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39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26. 유니코드와 한글 - 유니코드와 닷넷을 이용한 한글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94

.NET Framework: 411. 유니코드의 "compatibility character"가 뭘까요?
; https://www.sysnet.pe.kr/2/0/1607

.NET Framework: 429. C# - 유니코드 한글 문자열을 ks_c_5601-1987로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657

개발 환경 구성: 230.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
; https://www.sysnet.pe.kr/2/0/1710

.NET Framework: 450. 영문 윈도우에서 C# 콘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 출력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12

.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 https://www.sysnet.pe.kr/2/0/11710

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
; https://www.sysnet.pe.kr/2/0/11724

Windows: 176. Raymond Chen이 한글날에 밝히는 윈도우의 한글 자모 분리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2369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

우선, 우리에게 "완성형 한글"이라고 알려진 KS C 5601-1987에 대한 것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다음의 문서를 보면,

KSC 5601 - S-Space - 서울대학교
;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61586/3/1.snulib_v127_004.pdf

KSC 5601 은 94x94 의 각 위치(행열)에 한 글 문자를 일정한 순서에 따라 배열해
놓은 문자세트를 의미한다. 한글 코 드 의 KS 제정에서 완성형이 채택된 것은 내부
적으로 한글 의 출력이 모아쓰기 형태로 이 루 어지면서 한자 를 섞어서 쓸 수 있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로 조합형을 수용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또 다른 배경은 국
가 간의 정보교환을 위한 코드 표준화 과정에서 ISO 2022 에서 제정한 코드 체계에
따라 세계 각국의 문자를 처리하는데 기인한다. 이 는 1 바이트 코드로 한 문자 표현
이 불가능한 CJK(Chinese, Japanese, Korean) 문자를 2바이트 코드 영역의 첫 번째
영역에 넣을 수 있도록 영역을 확보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 의해 KSC 5601-1982 에 의한 2 바이트 조합형 코드가, 1987년에
2바이트 완성형 코 드 인 정보교환용 부호에 관한 한글 공업 규격으로 새로 바뀌게
된 것이다.


KSC 5601 표준에 포함된 문자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완성형 한글 2,350자
한자 4,888자
기술/학술기호 등 특수문자 432자
숫자 30자
한글 낱자 94자
로마문자 52자
그리스 문자 48자
패션 조각 68자
라틴 문자 27자
일본 문자 169자
러시아 문자 66자
--------- 총 8,224자
기타 사용자 정의 영역으로 한글 96자
한자 95자 정도를 사용하도록 배정
--------- 94 x 94 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총 8,836 문자를 표현 가능

Unicode 표준의 인코딩으로 UTF-8, UTF-16, UTF-32가 있는 것처럼, ks_c_5601-1987 표준안의 인코딩 방식으로는 euc-kr과 ISO-2022-KR이 있습니다. KSC 5601의 문자 셋이 94x94의 행렬에 배치한 것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다음의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Korean Graphic Character Set, Korean Standard KSC 5601-1987
; https://www.itscj.ipsj.or.jp/iso-ir/149.pdf

INTERNATIONAL REGISTER OF CODED CHARACTER SETS TO BE USED WITH ESCAPE SEQUENCES
; https://www.itscj.ipsj.or.jp/itscj_english/iso-ir/ISO-IR.pdf

그리고 KS X 시리즈로 나가는 표준안의 이름이 각각 다음과 같이 대응합니다.

KS X 1001 - 한국 산업 규격의 한글 문자 집합 (ks_c_5601-1987이었으며 개정된 연도를 반영해 KS X 1001:2004가 최신임)
KS X 1002 - KS X 1001의 보조 문자 집합 (과거 ks_c_5687이었으며 개정된 연도를 반영해 KS X 1002:2001이 최신임)
            KS X 1001의 보조 문자 집합이기 때문에 KS X 1001에서는 "쓩"과 같은 문자를 표현할 수 없었던 것을 KS X 1002에서 해결.
            반면, "뷁"이라는 글자 등은 포함하고 있지 않음.
KS X 1003 - KS X 1001과 함께 사용되는 로마 문자 집합(ks_c_5636이었으며 개정된 연도를 반영해 KS X 1003:2003이 최신임)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환경 개발자들은 지금까지 설명한 ks_c_5601-1987 용어를 주의해야 합니다. 한글 윈도우에서 구현한 인코딩은 기존 KS X 1001의 문자 셋을 포함해 한글의 표현을 11,172자까지 확장한 MS949(x-windows-949, Unified Hangul Code)인데, 마이크로소프트가 이 용어를 인코딩 이름으로 사용하지 않고 "ks_c_5601-1987"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일반적으로 euc-kr은 ks_c_5601-1987 표준안에 대한 인코딩 방식인데 윈도우 환경에서는 "ks_c_5601-1987" 인코딩이 MS949의 인코딩 이름이 된 것입니다. 같은 의미로 CP949가 있는데 이것은 윈도우 운영체제의 Code Page 값이 949라는 것으로 MS949 인코딩의 코드 페이지를 반영한 이름이며 이런 식으로 보면 euc-kr은 CP51949라고 표현할 수 있는 정도로 보면 됩니다.

Code Page Identifiers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desktop/Intl/code-page-identifiers

이제 유니코드로 넘어가겠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확장 한글이 11,172자의 한글을 표현한다고 했는데 유니코드 역시 초성 19개, 중성 21개, 종성 27개의 조합으로 구성한 19 * 21 * 28 = 11,172자의 글자를 표현합니다. (종성의 조합이 28이 된 것은 종성이 없는 글자도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코드 표의 값은 완전히 다릅니다. 가령 다음은 유니코드의 한글 코드인데,

[유니코드]
0xAC00 == 가
0xAC01 == 각
0xAC02 == 갂

KS X 1001(euc-kr)에는 '갂'이라는 글자가 없습니다.

[euc-kr]
0xB0A1 == 가
0xB0A2 == 각
0xB0A3 == 간

KS X 1001을 확장한 MS949는 11,172자를 표현하는데 그중에 '갂'이 포함되어 있고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ms949]
0xB0A1 == 가
0xB0A2 == 각
0x8141 == 갂

보는 바와 같이 euc-kr 과의 호환을 지키기 위해 ms949는 0xb0a1...에서 차례로 단어를 지정하지 못하고 엉뚱하게 0x8100 등의 기점으로 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사실상 ms949 데이터와 유니코드가 동일한 글자 수를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서로 변환을 할 수 있는 일정한 규칙이 없습니다. 결국 변환은 코드 테이블의 매핑 문제로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공식 문서에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Korean Hangul Encoding Conversion Table
; http://unicode.org/Public//MAPPINGS/OBSOLETE/EASTASIA/KSC/HANGUL.TXT

한글과 함께 ms949의 전체 문자를 포함하는 Code Page 949 영역의 문자에 대한 유니코드 변환 테이블
cp949 to Unicode table
; http://unicode.org/Public/MAPPINGS/VENDORS/MICSFT/WINDOWS/CP949.TXT

아울러 전체 유니코드에 대한 코드 표는 다음의 공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Unicode 11.0 Character Code Charts
; http://www.unicode.org/charts/

이 중에서 한글 코드 표는 "Hangul Syllables"와 "Hangul Jamo"에 해당합니다.

Hangul Syllables (AC00 - D7AF)
; http://www.unicode.org/charts/PDF/UAC00.pdf

Hangul Jamo (Range: 1100 - 11FF)
; http://www.unicode.org/charts/PDF/U1100.pdf

일단 "Hangul Syllables"는 완성형 문자 하나씩 코드 표에 대응하는 반면 "Hangul Jamo"는 완성형 문자의 초성, 중성, 종성에 해당하는 코드 표를 가집니다. 유니코드의 "Hangul Jamo" 코드 표가 특이한 것은, 같은 'ㄱ'인데도 초성이냐, 종성이냐를 구분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냥 하나의 글자로서의 'ㄱ'은 담고 있지 않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기존에 널리 쓰이던 euc-kr, ms949 방식의 인코딩에서는 초성/종성을 구분하지 않는 코드 표가 있다는 점입니다.

hangul_compat_1.png

저렇게 4행에 있는 94개의 코드가 초성/종성을 구분하지 않는 자모에 대한 코드 표가 있는데, 따라서 "euc-kr, ms949"와 "unicode" 사이의 데이터 변환이 "Hangul Syllables"와 "Hangul Jamo"만으로는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없습니다. 이러한 호환 문제를 해결하는 코드 표가 바로 "Hangul Compatibility Jamo"입니다.

Hangul Compatibility Jamo (3130 - 318F)
; http://www.unicode.org/charts/PDF/U3130.pdf

그 외 Hangul Jamo Extended-A(A960 - A97F), Hangul Jamo Extended-B(D7B0 - D7FF), Halfwidth Jamo 영역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좀 더 생각해 보면, "Hangul Compatibility Jamo"가 반드시 호환만을 위해 나오진 않았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분명히 초성/종성을 구분하지 않는 글자로서의 'ㄱ'도 필요하기 때문에, 어차피 유니코드에 포함시켜야 했겠지만 마침 기존 인코딩과의 호환도 있고 해서 그 영역에 자연스럽게 포함시킨 것이 아닌가 합니다. (물론, 이것은 제 개인적인 추측입니다. ^^)




위에서 설명했지만, 유니코드의 경우 ms949와는 달리 11,172 글자를 일렬로 자모의 조합 규칙에 맞게 배치했으므로 초성, 중성, 종성에 대한 분리가 매우 쉽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공식 문서에,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7.0 - Core Specification
; http://www.unicode.org/versions/Unicode7.0.0/ch03.pdf#G24646

Java 언어로 싣고 있습니다.

// Sample Code for Hangul Algorithms

static final int SBase = 0xAC00, LBase = 0x1100, VBase = 0x1161, TBase = 0x11A7, LCount = 19, VCount = 21, TCount = 28, 
        NCount = VCount * TCount, // 588
        SCount = LCount * NCount; // 11172

public static String decomposeHangul(char s) 
{
    int SIndex = s - SBase;
    if (SIndex < 0 || SIndex >= SCount) {
        return String.valueOf(s);
    }

    StringBuffer result = new StringBuffer();

    int L = LBase + SIndex / NCount;
    int V = VBase + (SIndex % NCount) / TCount;
    int T = TBase + SIndex % TCount;

    result.append((char)L);
    result.append((char)V);

    if (T != TBase) result.append((char)T);

    return result.toString();
}

초성 19, 중성 21, 종성 27 + 1로 이뤄진 조합 규칙의 나열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저 소스 코드가 이해가 될 것입니다. 닷넷의 경우, 위의 코드를 간단하게 변환해서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string.Normalize 메서드를 이용해 분리가 되므로 굳이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지금까지 읽은 지식으로 다시 예전에 설명했던,

유니코드와 한글 - 유니코드와 닷넷을 이용한 한글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94

NFD (정준 분해)와 NFKD (호환 분해)를 보겠습니다. 'ㄱ'과 '각'이라는 글자를 우선 NFD 분해해 보면,

ㄱ: 12593  // "Hangul Compatibility Jamo" 영역의 'ㄱ' 
ㄱ: 4352   // "Hangul Jamo" 영역의 초성 'ㄱ'

각자의 영역에 맞게 분해 값이 나옵니다. 반면 NFKD 분해를 하면,

ㄱ: 4352  // "Hangul Jamo" 영역의 초성 'ㄱ' 
ㄱ: 4352  // "Hangul Jamo" 영역의 초성 'ㄱ'

"Hangul Compatibility Jamo" 영역의 자모를 "Hangul Jamo" 영역의 자모로 변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혹시, 반대로 "Hangul Jamo" 영역의 자모를 "Hangul Compatibility Jamo" 영역의 자모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그 두 가지 영역의 관계를 보면 별다르게 변환 방법이 있어 보이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변환 테이블을 만들어 쉽게 해결할 수 있는데, 만드는 방법은 "Hangul Compatibility Jamo" 영역이 ms949와의 호환 영역이라는 것을 고려해서 다음과 같이 인코딩과 역인코딩을 해 구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Text;

class Program
{
    static Encoding ms949enc = Encoding.GetEncoding("ks_c_5601-1987");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ictionary table = new Dictionary();

        for (int i = 0; i < (0x11FF - 0x1100); i++) // Hangul Jamo 영역
        {
            char ch = (char)(0x1100 + i);
            string s = new string(ch, 1);

            string syllable = s.Normalize(System.Text.NormalizationForm.FormD);

            AddTable(table, syllable[0]);

            if (syllable.Length == 3)
            {
                AddTable(table, syllable[2]);
            }

        }

        // 매핑 테이블을 위한 C# 소스 코드 생성
        Console.WriteLine("Dictionary jamoToCompatJamo = new Dictionary()");
        Console.WriteLine("{");
        Console.WriteLine("    // [Hangul Jamo] to [Hangul Compatibility Jamo]");
        foreach (var item in table)
        {
            Console.WriteLine("    {" + item.Value + "," + item.Key + "}, // " + (char)item.Key + "' == '" + (char)item.Value + "'");
        }
        Console.WriteLine("};");
    }

    private static void AddTable(Dictionary table, char ch)
    {
        char compatCh = ConvertToCompatibiltyJamo(ch);
        if (compatCh == '?') // '?' == fallback character
        {
            return;
        }

        table[(short)ch] = compatCh;
    }

    private static char ConvertToCompatibiltyJamo(char ch)
    {
        byte[] buf = ms949enc.GetBytes(ch.ToString());
        string txt = ms949enc.GetString(buf);

        return txt[0];
    }
}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Dictionary<short, short> jamoToCompatJamo = new Dictionary<short, short>()
    {
        // [Hangul Jamo] to [Hangul Compatibility Jamo]
        {12593,4352}, // ㄱ' == 'ㄱ'
        {12594,4353}, // ㄲ' == 'ㄲ'
        {12596,4354}, // ㄴ' == 'ㄴ'
        {12599,4355}, // ㄷ' == 'ㄷ'
        {12600,4356}, // ㄸ' == 'ㄸ'
        {12601,4357}, // ㄹ' == 'ㄹ'
        {12609,4358}, // ㅁ' == 'ㅁ'
        {12610,4359}, // ㅂ' == 'ㅂ'
        {12611,4360}, // ㅃ' == 'ㅃ'
        {12613,4361}, // ㅅ' == 'ㅅ'
        {12614,4362}, // ㅆ' == 'ㅆ'
        {12615,4363}, // ㅇ' == 'ㅇ'
        {12616,4364}, // ㅈ' == 'ㅈ'
        {12617,4365}, // ㅉ' == 'ㅉ'
        {12618,4366}, // ㅊ' == 'ㅊ'
        {12619,4367}, // ㅋ' == 'ㅋ'
        {12620,4368}, // ㅌ' == 'ㅌ'
        {12621,4369}, // ㅍ' == 'ㅍ'
        {12622,4370}, // ㅎ' == 'ㅎ'
        {12645,4372}, // ㅥ' == 'ㅥ'
        {12646,4373}, // ㅦ' == 'ㅦ'
        {12653,4378}, // ㅭ' == 'ㅭ'
        {12654,4380}, // ㅮ' == 'ㅮ'
        {12657,4381}, // ㅱ' == 'ㅱ'
        {12658,4382}, // ㅲ' == 'ㅲ'
        {12659,4384}, // ㅳ' == 'ㅳ'
        {12612,4385}, // ㅄ' == 'ㅄ'
        {12660,4386}, // ㅴ' == 'ㅴ'
        {12661,4387}, // ㅵ' == 'ㅵ'
        {12662,4391}, // ㅶ' == 'ㅶ'
        {12663,4393}, // ㅷ' == 'ㅷ'
        {12664,4395}, // ㅸ' == 'ㅸ'
        {12665,4396}, // ㅹ' == 'ㅹ'
        {12666,4397}, // ㅺ' == 'ㅺ'
        {12667,4398}, // ㅻ' == 'ㅻ'
        {12668,4399}, // ㅼ' == 'ㅼ'
        {12669,4402}, // ㅽ' == 'ㅽ'
        {12670,4406}, // ㅾ' == 'ㅾ'
        {12613,4412}, // ㅅ' == 'ㅅ'
        {12614,4413}, // ㅆ' == 'ㅆ'
        {12613,4414}, // ㅅ' == 'ㅅ'
        {12614,4415}, // ㅆ' == 'ㅆ'
        {12671,4416}, // ㅿ' == 'ㅿ'
        {12674,4421}, // ㆂ' == 'ㆂ'
        {12675,4422}, // ㆃ' == 'ㆃ'
        {12672,4423}, // ㆀ' == 'ㆀ'
        {12615,4428}, // ㅇ' == 'ㅇ'
        {12616,4430}, // ㅈ' == 'ㅈ'
        {12617,4431}, // ㅉ' == 'ㅉ'
        {12616,4432}, // ㅈ' == 'ㅈ'
        {12617,4433}, // ㅉ' == 'ㅉ'
        {12618,4436}, // ㅊ' == 'ㅊ'
        {12618,4437}, // ㅊ' == 'ㅊ'
        {12676,4439}, // ㆄ' == 'ㆄ'
        {12677,4440}, // ㆅ' == 'ㆅ'
        {12678,4441}, // ㆆ' == 'ㆆ'
        {12644,4447}, // ㅤ' == 'ㅤ'
        {12623,4449}, // ㅏ' == 'ㅏ'
        {12624,4450}, // ㅐ' == 'ㅐ'
        {12625,4451}, // ㅑ' == 'ㅑ'
        {12626,4452}, // ㅒ' == 'ㅒ'
        {12627,4453}, // ㅓ' == 'ㅓ'
        {12628,4454}, // ㅔ' == 'ㅔ'
        {12629,4455}, // ㅕ' == 'ㅕ'
        {12630,4456}, // ㅖ' == 'ㅖ'
        {12631,4457}, // ㅗ' == 'ㅗ'
        {12632,4458}, // ㅘ' == 'ㅘ'
        {12633,4459}, // ㅙ' == 'ㅙ'
        {12634,4460}, // ㅚ' == 'ㅚ'
        {12635,4461}, // ㅛ' == 'ㅛ'
        {12636,4462}, // ㅜ' == 'ㅜ'
        {12637,4463}, // ㅝ' == 'ㅝ'
        {12638,4464}, // ㅞ' == 'ㅞ'
        {12639,4465}, // ㅟ' == 'ㅟ'
        {12640,4466}, // ㅠ' == 'ㅠ'
        {12641,4467}, // ㅡ' == 'ㅡ'
        {12642,4468}, // ㅢ' == 'ㅢ'
        {12643,4469}, // ㅣ' == 'ㅣ'
        {12679,4484}, // ㆇ' == 'ㆇ'
        {12680,4485}, // ㆈ' == 'ㆈ'
        {12681,4488}, // ㆉ' == 'ㆉ'
        {12682,4497}, // ㆊ' == 'ㆊ'
        {12683,4498}, // ㆋ' == 'ㆋ'
        {12684,4500}, // ㆌ' == 'ㆌ'
        {12685,4510}, // ㆍ' == 'ㆍ'
        {12686,4513}, // ㆎ' == 'ㆎ'
        {12593,4520}, // ㄱ' == 'ㄱ'
        {12594,4521}, // ㄲ' == 'ㄲ'
        {12595,4522}, // ㄳ' == 'ㄳ'
        {12596,4523}, // ㄴ' == 'ㄴ'
        {12597,4524}, // ㄵ' == 'ㄵ'
        {12598,4525}, // ㄶ' == 'ㄶ'
        {12599,4526}, // ㄷ' == 'ㄷ'
        {12601,4527}, // ㄹ' == 'ㄹ'
        {12602,4528}, // ㄺ' == 'ㄺ'
        {12603,4529}, // ㄻ' == 'ㄻ'
        {12604,4530}, // ㄼ' == 'ㄼ'
        {12605,4531}, // ㄽ' == 'ㄽ'
        {12606,4532}, // ㄾ' == 'ㄾ'
        {12607,4533}, // ㄿ' == 'ㄿ'
        {12608,4534}, // ㅀ' == 'ㅀ'
        {12609,4535}, // ㅁ' == 'ㅁ'
        {12610,4536}, // ㅂ' == 'ㅂ'
        {12612,4537}, // ㅄ' == 'ㅄ'
        {12613,4538}, // ㅅ' == 'ㅅ'
        {12614,4539}, // ㅆ' == 'ㅆ'
        {12615,4540}, // ㅇ' == 'ㅇ'
        {12616,4541}, // ㅈ' == 'ㅈ'
        {12618,4542}, // ㅊ' == 'ㅊ'
        {12619,4543}, // ㅋ' == 'ㅋ'
        {12620,4544}, // ㅌ' == 'ㅌ'
        {12621,4545}, // ㅍ' == 'ㅍ'
        {12622,4546}, // ㅎ' == 'ㅎ'
        {12646,4550}, // ㅦ' == 'ㅦ'
        {12647,4551}, // ㅧ' == 'ㅧ'
        {12648,4552}, // ㅨ' == 'ㅨ'
        {12649,4556}, // ㅩ' == 'ㅩ'
        {12650,4558}, // ㅪ' == 'ㅪ'
        {12651,4563}, // ㅫ' == 'ㅫ'
        {12652,4567}, // ㅬ' == 'ㅬ'
        {12653,4569}, // ㅭ' == 'ㅭ'
        {12654,4572}, // ㅮ' == 'ㅮ'
        {12655,4573}, // ㅯ' == 'ㅯ'
        {12656,4575}, // ㅰ' == 'ㅰ'
        {12664,4582}, // ㅸ' == 'ㅸ'
        {12666,4583}, // ㅺ' == 'ㅺ'
        {12668,4584}, // ㅼ' == 'ㅼ'
        {12669,4586}, // ㅽ' == 'ㅽ'
        {12671,4587}, // ㅿ' == 'ㅿ'
        {12672,4590}, // ㆀ' == 'ㆀ'
        {12615,4592}, // ㅇ' == 'ㅇ'
        {12674,4593}, // ㆂ' == 'ㆂ'
        {12675,4594}, // ㆃ' == 'ㆃ'
        {12676,4596}, // ㆄ' == 'ㆄ'
        {12678,4601}, // ㆆ' == 'ㆆ'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94정성태3/22/20234121.NET Framework: 2105.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 두 번째
13293정성태3/22/20234191오류 유형: 853. dumpbin - warning LNK4048: Invalid format file; ignored
13292정성태3/21/20234305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파일 다운로드1
13291정성태3/20/20234712.NET Framework: 2104. C# Windows Forms - WndProc 재정의와 IMessageFilter 사용 시의 차이점
13290정성태3/19/20234219.NET Framework: 2103. C# - 윈도우에서 기본 제공하는 FindText 대화창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289정성태3/18/20233416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8정성태3/17/20233515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7정성태3/16/20233683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6정성태3/15/20234146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13285정성태3/14/20233736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4정성태3/13/20233936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3정성태3/12/20233477오류 유형: 852. 파이썬 - TypeError: coercing to Unicode: need string or buffer, NoneType found
13282정성태3/12/20233807Linux: 58. WSL - nohup 옵션이 필요한 경우
13281정성태3/12/20233716Windows: 225. 윈도우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이 넓게 퍼지는 경우 [2]
13280정성태3/9/20234452개발 환경 구성: 670. WSL 2에서 호스팅 중인 TCP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
13279정성태3/9/20233996오류 유형: 851. 파이썬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_cffi_backend'
13278정성태3/8/20233940개발 환경 구성: 669. WSL 2의 (init이 아닌) systemd 지원 [1]
13277정성태3/6/20234575개발 환경 구성: 668. 코드 사인용 인증서 신청 및 적용 방법(예: Digicert)
13276정성태3/5/20234306.NET Framework: 2102. C# 11 - ref struct/ref field를 위해 새롭게 도입된 scoped 예약어
13275정성태3/3/20234660.NET Framework: 2101. C# 11의 ref 필드 설명
13274정성태3/2/20234252.NET Framework: 2100. C# - ref 필드로 ref struct 타입을 허용하지 않는 이유
13273정성태2/28/20233953.NET Framework: 2099. C# - 관리 포인터로서의 ref 예약어 의미
13272정성태2/27/20234199오류 유형: 850. SSMS - mdf 파일을 Attach 시킬 때 Operating system error 5: "5(Access is denied.)" 에러
13271정성태2/25/20234142오류 유형: 849. Sql Server Configuration Manager가 시작 메뉴에 없는 경우
13270정성태2/24/20233754.NET Framework: 2098. dotnet build에 /p 옵션을 적용 시 유의점
13269정성태2/23/20234288스크립트: 46. 파이썬 - uvicorn의 콘솔 출력을 UDP로 전송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