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734.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 https://www.sysnet.pe.kr/2/0/12707

오류 유형: 988. docker - MySql "--initialize specified but the redo log directory ./#innodb_redo/ has redo log files inside. Aborting."
; https://www.sysnet.pe.kr/2/0/14044




docker - MySql "--initialize specified but the redo log directory ./#innodb_redo/ has redo log files inside. Aborting."

mysql 컨테이너를 실행했더니,

$ docker run --name mysql1 -p 3306:3306 -e MYSQL_ROOT_PASSWORD=testpw -v mysql:/var/lib/mysql mysql:8.0.43
2025-11-10 05:44:09+00:00 [Note] [Entrypoint]: Entrypoint script for MySQL Server 8.0.43-1.el9 started.
2025-11-10 05:44:09+00:00 [Note] [Entrypoint]: Switching to dedicated user 'mysql'
2025-11-10 05:44:09+00:00 [Note] [Entrypoint]: Entrypoint script for MySQL Server 8.0.43-1.el9 started.
'/var/lib/mysql/mysql.sock' -> '/var/run/mysqld/mysqld.sock'
2025-11-10T05:44:10.468786Z 0 [Warning] [MY-011068] [Server] The syntax '--skip-host-cache'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a future release. Please use SET GLOBAL host_cache_size=0 instead.
2025-11-10T05:44:10.472100Z 0 [System] [MY-010116] [Server] /usr/sbin/mysqld (mysqld 8.0.43) starting as process 1
2025-11-10T05:44:10.483501Z 1 [System] [MY-013576] [InnoDB] InnoDB initialization has started.
2025-11-10T05:44:10.955416Z 1 [ERROR] [MY-013860] [InnoDB] --initialize specified but the redo log directory ./#innodb_redo/ has redo log files inside. Aborting.
2025-11-10T05:44:10.955503Z 1 [ERROR] [MY-012930] [InnoDB] Plugin initialization aborted with error Generic error.
2025-11-10T05:44:11.083275Z 1 [ERROR] [MY-010334] [Server] Failed to initialize DD Storage Engine
2025-11-10T05:44:11.083594Z 0 [ERROR] [MY-010020] [Server] Data Dictionary initialization failed.
2025-11-10T05:44:11.083639Z 0 [ERROR] [MY-010119] [Server] Aborting
2025-11-10T05:44:11.084456Z 0 [System] [MY-010910] [Server] /usr/sbin/mysqld: Shutdown complete (mysqld 8.0.43)  MySQL Community Server - GPL.

위와 같이 "--initialize specified but the redo log directory ./#innodb_redo/ has redo log files inside. Aborting." 오류 메시지를 내면서 실패합니다. 검색 결과 해당 디렉터리를 삭제해야 한다고 하는데... 일단은 테스트 DB이므로 부담없이 시키는 대로 지웠습니다. ^^

$ docker run --name mysql1 -p 3306:3306 -e MYSQL_ROOT_PASSWORD=testpw -v mysql:/var/lib/mysql -it mysql:8.0.43 /bin/bash

# ls \#inno* -ld
drwxr-x--- 2 mysql mysql 4096 Nov 10 05:38 '#innodb_redo'
drwxr-x--- 2 mysql mysql  187 Nov 10 05:43 '#innodb_temp'

# cd \#innodb_redo

# pwd
/var/lib/mysql/#innodb_redo

# rm \#ib_redo*

이후 서버는 잘 올라옵니다.




그나저나,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할 때 인증 문제가 또 뜨는군요. ^^;

MySQL: MySql.Data.MySqlClient.MySqlException (0x80004005):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at MySql.Data.MySqlClient.Authentication.AuthenticationPluginManager.GetPlugin(String method)
   at MySql.Data.MySqlClient.Authentication.MySqlAuthenticationPlugin.GetPlugin(String method, NativeDriver driver, Byte[] authData)
   at MySql.Data.MySqlClient.NativeDriver.Authenticate(String authMethod, Boolean reset)
   at MySql.Data.MySqlClient.NativeDriver.Open()
   at MySql.Data.MySqlClient.Driver.Open()
   at MySql.Data.MySqlClient.Driver.Create(MySqlConnectionStringBuilder settings)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CreateNewPooled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GetPooled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TryToGetDriver()
   at MySql.Data.MySqlClient.MySqlPool.GetConnection()
   at MySql.Data.MySqlClient.MySqlConnection.Open()
    ...[생략]...

지난 글에서도 살펴봤지만,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 https://www.sysnet.pe.kr/2/0/12707

이번엔 사용자가 mysql_native_password로 생성된 상태였습니다.

mysql> SELECT User, Host, plugin FROM mysql.user;
+------------------+-----------+-----------------------+
| User             | Host      | plugin                |
+------------------+-----------+-----------------------+
| nativeuser       | %         | mysql_native_password |
| root             | %         | caching_sha2_password |
| mysql.infoschema | localhost | caching_sha2_password |
| mysql.session    | localhost | caching_sha2_password |
| mysql.sys        | localhost | caching_sha2_password |
| root             | localhost | caching_sha2_password |
+------------------+-----------+-----------------------+

그러고 보니, 지난 글에서 my.cnf 파일에 기본 인증 방식을 제공해야 한다고 했었는데요,

$ cat /etc/my.cnf
# For advice on how to change settings please see
# http://dev.mysql.com/doc/refman/8.0/en/server-configuration-defaults.html

[mysqld]
#
# Remove leading # and set to the amount of RAM for the most important data
# cache in MySQL. Start at 70% of total RAM for dedicated server, else 10%.
# innodb_buffer_pool_size = 128M
#
# Remove leading # to turn on a very important data integrity option: logging
# changes to the binary log between backups.
# log_bin
#
# Remove leading # to set options mainly useful for reporting servers.
# The server defaults are faster for transactions and fast SELECTs.
# Adjust sizes as needed, experiment to find the optimal values.
# join_buffer_size = 128M
# sort_buffer_size = 2M
# read_rnd_buffer_size = 2M

# Remove leading # to revert to previous value for default_authentication_plugin,
# this will increase compatibility with older clients. For background, see:
#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server-system-variables.html#sysvar_default_authentication_plugin
# default-authentication-plugin=mysql_native_password
skip-host-cache
skip-name-resolve
datadir=/var/lib/mysql
socket=/var/run/mysqld/mysqld.sock
secure-file-priv=/var/lib/mysql-files
user=mysql

pid-file=/var/run/mysqld/mysqld.pid
[client]
socket=/var/run/mysqld/mysqld.sock

!includedir /etc/mysql/conf.d/

이번엔 저 설정값을 명시적으로 (주석 해제시켜) 설정했더니 정상적으로 DB 연결이 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사소한 문제가 있다면, 저 컨테이너에는 기본적인 vi 편집기도 없다는 점이었는데요, 그래서 sed 도구를 이용해 문자열을 치환하는 방식으로 수정했습니다.

# sed 's/# default-authentication/default-authentication/g' /etc/my.cnf > /etc/my2.cnf
# mv /etc/my2.cnf /etc/my.cnf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3/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58정성태3/27/201928430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57정성태3/26/201926347VC++: 128. strncpy 사용 시 주의 사항(Linux / Windows)
11856정성태3/25/201925842VS.NET IDE: 134.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55정성태3/25/201928326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11854정성태3/25/201923849VS.NET IDE: 133.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사이트를 https로 접근하는 방법
11853정성태3/24/201928053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24865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9296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9764.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9045.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25979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30378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9143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8066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9962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25111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21676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22078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25129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30549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32924.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46432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11836정성태3/5/201929923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11835정성태3/5/201927571.NET Framework: 810. C# 8.0의 Index/Range 연산자를 .NET Framework에서 사용하는 방법 및 비동기 스트림의 컴파일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834정성태3/4/201926478개발 환경 구성: 432. Visual Studio 없이 최신 C# (8.0) 컴파일러를 사용하는 방법
11833정성태3/4/201928759개발 환경 구성: 431. Visual Studio 2019 - CMake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리눅스 프로젝트 설정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