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언어의 setjmp/longjmp 기능을 Thread Context를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

이번 글은 그냥 재미로 봐주시면 되겠습니다. (사실 현업에서 쓸 일은 거의 없습니다. ^^)

C 언어를 공부하신 분은 특이한 (무조건적인) 점프 문이 함수로 구현된 것을 아실 텐데요,

C library function - longjmp()
; https://www.tutorialspoint.com/c_standard_library/c_function_longjmp.htm

위의 글에 실린 예제를,

// https://www.tutorialspoint.com/c_standard_library/c_function_longjmp.htm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setjmp.h>

int main () {
   int val;
   jmp_buf env_buffer;

   /* save calling environment for longjmp */
   val = setjmp( env_buffer );
   
   if( val != 0 ) {
      printf("Returned from a longjmp() with value = %s\n", val);
      exit(0);
   }
   printf("Jump function call\n");
   jmpfunction( env_buffer );
   
   return(0);
}

void jmpfunction(jmp_buf env_buf) {
   longjmp(env_buf, "tutorialspoint.com");
}

/* 실행 출력 결과
Jump function call
Returned from a longjmp() with value = tutorialspoint.com
*/

실행해 보면, setjmp를 호출함으로써 그 시점의 환경을 저장한 다음, longjmp를 호출함으로써 setjmp를 호출했던 시점으로 말 그대로 jump가 됩니다. 이에 대한 구현 방식은 간단하게 Visual Studio의 디버깅 중 Disassembly 창을 이용해 덤프해 볼 수 있습니다.

--- d:\agent\_work\36\s\src\vctools\crt\vcruntime\src\eh\amd64\setjmp.asm ------
00007FFD9727F0F0 48 89 11             mov         qword ptr [rcx],rdx  
00007FFD9727F0F3 48 89 59 08          mov         qword ptr [rcx+8],rbx  
00007FFD9727F0F7 48 89 69 18          mov         qword ptr [rcx+18h],rbp  
00007FFD9727F0FB 48 89 71 20          mov         qword ptr [rcx+20h],rsi  
00007FFD9727F0FF 48 89 79 28          mov         qword ptr [rcx+28h],rdi  
00007FFD9727F103 4C 89 61 30          mov         qword ptr [rcx+30h],r12  
00007FFD9727F107 4C 89 69 38          mov         qword ptr [rcx+38h],r13  
00007FFD9727F10B 4C 89 71 40          mov         qword ptr [rcx+40h],r14  
00007FFD9727F10F 4C 89 79 48          mov         qword ptr [rcx+48h],r15  
00007FFD9727F113 4C 8D 44 24 08       lea         r8,[rsp+8]  
00007FFD9727F118 4C 89 41 10          mov         qword ptr [rcx+10h],r8  
00007FFD9727F11C 4C 8B 04 24          mov         r8,qword ptr [rsp]  
00007FFD9727F120 4C 89 41 50          mov         qword ptr [rcx+50h],r8  
00007FFD9727F124 0F AE 59 58          stmxcsr     dword ptr [rcx+58h]  
00007FFD9727F128 D9 79 5C             fnstcw      word ptr [rcx+5Ch]  
00007FFD9727F12B 66 0F 7F 71 60       movdqa      xmmword ptr [rcx+60h],xmm6  
00007FFD9727F130 66 0F 7F 79 70       movdqa      xmmword ptr [rcx+70h],xmm7  
00007FFD9727F135 66 44 0F 7F 81 8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80h],xmm8  
00007FFD9727F13E 66 44 0F 7F 89 9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90h],xmm9  
00007FFD9727F147 66 44 0F 7F 91 A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A0h],xmm10  
00007FFD9727F150 66 44 0F 7F 99 B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B0h],xmm11  
00007FFD9727F159 66 44 0F 7F A1 C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C0h],xmm12  
00007FFD9727F162 66 44 0F 7F A9 D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D0h],xmm13  
00007FFD9727F16B 66 44 0F 7F B1 E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E0h],xmm14  
00007FFD9727F174 66 44 0F 7F B9 F0 00 00 00 movdqa      xmmword ptr [rcx+0F0h],xmm15  
00007FFD9727F17D 33 C0                xor         eax,eax  
00007FFD9727F17F C3                   ret  

대체로 ("CRT(C Runtime)" Library를 비롯한) Visual C++ 관련 소스 코드는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VC\Tools\MSVC\14.29.30037\crt\src" 디렉터리에 공개돼 있지만 아쉽게도 setjmp.asm 파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어셈블리 코드라서 위와 같이 역어셈블 코드만 봐도 대충 호출 문맥을 jmp_buf 타입의 구조체에 저장한다는 것을 짐작게 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longjmp는 jmp_buf 구조체에 저장된 문맥을 복원하고, 마찬가지로 setjmp가 호출된 당시의 EIP/RIP 주소로 jmp 하리라는 것을 Disassembly 창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agent\_work\36\s\src\vctools\crt\vcruntime\src\eh\amd64\longjmp.asm -----
00007FFD972AEFF0 48 83 EC 48          sub         rsp,48h  
00007FFD972AEFF4 48 85 D2             test        rdx,rdx  
00007FFD972AEFF7 75 03                jne         LJ10 (07FFD972AEFFCh)  
00007FFD972AEFF9 48 FF C2             inc         rdx  
00007FFD972AEFFC 4D 33 D2             xor         r10,r10  
00007FFD972AEFFF F3 49 0F 1E CA       rdsspq      r10  
00007FFD972AF004 4D 85 D2             test        r10,r10  
00007FFD972AF007 0F 85 91 00 00 00    jne         LJ10+0A2h (07FFD972AF09Eh)  
00007FFD972AF00D 4C 39 11             cmp         qword ptr [rcx],r10  
00007FFD972AF010 0F 85 88 00 00 00    jne         LJ10+0A2h (07FFD972AF09Eh)  
00007FFD972AF016 48 8B C2             mov         rax,rdx  
00007FFD972AF019 48 8B 59 08          mov         rbx,qword ptr [rcx+8]  
00007FFD972AF01D 48 8B 71 20          mov         rsi,qword ptr [rcx+20h]  
00007FFD972AF021 48 8B 79 28          mov         rdi,qword ptr [rcx+28h]  
00007FFD972AF025 4C 8B 61 30          mov         r12,qword ptr [rcx+30h]  
00007FFD972AF029 4C 8B 69 38          mov         r13,qword ptr [rcx+38h]  
00007FFD972AF02D 4C 8B 71 40          mov         r14,qword ptr [rcx+40h]  
00007FFD972AF031 4C 8B 79 48          mov         r15,qword ptr [rcx+48h]  
00007FFD972AF035 0F AE 51 58          ldmxcsr     dword ptr [rcx+58h]  
00007FFD972AF039 DB E2                fnclex  
00007FFD972AF03B D9 69 5C             fldcw       word ptr [rcx+5Ch]  
00007FFD972AF03E 66 0F 6F 71 60       movdqa      xmm6,xmmword ptr [rcx+60h]  
00007FFD972AF043 66 0F 6F 79 70       movdqa      xmm7,xmmword ptr [rcx+70h]  
00007FFD972AF048 66 44 0F 6F 81 80 00 00 00 movdqa      xmm8,xmmword ptr [rcx+80h]  
00007FFD972AF051 66 44 0F 6F 89 90 00 00 00 movdqa      xmm9,xmmword ptr [rcx+90h]  
00007FFD972AF05A 66 44 0F 6F 91 A0 00 00 00 movdqa      xmm10,xmmword ptr [rcx+0A0h]  
00007FFD972AF063 66 44 0F 6F 99 B0 00 00 00 movdqa      xmm11,xmmword ptr [rcx+0B0h]  
00007FFD972AF06C 66 44 0F 6F A1 C0 00 00 00 movdqa      xmm12,xmmword ptr [rcx+0C0h]  
00007FFD972AF075 66 44 0F 6F A9 D0 00 00 00 movdqa      xmm13,xmmword ptr [rcx+0D0h]  
00007FFD972AF07E 66 44 0F 6F B1 E0 00 00 00 movdqa      xmm14,xmmword ptr [rcx+0E0h]  
00007FFD972AF087 66 44 0F 6F B9 F0 00 00 00 movdqa      xmm15,xmmword ptr [rcx+0F0h]  
00007FFD972AF090 48 8B 51 50          mov         rdx,qword ptr [rcx+50h]  
00007FFD972AF094 48 8B 69 18          mov         rbp,qword ptr [rcx+18h]  
00007FFD972AF098 48 8B 61 10          mov         rsp,qword ptr [rcx+10h]  
00007FFD972AF09C FF E2                jmp         rdx  




자, 그럼 이것을 GetThreadContext와 SetThreadContext로 흉내 내 볼까요? ^^

GetThreadContext function (processthreadsapi.h)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getthreadcontext

SetThreadContext function (processthreadsapi.h)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setthreadcontext

문제를 명확하게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Thread를 하나 생성하고, nullptr 참조로 인한 crash가 발생하는 예제를 일부러 작성해 보겠습니다.

#include <windows.h>
#include <stdio.h>

DWORD WINAPI threadFunc1(LPVOID lpThreadParameter)
{
    char *ptr = nullptr;

    printf("Thread1: I'll destroy this process after one second.\n");
    Sleep(1000);

    *ptr = '\0'; // null 참조 비정상 종료
    
    return 0;
}

int main()
{
    ::CreateThread(nullptr, 0, threadFunc1, nullptr, 0, nullptr);

    printf("%s\n", "Press any key to exit..");
    getchar();

    return 0;
}

위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1초 후에 비정상 종료합니다. 이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GetThreadContext/SetThreadContext를 넣어 볼까요? ^^

DWORD WINAPI threadFunc1(LPVOID lpThreadParameter)
{
    CONTEXT ctxThread1 = { 0 };
    ctxThread1.ContextFlags = CONTEXT_ALL;
    // 현재 스레드 실행 문맥을 저장하고,
    ::G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char *ptr = nullptr;

    printf("Thread1: I'll destroy this process after one second.\n");
    Sleep(1000);

    // 이전에 저장해 둔 실행 문맥을 복원
    S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ptr = '\0'; // null 참조 비정상 종료
    
    return 0;
}

그런데, 실제로 저렇게 실행하면 SetThreadContext 함수 호출은 (무시라도 하는 것처럼)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이후의 "*ptr = '\0'" 코드를 실행합니다. 오호~~~ 이유가 뭘까요? ^^

사실, 분명히 SetThreadContext는 GetThreadContext를 수행했던 시기의 EIP/RIP로 정확하게 이동을 합니다. 문제는, GetThreadContext의 호출로 저장된 EIP/RIP의 위치입니다.

00007FFDCBFEEC38 0F 1F 84 00 00 00 00 00 nop         dword ptr [rax+rax]  
00007FFDCBFEEC40 4C 8B D1             mov         r10,rcx  
00007FFDCBFEEC43 B8 F2 00 00 00       mov         eax,0F2h  
00007FFDCBFEEC48 F6 04 25 08 03 FE 7F 01 test        byte ptr [7FFE0308h],1  
00007FFDCBFEEC50 75 03                jne         NtGetContextThread+15h (07FFDCBFEEC55h)  
00007FFDCBFEEC52 0F 05                syscall  
00007FFDCBFEEC54 C3                   ret  

위의 코드에서 NtGetContextThread는 syscall로 User 모드에서 Kernel 모드로의 이전이 이뤄지고 결국 GetThreadContext의 EIP/RIP 값은 바로 그다음에 해당하는 (00007FFDCBFEEC54 주소의) ret 위치를 담게 됩니다.

이후 SetThreadContext가 호출되면 00007FFDCBFEEC54 위치로 실행이 이동하게 되고, 곧이어 ret을 호출하기 때문에 결국 SetThreadContext의 호출이 ret 처리된 것이나 다름없게 되는 효과를 냅니다. 따라서, 우리가 의도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EIP/RIP의 위치 보정이 필요합니다.

DWORD64 g_jmpBase;

void SetJumpPoint()
{
    g_jmpBase = *(DWORD64*)_AddressOfReturnAddress();
}

DWORD WINAPI threadFunc1(LPVOID lpThreadParameter)
{
    CONTEXT ctxThread1 = { 0 };
    ctxThread1.ContextFlags = CONTEXT_ALL;
    ::G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SetJumpPoint();
    ctxThread1.Rip = g_jmpBase;

    char *ptr = nullptr;

    printf("Thread1: I'll destroy this process after one second.\n");
    Sleep(1000);
    printf("Context.Rip: (Dormammu) Thread1, I've Come To Bargain.\n");
            
    S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ptr = '\0';
    
    return 0;
}

이렇게 하고 나서야, 이제 비로소 우리가 의도했던 대로 SetThreadContext로 인한 이전 코드로의 실행 점프가 됩니다. (즉, *ptr = '0' 코드는 수행되지 않고 SetJumpPoint 호출 위치로 무한 반복을 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g_jmpBase를 반환 처리하면 안 됩니다.

DWORD64 GetJumpPoint()
{
    return *(DWORD64*)_AddressOfReturnAddress();
}

DWORD WINAPI threadFunc1(LPVOID lpThreadParameter)
{
    CONTEXT ctxThread1 = { 0 };
    ctxThread1.ContextFlags = CONTEXT_ALL;
    ::G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ctxThread1.Rip = GetJumpPoint();

    char *ptr = nullptr;

    printf("Thread1: I'll destroy this process after one second.\n");
    Sleep(1000);
    printf("Context.Rip: (Dormammu) Thread1, I've Come To Bargain.\n");
            
    SetThreadContext(GetCurrentThread(), &ctxThread1);
    *ptr = '\0';
    
    return 0;
}

위와 같이 하면, 처음 한 번의 SetThreadContext 호출 시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두 번째 호출 시에는 비정상 종료가 됩니다. 이때 만약 Visual Studio IDE 내에서 디버깅 중이라면 아래와 같은 유형의 예외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Exception thrown at 0x0000000000000000 in ConsoleApplication2.exe: 0xC0000005: Access violation executing location 0x0000000000000000.

즉, SetThreadContext에 지정된 ctxThread1.Rip의 주솟값이 0x0000000000000000이었기 때문에 그리로 점프해 (당연히) 비정상 종료를 한 것인데요.

원인은, GetJumpPoint가 반환한 위치는 아래에서 "00007FF60DDE1888"로 rax 값을 변수 ctxThread1.Rip에 대입하는 위치이기 때문입니다.

    27:     ctxThread1.Rip = GetJumpPoint();
00007FF60DDE1883 E8 65 FB FF FF       call        GetJumpPoint (07FF60DDE13EDh)  
00007FF60DDE1888 48 89 85 08 01 00 00 mov         qword ptr [rbp+108h],rax  

따라서 SetThreadContext 호출 시점의 rax가 ctxThread1.Rip에 담기게 되는데, 그때의 rax에 들어 있던 값이 0이어서 저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97정성태3/26/20234350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
13296정성태3/25/20233692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1]파일 다운로드1
13295정성태3/24/20233957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94정성태3/22/20234126.NET Framework: 2105.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 두 번째
13293정성태3/22/20234195오류 유형: 853. dumpbin - warning LNK4048: Invalid format file; ignored
13292정성태3/21/20234314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파일 다운로드1
13291정성태3/20/20234720.NET Framework: 2104. C# Windows Forms - WndProc 재정의와 IMessageFilter 사용 시의 차이점
13290정성태3/19/20234225.NET Framework: 2103. C# - 윈도우에서 기본 제공하는 FindText 대화창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289정성태3/18/20233419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8정성태3/17/20233518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7정성태3/16/20233688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6정성태3/15/20234147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
13285정성태3/14/20233741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4정성태3/13/20233942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3정성태3/12/20233481오류 유형: 852. 파이썬 - TypeError: coercing to Unicode: need string or buffer, NoneType found
13282정성태3/12/20233819Linux: 58. WSL - nohup 옵션이 필요한 경우
13281정성태3/12/20233720Windows: 225. 윈도우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이 넓게 퍼지는 경우 [2]
13280정성태3/9/20234472개발 환경 구성: 670. WSL 2에서 호스팅 중인 TCP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
13279정성태3/9/20234013오류 유형: 851. 파이썬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_cffi_backend'
13278정성태3/8/20233973개발 환경 구성: 669. WSL 2의 (init이 아닌) systemd 지원 [1]
13277정성태3/6/20234636개발 환경 구성: 668. 코드 사인용 인증서 신청 및 적용 방법(예: Digicert)
13276정성태3/5/20234316.NET Framework: 2102. C# 11 - ref struct/ref field를 위해 새롭게 도입된 scoped 예약어
13275정성태3/3/20234669.NET Framework: 2101. C# 11의 ref 필드 설명
13274정성태3/2/20234260.NET Framework: 2100. C# - ref 필드로 ref struct 타입을 허용하지 않는 이유
13273정성태2/28/20233958.NET Framework: 2099. C# - 관리 포인터로서의 ref 예약어 의미
13272정성태2/27/20234216오류 유형: 850. SSMS - mdf 파일을 Attach 시킬 때 Operating system error 5: "5(Access is denied.)" 에러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