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369. ThreadPool.QueueUserWorkItem의 실행 지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15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6개 있습니다.)

ThreadPool.QueueUserWorkItem의 실행 지연

최근에 아주 재미있는 질문을 하나 봤습니다. ^^

동적 background workers 생성 시간 지연 발생 이슈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ko-KR/visualcsharpko/thread/59f6af80-2903-44b0-8f07-e3c78029a246/

질문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이 BackgroundWorker 객체를 생성했을 때,

using System;
using System.ComponentModel;
using System.Windows.Forms;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Diagnostics;

namespace WindowsForms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for (int i = 0; i < 20; i++)
            {
                BackgroundWorker bgw = new BackgroundWorker();
                bgw.DoWork += new DoWorkEventHandler(bgw_DoWork);
                bgw.WorkerSupportsCancellation = true;
                bgw.RunWorkerAsync(DateTime.Now);
            }
        }

        void bgw_DoWork(object sender, DoWorkEventArgs e)
        {
            DateTime started = (DateTime)e.Argument;
            TimeSpan elapsed = DateTime.Now - started;

            Trace.WriteLine(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 ": Work started after " + elapsed);
            Thread.Sleep(1000 * 60);
        }
    }
}

이를 실행시켜 보면, BackgroundWorker.RunWorkerAsync 호출 후 bgw_DoWork가 호출되기까지 지연시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6: Work started after 00:00:00.0231812
11: Work started after 00:00:00.0231812
13: Work started after 00:00:00.0231812
14: Work started after 00:00:00.0231812
12: Work started after 00:00:00.0231812
6: Work started after 00:00:00.0241812
10: Work started after 00:00:00.0231812
15: Work started after 00:00:00.0231812
17: Work started after 00:00:01.0011160
18: Work started after 00:00:01.5013938
19: Work started after 00:00:02.0026778
20: Work started after 00:00:02.4813795
21: Work started after 00:00:02.9821267
22: Work started after 00:00:03.4832162
23: Work started after 00:00:03.9835948
24: Work started after 00:00:04.4842889
25: Work started after 00:00:04.9850062
26: Work started after 00:00:05.9859442
27: Work started after 00:00:06.9870558
28: Work started after 00:00:07.9884043

보는 바와 같이 위의 실행 결과에서 15번 스레드까지는 빠르게 bgw_DoWork가 호출되는 반면 그 이후로는 1초 이상의 지연이 누적되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 재미있지 않나요? ^^

더욱 재미있는 것은 bgw_DoWork 메소드에 포함된 Thread.Sleep(1000 * 60); 코드를 제거하면 저런 현상이 없다는 점입니다.

// Thread.Sleep(1000 * 60); 코드를 제거했을 때의 실행 결과
10: Work started after 00:00:00.0009996
11: Work started after 00:00:00.0330125
6: Work started after 00:00:00.0019996
...[생략: 모든 결과가 밀리초 내에서 실행]...
16: Work started after 00:00:00.1193636
12: Work started after 00:00:00.0079991




BackgroundWorker는 내부적으로 DoWork의 실행을 닷넷의 기본 스레드 풀을 이용해 실행합니다. 따라서, 위의 현상은 BackgroundWorker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ThreadPool.QueueUserWorkItem을 이용해서도 재현할 수 있습니다.

for (int i = 0; i < 20; i++)
{
    DateTime started = DateTime.Now;

    ThreadPool.QueueUserWorkItem(
        (obj) =>
        {
            TimeSpan elapsed = DateTime.Now - (DateTime)obj;
            Trace.WriteLine(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 ": Work started after " + elapsed);

            Thread.Sleep(1000 * 60);
        }, started);
}

다음은 실행 결과입니다.

12: Work started after 00:00:00.0070009
10: Work started after 00:00:00.0040013
15: Work started after 00:00:00.0140017
13: Work started after 00:00:00.0060018
14: Work started after 00:00:00.0140017
6: Work started after 00:00:00.0029826
11: Work started after 00:00:00.0040013
16: Work started after 00:00:00.0140017
17: Work started after 00:00:01.0021976
18: Work started after 00:00:01.5034076
19: Work started after 00:00:02.0042271
20: Work started after 00:00:02.5047204
21: Work started after 00:00:03.0050134
22: Work started after 00:00:03.5056883
23: Work started after 00:00:04.0073806
24: Work started after 00:00:04.5074312
25: Work started after 00:00:05.0083132
26: Work started after 00:00:06.0105310
27: Work started after 00:00:07.0122110
28: Work started after 00:00:08.0123949

정말 ^^ BackgroundWorker와 실행 지연 현상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Sleep 코드를 뺀 경우의 결과도 유사합니다. 좀 더 확대해서 테스트해 보면, .NET 4.0의 Task도 ThreadPool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마찬가지 현상이 발생합니다.

for (int i = 0; i < 20; i++)
{
    DateTime started = DateTime.Now;

    Task.Factory.StartNew((obj) =>
    {
        TimeSpan elapsed = DateTime.Now - (DateTime)obj;
        Trace.WriteLine(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 ": Work started after " + elapsed);

        Thread.Sleep(1000 * 60);
    }, started);
}

그런데,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일까요? 알 수 없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의 내부 직원만이 이에 대해 정확한 답을 할 수 있겠지요. (혹은, 직접 BCL 코드를 분석해 보시면 됩니다.)

단지, 예상해 볼 수 있는 것은 ThreadPool의 용도가 단타성 용도로 적합하고 스레드를 늘리는 것에 신중(!)하다는 점입니다. ThreadPool에 있는 모든 스레드가 점유되었을 때 빠르게 스레드의 수를 늘리기보다는 가능한 기존 스레드의 재활용을 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인데요. 따라서, 해당 작업이 장시간 소요되는 것(Time-consuming operations)이라면 ThreadPool을 이용하기 보다는 Thread 객체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BackgroundWorker는 UI 반응성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장시간 소요되는 작업을 맡기는 용도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ThreadPool의 동작과 어울리지 않고, 오히려 내부적으로 개별 Thread를 만들어서 처리해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또는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 설마 BackgroundWorker를 이렇게 많이 사용하리라고는 짐작하지 못했을 수도 있고.




어쨌든, 문제가 ThreadPool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면 해결책도 나온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실행 결과를 보면, 대략 처음 8개의 DoWork 메소드는 빠르게 실행되다가 이후부터 느려지는 것을 목격하게 되는데요. 왜 하필 8개일까요? ^^

그 이유는, ThreadPool이 기본적으로 유지하는 최소 스레드가 수가 8개이기 때문입니다.

int workerT, portT;
ThreadPool.GetMinThreads(out workerT, out portT);

Trace.WriteLine(string.Format("Min: worker - {0}, port - {1}", workerT, portT));
// 출력 결과
// Min: worker - 8, port - 8 (Environment.ProcessorCount에 해당)

아하~~~ 그럼 기본 스레드 수를 응용 프로그램에서 예상되는 최대치 언저리로 만들어주면 되겠군요. 예를 들어 이 글의 예제에서는 20개가 사용되었으니까, 다음과 같은 식으로 해주면 해결이 됩니다.

int workerT, portT;
int minRequire = 25; //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5

ThreadPool.GetMinThreads(out workerT, out portT);

if (workerT < minRequire)
{
    int inc = minRequire - workerT;
    workerT += inc;
}

ThreadPool.SetMinThreads(workerT, portT);

이렇게 SetMinThreads를 호출하고 나면 ThreadPool.QueueUserWorkItem, Task.Factory.StartNew, BackgroundWorker의 모든 수행 결과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 Work started after 00:00:00.0129996
13: Work started after 00:00:00.0200018
14: Work started after 00:00:00.0260009
...[생략: 모든 결과가 밀리 초 내에서 실행]...
16: Work started after 00:00:00.0470040
15: Work started after 00:00:00.0300031
12: Work started after 00:00:00.0330018

첨부된 파일은 위의 결과를 테스트 해볼 수 있는 간단한 프로젝트입니다.

(그나저나... IT 분야에서도 "닥터 하우스"에 나오는 것처럼 "진단학과"가 있었으면 좋겠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6-04 12시48분
[ing™] 제가 알고 있기로는 ThreadPool이 기본적으로 유지하는 최소 스레드가 수는 현재 CPU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CPU Core(하이퍼쓰레드 포함) 갯수대로 초기 스레드가 수가 결정이 된답니다.
[guest]
2013-06-04 01시10분
넵. ^^ 이 글의 테스트 결과에 의하면, CPU Core(HT 포함) 수만큼 초기 스레드가 결정되고 그것을 초과해서 요구했을 때 0.5초마다 CPU Core(HT 포함) 수만큼 생성되다가, 다시 그 수를 넘으면 1초마다 생성되는 규칙이 있는 것 같습니다. (CPU Core 수만큼의 규칙대로 0.5초씩 늘어나는 것 같기도 하고요.)

혹시, 이런 규칙이 설명된 공식 문서가 어디 있는지 아시나요?
정성태
2013-07-17 11시50분
[ing™] 스택에서 본건 있지만 공식 문서가 어디에 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여러가지로 테스트를 해 본결과 쓰레드풀에서는 기본적으로 재 사용을 하지만 쓰레드 안에 Waiting 하는(DB Query or Sleep, HTTPClient load) 작업이 1초이상 걸리면 새로운 쓰레드를 생성하고 있습니다.
[guest]
2015-11-03 01시04분
이와 관련된 WCF에서의 현상을 다음의 질문에서 볼 수 있습니다.

BottleNeck/delay when Calling WCF service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33402316/bottleneck-delay-when-calling-wcf-service/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76정성태3/8/20241543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
13575정성태3/7/20241676닷넷: 2227. 최신 C# 문법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 쓸 수 있을까요?
13574정성태3/6/20241557닷넷: 2226. C#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의 IPv6 DualMode 소켓
13573정성태3/5/20241563닷넷: 2225. Windbg - dumasync로 분석하는 async/await 호출
13572정성태3/4/20241643닷넷: 2224. C# - WPF의 Dispatcher Queue로 알아보는 await 호출의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1
13571정성태3/1/20241620닷넷: 2223. C# - await 호출과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70정성태2/29/20241635닷넷: 2222. C# -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69정성태2/28/20241545닷넷: 2221. C# - LoadContext, LoadFromContext 그리고 GAC파일 다운로드1
13568정성태2/27/20241606닷넷: 2220. C# - .NET Framework 프로세스의 LoaderOptimization 설정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67정성태2/27/20241618오류 유형: 898. .NET Framework 3.5 이하에서 mscoree.tlb 참조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3566정성태2/27/20241631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
13565정성태2/23/20241479닷넷: 2219.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개별 System.Security.Permissions 제어
13564정성태2/22/20241614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13563정성태2/21/20241646디버깅 기술: 196. windbg - async/await 비동기인 경우 메모리 덤프 분석의 어려움
13562정성태2/21/20241646오류 유형: 896. ASP.NET - .NET Framework 기본 예제에서 System.Web에 대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3561정성태2/20/20241744닷넷: 2218. C# - (예를 들어, Socket) 비동기 I/O에 대한 await 호출 시 CancellationToken을 이용한 취소파일 다운로드1
13560정성태2/19/20241747디버깅 기술: 195. windbg 분석 사례 - Semaphore 잠금으로 인한 Hang 현상 (닷넷)
13559정성태2/19/20242625오류 유형: 895. ASP.NET -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13558정성태2/18/20241820닷넷: 2217. C# - 최댓값이 1인 SemaphoreSlim 보다 Mutex 또는 lock(obj)를 선택하는 것이 나은 이유
13557정성태2/18/20241620Windows: 258. Task Scheduler의 Author 속성 값을 변경하는 방법
13556정성태2/17/20241684Windows: 257. Windows - Symbolic (hard/soft) Link 및 Junction 차이점
13555정성태2/15/20241955닷넷: 2216. C# - SemaphoreSlim 사용 시 주의점
13554정성태2/15/20241709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13553정성태2/14/20241736닷넷: 2215. windbg - thin/fat lock 없이 동작하는 Monitor.Wait + Pulse
13552정성태2/13/20241693닷넷: 2214. windbg - Monitor.Enter의 thin lock과 fat lock
13551정성태2/12/20242017닷넷: 2213. ASP.NET/Core 웹 응용 프로그램 - 2차 스레드의 예외로 인한 비정상 종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