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태의 닷넷 이야기
홈 주인
모아 놓은 자료
프로그래밍
질문/답변
사용자 관리
사용자
메뉴
Digital Stories
방명록
최근 덧글
[예지] 답변 감사드립니다! 즐거운 주말 되세요~!!
[정성태] 콜백을 호출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메서드에 대한 정보일 뿐인데,...
[예지] 상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정성태] 그러게요... 그 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C# 9....
[정성태] 아래의 글을 참고하세요. C# - foreach에서 열거 ...
[정성태] GetName은 누수가 없는데, 왜 GetData에서만 나는지....
[예지] 선생님 말씀하신대로 수정했는데 선생님 생각하신 코드가 제가 작성...
[정성태] 당연합니다. Computer 개체를 (Person)으로 강제 형...
[예지] 자세한 답변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정성태] 좀 더 특별한 경우입니다. 본문의 경우, C#에서 C++ 코드를...
글쓰기
제목
이름
암호
전자우편
HTML
홈페이지
유형
기타
생각의 전환
부모글 보이기/감추기
내용
<div style='display: inline'> <br /> <div class='mainCenterTitle'>XAML?</div><br /> <br /> XAML 이 뭘까? 간혹... 이에 대해서 단순히 WPF 의 표현 언어라고만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 볼까요? ^^<br /> <br /> <hr style='width: 50%' /><br /> <br /> 우선, XAML 의 올바른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br /> <br /> <ul> <li>Don Box has a great description of what XAML is <b>"A way to wire up CLR objects, no more, no less"</b>. </li> <li>Chris Anderson’s definition of XAML ? <b>"XAML is a declarative markup language that defines an object model"</b></li> </ul> ; <a target='_tab' href='http://donxml.com/allthingstechie/archive/2004/11/28/1550.aspx'>http://donxml.com/allthingstechie/archive/2004/11/28/1550.aspx</a><br /> <br /> 즉, XAML 은 WPF 전용 언어가 아니라는 것이죠. 실제로 WPF 와 XAML 에 대한 설명을 보면 다음과 같은 표현이 나옵니다.<br /> <br /> <pre class='code'>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WPF) implements a Extensible Application Markup Language (XAML) loader </pre> <br /> 그렇습니다. WPF 는 단순히 XAML 용 Loader 를 구현한 응용 사례에 불과한 것입니다.<br /> <br /> 이쯤되면,,, WF(Workflow Foundation) 에서 사용되는 XAML 에 대한 개념도 이해되기 시작합니다. 즉, WF 역시 XAML 용 Loader 를 구현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Wikipedia 의 정의에 보면 다음과 같은 표현이 나옵니다.<br /> <br /> <pre class='code'> 1. XAML is used extensively in the .NET Framework 3.0 technologies, <b>particularly in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 (WPF)</b>, where it is used as a user interface markup language to define UI elements, data binding, eventing, and other features, and <b>in Windows Workflow Foundation (WF)</b>, in which workflows themselves can be defined using XAML 2. XAML elements can map directly to Common Language Runtime (CLR) object instances whereas attributes can map to CLR properties and events on those objects ; <a target='_tab' href='http://en.wikipedia.org/wiki/Extensible_Application_Markup_Language'>http://en.wikipedia.org/wiki/Extensible_Application_Markup_Language</a> </pre> <br /> 사실... 어찌보면, XAML == WPF 라고 잘못 여기고 있는 것이 한편으로는 이해가 되곤 합니다. 요즘 들어, 어딜 가도 UI/UX/RIA 라고 도배를 하고 있으니. ^^ (개인적으로, 마치 소프트웨어 개발이 그것이 전부인 양 선전하는 것을 보면 한숨이 절로 나옵니다.)<br /> <br /> 아뭏든... XAML 을 WPF 라고 이해하시는 분들은, 다음의 토픽을 꼭 먼저 읽어본 후에 XAML 공부를 계속하시기 바랍니다.<br /> <br /> <pre class='code'> Amazing XAML ; <a target='_tab' href='http://www.microsoft.com/belux/msdn/fr/community/columns/himschoot/amazingxaml.mspx'>http://www.microsoft.com/belux/msdn/fr/community/columns/himschoot/amazingxaml.mspx</a> </pre> <br /> (위의 글을 쓴 사람의 소개에 Microsoft Regional Director 라고 되어 있는데요. 이는 마이크로소프트 내부 직원이 아니라, 외부 인사 중에서 주어지는 - 일종의 Microsoft MVP 와 같은 혜택을 받은 사람입니다. 말 그대로 지역별로 이런 RD 가 선출이 되는데,,, 물론 한국에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RD 는 누구인지는 모르겠지만... 조만간 위와 같은 멋진 글을 쓰시길 기대해 봅니다. 음, 저런 글을 보면... 부럽군요. ^^)<br /> <br /><br /><hr /><span style='color: Maroon'>[이 토픽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span> </div>
첨부파일
스팸 방지용 인증 번호
9179
(왼쪽의 숫자를 입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