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의 닷넷 이야기
홈 주인
모아 놓은 자료
프로그래밍
질문/답변
사용자 관리
사용자
메뉴
아티클
외부 아티클
유용한 코드
온라인 기능
MathJax 입력기
최근 덧글
[정성태] 그냥 RSS Reader 기능과 약간의 UI 편의성 때문에 사용...
[이종효] 오래된 소프트웨어는 보안 위협이 되기도 합니다. 혹시 어떤 기능...
[정성태] @Keystroke IEEE의 문서를 소개해 주시다니... +_...
[손민수 (Keystroke)] 괜히 듀얼채널 구성할 때 한번에 같은 제품 사라고 하는 것이 아...
[정성태] 전각(Full-width)/반각(Half-width) 기능을 토...
[정성태] Vector에 대한 내용은 없습니다. Vector가 닷넷 BCL...
[orion] 글 읽고 찾아보니 디자인 타임에는 InitializeCompon...
[orion] 연휴 전에 재현 프로젝트 올리자 생각해 놓고 여의치 않아서 못 ...
[정성태] 아래의 글에 정리했으니 참고하세요. C# - Typed D...
[정성태] 간단한 재현 프로젝트라도 있을까요? 저런 식으로 설명만 해...
글쓰기
제목
이름
암호
전자우편
HTML
홈페이지
유형
제니퍼 .NET
닷넷
COM 개체 관련
스크립트
VC++
VS.NET IDE
Windows
Team Foundation Server
디버깅 기술
오류 유형
개발 환경 구성
웹
기타
Linux
Java
DDK
Math
Phone
Graphics
사물인터넷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내용
<div style='display: inline'> <div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Consolas; font-size: 20pt; color: #006699; text-align: center; font-weight: bold'>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div> <br /> 지난 이야기까지 해서 "Windows Virtual PC"에서 설정할 수 있는 네트워크 유형을 살펴보았는데요.<br /> <br /> <pre style='margin: 10px 0px 10px 10px; padding: 10px 0px 10px 10px; width: 800px; background-color: #fbedbb; overflow-x: scroll; font-family: Consolas, Verdana;' >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1) ; <a target='_tab' href='/2/0/906'>http://www.sysnet.pe.kr/2/0/906</a>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2) ; <a target='_tab' href='/2/0/907'>http://www.sysnet.pe.kr/2/0/907</a>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3) ; <a target='_tab' href='/2/0/908'>http://www.sysnet.pe.kr/2/0/908</a> </pre> <br /> 이번에는 Hyper-V에서의 네트워크 유형을 살펴보겠습니다. 역시나 이번에도 이와 관련해서 웹 검색을 해보니 다음과 같은 좋은 자료가 있군요. ^^<br /> <br /> <pre style='margin: 10px 0px 10px 10px; padding: 10px 0px 10px 10px; width: 800px; background-color: #fbedbb; overflow-x: scroll; font-family: Consolas, Verdana;' > Hyper-V: What are the uses for different types of virtual networks? ; <a target='_tab' href='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jhoward/hyper-v-what-are-the-uses-for-different-types-of-virtual-networks'>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jhoward/hyper-v-what-are-the-uses-for-different-types-of-virtual-networks</a> </pre> <br /> 개인적으로, 위의 글에서 그림이 가장 탐납니다. ^^ 그리고 아래의 그림이 가장 간단하게 3개의 유형을 나타내주고 있습니다.<br /><br /> [출처: <a target='tab' href='https://www.starwindsoftware.com/blog/hyper-v-networking-101-nics-and-switches#fancy-image-2'>https://www.starwindsoftware.com/blog/hyper-v-networking-101-nics-and-switches#fancy-image-2</a>]<br /> <img onclick='toggle_img(this)' class='imgView' alt='hyper_v_network_type_diff_1.png' src='/SysWebRes/bbs/hyper_v_network_type_diff_1.png' /><br /> <br /> <hr style='width: 50%' /><br /> <a name='1'></a> <br /> <div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Consolas; font-size: 12pt; color: #2211AA; text-align: left; font-weight: bold'>1. External</div> <br /> External 로 구성된 예를 보면, 아래와 같은데요.<br /> <br /> <img alt='hyper-v_virtual_network_1.png' src='/SysWebRes/bbs/hyper-v_virtual_network_1.png' /><br /> <br /> 여기서의 "External"유형은 "<a target='_tab' href='/2/0/906'>Windows Virtual PC 의 네트워크 유형 (1)</a>" 글에서 설명했던 "Virtual Network"와 유사합니다. <br /> 뭐...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겠지요. ^^<br /> <br /> <div style='BACKGROUND-COLOR: #ccffcc; padding: 10px 10px 5px 10px; width: 700px; MARGIN: 0px 10px 10px 10px; FONT-FAMILY: 맑은 고딕, Consolas, Verdana; COLOR: #005555'> [정리: 통신 가능 유형]<br /> <br /> VM <-> VM <br /> VM <-> HOST<br /> VM <-> HOST 가 참여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다른 PC<br /> VM <-> 외부망</div><br /> <br /> <a name='internal'></a> <div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Consolas; font-size: 12pt; color: #2211AA; text-align: left; font-weight: bold'>2. Internal</div> <br /> (VMWare의 VMnet1 어댑터 유형과 비슷하고, VMnet8 어댑터의 경우 <a target='tab' href='https://www.sysnet.pe.kr/2/0/12347'>Default Switch(Default Network)</a> 동작 방식과 유사)<br /> (VMNet1 Host-only == Internal, VMnet8 NAT == Default Switch(Default Network), VMnet0 Bridged == External)<br /> <br /> Hyper-V의 "Internal"의 경우, "Windows Virtual PC"의 "Internal Network"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오히려, 다음에 설명하는 "Private" 유형이 "Internal Network"와 대응될 수 있습니다.<br /> <br /> 간단히 생각해서, "Internal" 유형을 "라우터"와의 연결이 끊긴 "스위치 허브"에 VM과 호스트가 같이 연결된 구조라고 보시면 되는데, 이 유형의 네트워크를 생성해 두면 호스트 측에도 "Internal"에 대응되는 가상 어댑터가 제공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br /> <br /> 따라서, 외부로의 인터넷 연결은 안되지만 "Hyper-V 를 호스팅하는 PC"와의 통신은 가능합니다.<br /> <br /> 아래는 "Internal"로 설정된 VM의 IP 설정예입니다.<br /> <br /> <pre style='margin: 10px 0px 10px 10px; padding: 10px 0px 10px 10px; width: 800px; background-color: #fbedbb; overflow-x: scroll; font-family: Consolas, Verdana;' > === A VM === IP Address: <b style='COLOR: blue'>169.254.222.37</b> Subnet Mask: 255.255.0.0 Default Gateway: [empty] === Internal로 인해 생성된 호스트 PC의 어댑터 === IP Address: <b style='COLOR: blue'>169.254.139.48</b> Subnet Mask: 255.255.0.0 Default Gateway: </pre> <br /> 보시는 것처럼 동일한 B 클래스의 "169.254.0.0" 네트워크로 묶이게 됩니다.<br /> <br /> <div style='BACKGROUND-COLOR: #ccffcc; padding: 10px 10px 5px 10px; width: 700px; MARGIN: 0px 10px 10px 10px; FONT-FAMILY: 맑은 고딕, Consolas, Verdana; COLOR: #005555'> [정리: 통신 가능 유형]<br /> <br /> VM <-> VM <br /> VM <-> HOST<br /> </div><br /> <br /> <div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Consolas; font-size: 12pt; color: #2211AA; text-align: left; font-weight: bold'>3. Private</div> <br />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 네트워크 유형이 "Windows Virtual PC"의 "Internal Network" 유형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Hyper-V 관리자에서 "Private Network"을 생성해도 "Hyper-V를 호스팅하는 PC" 측에는 아무런 가상 어댑터가 생성되지 않는 차이를 제외하고는 "Internal"과 같습니다.<br /> <br /> 할당받은 네트워크 주소를 보면,<br /> <br /> <pre style='margin: 10px 0px 10px 10px; padding: 10px 0px 10px 10px; width: 800px; background-color: #fbedbb; overflow-x: scroll; font-family: Consolas, Verdana;' > === B VM === IP Address: <b style='COLOR: blue'>169.254.235.193</b> Subnet Mask: 255.255.0.0 Default Gateway: [empty] </pre> <br /> "Internal" 유형으로 설정된 VM에서처럼 B 클래스의 "169.254.0.0"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받지만 Private과 Internal 간의 통신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어찌 보면 당연하겠지만, "Private Network"를 2개 생성하는 경우에도 그들간의 통신은 허용되지 않고, 다중 "Internal" 역시 "169.254.0.0" 네트워크만 같을 뿐 개별적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아마도, 내부적으로는 VLAN 인덱스가 다르게 할당되어 관리되는 것 아닐까요?)<br /> <br /> <div style='BACKGROUND-COLOR: #ccffcc; padding: 10px 10px 5px 10px; width: 700px; MARGIN: 0px 10px 10px 10px; FONT-FAMILY: 맑은 고딕, Consolas, Verdana; COLOR: #005555'> [정리: 통신 가능 유형]<br /> <br /> VM <-> VM <br /> </div><br /> <br /> <div style='font-family: 맑은 고딕, Consolas; font-size: 12pt; color: #2211AA; text-align: left; font-weight: bold'>4. Dedicated</div> <br /> 이 유형은, 사실 저도 "Dedicated"라고 불려진다는 것을 "<a target='_tab' href='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jhoward/hyper-v-what-are-the-uses-for-different-types-of-virtual-networks'>Hyper-V: What are the uses for different types of virtual networks?</a>" 글을 보고 알았습니다.<br /> <br /> 위에서 설명한 "External", "Internal", "Private" 유형과는 달리 명시적으로 Hyper-V의 네트워크 설정에는 없습니다. 단지 "External" 유형의 변종인데요.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 설정에서 "Allow management operating system to share this network adapter" 옵션을 해제하면 됩니다.<br /> <br /> <img alt='hyper-v_virtual_network_2.png' src='/SysWebRes/bbs/hyper-v_virtual_network_2.png' /><br /> <br /> 이렇게 되면, "External" 네트워크와 매핑되는 LAN 어댑터(위의 그림에서는 "Realtek PCIe GBE Family Controller")를 "Hyper-V 를 호스팅하는 운영체제"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현실적으로 볼 때, "External" 유형의 네트워크 하나 당 LAN 어댑터 하나만 매핑된다는 것을 고려해 보면 호스트 운영체제의 네트워크를 불능 상태로 만들 수는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카드가 2장 이상인 경우 "Dedicated" 네트워크 유형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내부 VM들이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냐에 대해서는 해당 LAN 어댑터가 연결된 네트워크 망에 좌우됩니다.<br /> <br /> 그럼, Dedicated 유형을 사용할 만한 적절한 사례가 있을까요? 제가 하나 꼽아본다면, 여러 대의 서버에서 Hyper-V를 각각 호스팅하는 경우 거기에서 호스팅되고 있는 VM들을 별도의 네트워크 망으로 서로 묶고 싶다면 적절한 활용예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허용될 수 있다면 External 유형으로 편하게 설정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br /> <br /> <div style='BACKGROUND-COLOR: #ccffcc; padding: 10px 10px 5px 10px; width: 700px; MARGIN: 0px 10px 10px 10px; FONT-FAMILY: 맑은 고딕, Consolas, Verdana; COLOR: #005555'> [정리: 통신 가능 유형]<br /> <br /> VM <-> VM<br /> VM <-> "Dedicated"로 할당된 LAN 어댑터가 참여하고 있던 네트워크의 다른 PC<br /> VM <-> "Dedicated"로 할당된 다른 머신에서 호스팅되고 있는 Hyper-V의 VM<br /> </div><br /> <br /> <hr style='width: 50%' /><br /> <br /> "Windows Virtual PC"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유형과 비교하면, "Shared Networking (NAT)" 유형이 빠졌고 Dedicated 유형이 추가된 정도입니다.<br /> <br /> 사실, 어찌 보면 "인터넷"이 되어야 하는 보통의 상황과 비교하면 오히려 "Shared Networking (NAT)" 유형이 Hyper-V에는 없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넓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아마도 대부분의 경우 "External" 유형으로만 사용하고 계실 것입니다.<br /> <br /> 여기까지 Hyper-V에서 제공되는 기본적인 네트워크 유형만 살펴보았고, 앞으로의 글에서는 "Windows Virtual PC" 연재에서 했던 것처럼, 다양한 네트워크 조합들을 "Hyper-V"에서도 응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br /> <br /><br /><hr /><span style='color: Maroon'>[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span> </div>
첨부파일
스팸 방지용 인증 번호
1456
(왼쪽의 숫자를 입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