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Process의 I/O 사용량을 보여주는 GetProcessIoCounters Win32 API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길래,

c#에서 현재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인터넷사용량 측정이 가능한가요?
; https://www.sysnet.pe.kr/3/0/5670

혹시나 싶어 검색하다가 GetProcessIoCounters API를 알게 되었습니다.

GetProcessIoCounters function (winbase.h)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base/nf-winbase-getprocessiocounters

C#에서의 사용은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는데요,

public struct IO_COUNTERS
{
    public ulong ReadOperationCount;
    public ulong WriteOperationCount;
    public ulong OtherOperationCount;
    public ulong ReadTransferCount;
    public ulong WriteTransferCount;
    public ulong OtherTransferCount;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return $"# of read op: {ReadOperationCount}, # of write op: {WriteOperationCount}, # of other op: {OtherOperationCount} # of read-bytes: {ReadTransferCount}, # of write-bytes: {WriteTransferCount}, # of other-bytes: {OtherTransferCount}";
    }
}

internal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public static extern bool GetProcessIoCounters(IntPtr hProcess, out IO_COUNTERS lpIoCounters);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Ptr handle = Process.GetCurrentProcess().Handle;
        GetProcessIoCounters(handle, out IO_COUNTERS counters);
        Console.WriteLine($"{counters}");
    }
}

/*
# of read op: 34, # of write op: 0, # of other op: 223 # of read-bytes: 89617, # of write-bytes: 0, # of other-bytes: 5390
*/

"all I/O operations"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에는 Console I/O도 포함이 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출력해 보면,

GetProcessIoCounters(handle, out IO_COUNTERS counters);
ulong oldWritten = counters.WriteTransferCount;

Console.WriteLine("Hello World!");

GetProcessIoCounters(handle, out counters);
Console.WriteLine(counters.WriteTransferCount - oldWritten);

// 출력 결과: 14

하필 저 순간에 디스크 I/O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정확히 14가 나옵니다. 왜냐하면 "Hello World!" 12 바이트와 "\r\n" 2바이트를 합쳐 14바이트를 Console.WriteLine으로 출력했기 때문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Network I/O에도 이것이 적용되는 듯합니다. 대신 OtherTransferCount로 측정이 되는데요,

GetProcessIoCounters(handle, out IO_COUNTERS counters);
ulong oldWritten = counters.OtherTransferCount;

WebClient wc = new WebClient();
string text = wc.DownloadString("https://www.naver.com");

GetProcessIoCounters(handle, out counters);
Console.WriteLine(counters.OtherTransferCount - oldWritten);
Console.WriteLine($"text.length == {text.Length}");

/* 출력 결과
157880
text.length == 162914
*/

하지만, 이번에는 정확하게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반면 우연히 저 값이 튀었다고 하기에는 값이 또 너무 큽니다. WebClient.DownloadString을 호출하지 않으면 대개의 경우 그냥 0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암튼, 딱히 GetProcessIoCounters를 이용해 특정 I/O에 대한 사용량을 알아낼 수는 없지만, 그래도 전체적인 I/O 성능 수치로는 써도 좋을 듯합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9/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24정성태5/8/2025386닷넷: 2332. C# - (JetBrains Omea Reader 대상으로) 런타임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3923정성태5/5/2025503스크립트: 74. 파이썬 - C# - Python.NET의 RunSimpleScript, Exec, Eval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922정성태5/3/2025744스크립트: 73.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버전에서 tkinter 환경 구성
13921정성태5/3/2025982오류 유형: 952. 듀얼 채널 메모리 정렬을 지키지 않은 컴퓨터의 Windows 비정상 종료 현상(Blue Screen) [2]
13920정성태5/3/20251273오류 유형: 951. Typed DataSet 생성 중 "Failed to open a connection to the database" 오류
13919정성태5/2/20251043VS.NET IDE: 201. C# - Typed DataSet(XSD)를 위한 연결 문자열 암호화 [1]파일 다운로드1
13918정성태5/2/20251334VS.NET IDE: 200. C# - app.config 파일의 출력을 Configuration(Debug/Release)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917정성태4/30/2025953VS.NET IDE: 199. Directory.Build.props에 정의한 속성에 대해 Condition 제약으로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916정성태4/23/2025976디버깅 기술: 221.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13915정성태4/13/20251966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파일 다운로드1
13914정성태4/11/20252232디버깅 기술: 220. windbg 분석 사례 - x86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CPU 100% 현상 (4)
13913정성태4/10/20251442오류 유형: 950. Process Explorer - 64비트 윈도우에서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뜰 때 "Error writing dump file: Access is denied." 오류
13912정성태4/9/20251153닷넷: 2330.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5 ~ .NET 8)파일 다운로드1
13911정성태4/8/20251374오류 유형: 949. WinDbg -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시 sos 확장을 자동으로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
13910정성태4/8/20251578디버깅 기술: 219. WinDbg - 명령어 내에서 환경 변수 사용법
13909정성태4/7/20252169닷넷: 2329.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Framework 4.8)파일 다운로드1
13908정성태4/2/20252620닷넷: 2328. C# - MailKit: SMTP, POP3, IMAP 지원 라이브러리
13907정성태3/29/20252637VS.NET IDE: 198.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6정성태3/27/20252824닷넷: 2327. C# -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파일 다운로드1
13905정성태3/26/20252731Windows: 281. C++ - Windows / Critical Section의 안정화를 위해 도입된 "Keyed Event"파일 다운로드1
13904정성태3/25/20252280디버깅 기술: 218. Windbg로 살펴보는 Win32 Critical Section파일 다운로드1
13903정성태3/24/20251781VS.NET IDE: 197.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2정성태3/24/20252094개발 환경 구성: 742. Oracle - 테스트용 hr 계정 및 데이터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901정성태3/9/20252380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13900정성태3/8/20252680스크립트: 72. 파이썬 - SQLAlchemy + oracledb 연동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