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161. WPF - 윈도우 이벤트 가로채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18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PF - 윈도우 이벤트 가로채기


WinForm 프로그래밍을 해봤다면, 아마도 이런 경우 IMessageFilter를 구현한 인스턴스에 대해 AddMessageFilter를 호출하던 것을 생각할 텐데요.

그렇다면 WPF에서는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요?

우선, 쉽게 검색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HwndSource.AddHook을 이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private void Window_Loaded(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HwndSource source = HwndSource.FromHwnd(new WindowInteropHelper(this).Handle);
    source.AddHook(new HwndSourceHook(WndProc));
}

private IntPtr WndProc(IntPtr hwnd, int msg, IntPtr wParam, IntPtr lParam, ref bool handled)
{
    return IntPtr.Zero;
}

해보면 알겠지만, 이 방법에는 단점이 있습니다.

  • 반응이 한 박자(?) 느리다.
  • HwndSource.FromHwnd로 얻어낸 HWND 윈도우에서 발생하는 메시지만 수신된다.

별로 만족스럽지 않지요? ^^ 대신에, MSDN 문서를 뒤져보면 아주 좋은 방법이 하나 더 공개되어 있습니다. 바로 ^^ ComponentDispatcher.ThreadFilterMessage 이벤트입니다.

코드는 다음과 같이 매우 간단합니다.

private void Window_Loaded(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ComponentDispatcher.ThreadFilterMessage 
        += new ThreadMessageEventHandler(ComponentDispatcher_ThreadFilterMessage);
}

void ComponentDispatcher_ThreadFilterMessage(ref MSG msg, ref bool handled)
{
}

ComponentDispatcher.ThreadFilterMessage 방식은 위에서 언급한 2가지 단점이 없습니다. 말 그대로 프로세스 전역적으로 발생하는 윈도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습니다. 물론, 프로세스 전역적이라는 말은 다소 무리가 있지요. 하지만 윈도우즈 프로그래밍의 특성상, 해당 UI를 생성한 스레드에 종속되는 것을 감안하면 최초 App/Shell을 생성한 Primary Thread에 대해서 ThreadFilterMessage 이벤트를 걸어두면 거의 모든 요구 사항 수준을 만족할 수 있습니다. 행여나, 별도의 스레드에서 UI를 생성한다면 그 스레드의 Dispatcher에 대해 ThreadFilterMessage를 수신하도록 하면 그만입니다.

첨부한 프로젝트는 위의 내용을 곧바로 확인할 수 있는 코드를 담고 있습니다.



[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09-09-10 09시48분
[맨날맑음] Win32 API 이용하는 방법 밖에 몰랐는데 잘배워갑니다^^
[gues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28정성태5/15/2025405오류 유형: 954. UFO² - "'Invalid URL (POST /v1/chat/completions/chat/completions)'"
13927정성태5/15/2025417오류 유형: 953. OpenAI - The API request of HOST_AGENT failed: OpenAI API request exceeded rate limit: Error code: 429
13926정성태5/14/2025660개발 환경 구성: 743. LLM과 윈도우의 만남 - Desktop AgentOS UFO² 기본 환경 구성
13925정성태5/12/20251068닷넷: 2333. C# - (Console 유형의 프로젝트에서) Clipboard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924정성태5/8/20251204닷넷: 2332. C# - (JetBrains Omea Reader 대상으로) 런타임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3923정성태5/5/20251081스크립트: 74. 파이썬 - C# - Python.NET의 RunSimpleScript, Exec, Eval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922정성태5/3/20251221스크립트: 73.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 버전에서 tkinter 환경 구성
13921정성태5/3/20251512오류 유형: 952. 듀얼 채널 메모리 정렬을 지키지 않은 컴퓨터의 Windows 비정상 종료 현상(Blue Screen) [2]
13920정성태5/3/20251587오류 유형: 951. Typed DataSet 생성 중 "Failed to open a connection to the database" 오류
13919정성태5/2/20251410VS.NET IDE: 201. C# - Typed DataSet(XSD)를 위한 연결 문자열 암호화 [1]파일 다운로드1
13918정성태5/2/20251578VS.NET IDE: 200. C# - app.config 파일의 출력을 Configuration(Debug/Release)에 따라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917정성태4/30/20251232VS.NET IDE: 199. Directory.Build.props에 정의한 속성에 대해 Condition 제약으로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916정성태4/23/20251079디버깅 기술: 221. WinDbg 분석 사례 - ASP.NET HttpCookieCollection을 다중 스레드에서 사용할 경우 무한 루프 현상 - 두 번째 이야기
13915정성태4/13/20252059닷넷: 2331.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9)파일 다운로드1
13914정성태4/11/20252376디버깅 기술: 220. windbg 분석 사례 - x86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CPU 100% 현상 (4)
13913정성태4/10/20251558오류 유형: 950. Process Explorer - 64비트 윈도우에서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뜰 때 "Error writing dump file: Access is denied." 오류
13912정성태4/9/20251287닷넷: 2330.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5 ~ .NET 8)파일 다운로드1
13911정성태4/8/20251570오류 유형: 949. WinDbg -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시 sos 확장을 자동으로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
13910정성태4/8/20251759디버깅 기술: 219. WinDbg - 명령어 내에서 환경 변수 사용법
13909정성태4/7/20252641닷넷: 2329. C# -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NET Framework 4.8)파일 다운로드1
13908정성태4/2/20252866닷넷: 2328. C# - MailKit: SMTP, POP3, IMAP 지원 라이브러리
13907정성태3/29/20252784VS.NET IDE: 198.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6정성태3/27/20252889닷넷: 2327. C# -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파일 다운로드1
13905정성태3/26/20252793Windows: 281. C++ - Windows / Critical Section의 안정화를 위해 도입된 "Keyed Event"파일 다운로드1
13904정성태3/25/20252396디버깅 기술: 218. Windbg로 살펴보는 Win32 Critical Section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