentSize() 위치 System.Diagnostics.TraceInternal.InitializeSettings() 위치 System.Diagnostics.TraceInternal.TraceEvent(System.Diagnostics.TraceEventType, Int32, System.String, System.Object[]) 위치 TimeZoneSyncTask.Program.Main(System.String[]) </pre> <br /> <pre style='margin: 10px 0px 10px 10px; padding: 10px 0px 10px 10px; background-color: #fbedbb; overflow: auto; font-family: Consolas, Verdana;' > 응용 프로그램:ServerManager.exe Framework 버전:v4.0.30319 설명: 처리되지 않은 예외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었습니다. 예외 정보: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위치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SchemaErrors.ThrowIfErrors(Boolean) 위치 System.Configuration.BaseConfigurationRecord.ThrowIfParseErrors(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SchemaErrors) 위치 System.Configuration.ClientConfigurationSystem.EnsureInit(System.String) 예외 정보: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ErrorsException 위치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PrepareConfigSystem() 위치 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Manager.RefreshSection(System.String) 위치 System.Configuration.ClientSettingsStore.ReadSettings(System.String, Boolean) 위치 System.Configuration.LocalFileSettingsProvider.GetPropertyValues(System.Configuration.SettingsContext, System.Configuration.SettingsPropertyCollection) 위치 System.Configuration.SettingsBase.GetPropertiesFromProvider(System.Configuration.SettingsProvider) 위치 System.Configuration.SettingsBase.GetPropertyValueByName(System.String) 위치 System.Configuration.SettingsBase.get_Item(System.String) 위치 System.Configuration.ApplicationSettingsBase.GetPropertyValue(System.String) 위치 System.Configuration.ApplicationSettingsBase.get_Item(System.String) 위치 Microsoft.Management.UI.Persistence.OnDefaultSettingsChanged() 위치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AppLoader.InitializeSettingsCompleted(System.Object,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Common.InitCompletedEventArgs) 위치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Common.Bootstrapper.OnEndInitializeSettings(System.Exception) 위치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Common.Bootstrapper.InitializeSettings() 위치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Common.Bootstrapper.Start(Microsoft.Windows.ServerManager.Common.ApplicationContext) 위치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AppLoader.Load(Microsoft.Windows.ServerManager.Common.ArgumentsProcessor) 위치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SingleInstanceAppLauncher.StartApplication(Microsoft.Windows.ServerManager.Common.ArgumentsProcessor) 위치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MainApplication.Main(System.String[]) </pre> <br /> 보는 바와 같이 특이하게, c:\windows\system32에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것도 저런 오류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br /> <br /> 사실, 이런 경우 비정상적인 [exe_name].exe.config 파일의 내용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위와 같이 다수의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문제가 되는 상황이라면 machine.config의 설정에,<br /> <br /> <pre style='margin: 10px 0px 10px 10px; padding: 10px 0px 10px 10px; background-color: #fbedbb; overflow: auto; font-family: Consolas, Verdana;' >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2.0.50727\CONFIG\machine.config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CONFIG\machine.config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CONFIG\machine.config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ONFIG\machine.config </pre> <br />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저 파일을 정상적으로 복원해 주면 되는데 꼼꼼하게 machine.config을 분석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그냥 기존의 시스템에 있는 default 파일로 덮어 써주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br /> <br /> 즉, 위의 경우 .NET 4.0 + 64비트 응용 프로그램들이 오동작하는 것이므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cmd.exe에서 이렇게 덮어쓰면 됩니다.<br /> <br /> <pre style='margin: 10px 0px 10px 10px; padding: 10px 0px 10px 10px; background-color: #fbedbb; overflow: auto; font-family: Consolas, Verdana;' > c:\> <span style='color: blue; font-weight: bold'>copy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ONFIG\machine.config.default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ONFIG\machine.config</span> </pre> <br /> 그런데 저렇게 default 파일로 덮어쓰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이 있을까요? 개인적으로 닷넷 개발자 입장에서, machine.config을 수정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지만 만약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서 machine.config을 변경하는 작업을 했다면 저렇게 작업을 한 이후부터는 그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이 이전같지 않을 수는 있습니다.<br /> </p><br /> <br /><hr /><span style='color: Maroon'>[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span> </div>
첨부파일
스팸 방지용 인증 번호
4015
(왼쪽의 숫자를 입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