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답변]: "무조건 삭제" 란 것은 없습니다.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3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일단, 다른 Process 에 의해서 잠겨 있게 되면, 삭제할 수는 없습니다.
FileMon 등을 이용해서라도 어느 프로세스에 잠겨 있는지 찾아내시는 것이 좋겠지요.

regsvr32 /u 는 레지스트리 설정만을 제거해주는 것일뿐, 삭제와는 별다른 관계가 없습니다.

인스톨 쉴드 역시, 무조건 삭제를 시켜주는 것은 아닙니다. 다른 프로세스가 물고 있으면, 재부팅시에 삭제가 되도록 조치를 취하거나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권장하는 대화창을 띄워주는 정도입니다.

실제로, MoveFileEx Win32 API 함수를 써서 재부팅시에 삭제되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9x/ME 계열은 MoveFileEx 가 지원되지 않는데, 그런 경우에는 wininit.ini 파일에 기록해 두어 그와 동일한 작업을 하게 되지요.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0/2006]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NoWriterDateCnt.TitleFile(s)
58정성태7/29/20061668[질문] System.Diagnostics.Process 사용시
59정성태7/29/20061610    답변글 [답변]: Process.Start 로 다루지 마시고 COM 개체로 다루십시오
56정성태7/29/20062186[질문] CreateProcess 함수로실행되는프로그램의 디버깅은....
57정성태7/29/20062217    답변글 [답변]: CreateProcess 함수로실행되는프로그램의 디버깅은....
54정성태7/29/20061395[질문] Win32 API에서 얻은 소켓 핸들을 .Net의 Socket 객체로 연결..
55정성태7/29/20061503    답변글 [답변]: Win32 API에서 얻은 소켓 핸들을 .Net의 Socket 객체로 연결..
53정성태7/21/20061510[외부] How to add code behind file to existing page
52정성태7/13/20061859[외부] #line hidden vs. DebuggerNonUserCode attribute
51정성태7/9/20061544[외부] 질문 : Calling methods of deleted object
47정성태5/5/20061638[질문] 템플릿 클래스 멤버 함수의 오버로딩
48정성태5/5/20061792    답변글 [답변]: 템플릿 클래스 멤버 함수의 오버로딩
49정성태5/5/20061654        답변글 [진행상황]: 템플릿 클래스 멤버 함수의 오버로딩
45정성태5/5/20061791[질문] ODP를 사용한 오라클 UPDATE 문에서 에러발생 문제입니다
46정성태5/5/20061979    답변글 [답변]: ODP를 사용한 오라클 UPDATE 문에서 에러발생 문제입니다
43정성태5/5/20061525[질문] 쓰레드마다의 스택..
44정성태5/5/20061680    답변글 [답변]: 쓰레드마다의 스택..
41정성태5/5/20061684[질문] 제 PC 의 VS.NET 2005 에서는 특정 메뉴가 보이지 않습니다.
42정성태5/5/20061630    답변글 [답변]: 제 PC 의 VS.NET 2005 에서는 특정 메뉴가 보이지 않습니다.
39정성태5/5/20061551[질문/답변] COM+ 모듈 제작시 InitializesServerApplication 설정 방법 좀 알려주세요
37정성태5/5/20061515[질문] 필드 초기화를 선언과 함께 하는 것과 생성자에서 하는 것의 차이?
38정성태5/5/20061671    답변글 [답변]: 필드 초기화를 선언과 함께 하는 것과 생성자에서 하는 것의 차이?
35정성태5/5/20061586[질문] BinaryReader 로 String 을 읽어오는 데 정상적으로 읽어오지 않습니다.
36정성태5/5/20062547    답변글 [답변]: BinaryReader 로 String 을 읽어오는 데 정상적으로 읽어오지 않습니다.
33정성태5/5/20061637[질문] 레지스트리가 추가되었을때 확인하는 방법...
34정성태5/5/20061904    답변글 [답변]: 레지스트리가 추가되었을때 확인하는 방법...
30정성태5/5/20062085[질문] SocketOptionName.KeepAlive 사용법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