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78

.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 https://www.sysnet.pe.kr/2/0/12101

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05

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가끔 덤프를 뜰 당시의 프로세스 ID를 알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 (Process Statu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cmds/---process-status-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0:017> |
.  0    id: 1588    examine name: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이 외에 teb 명령어로,

0:000> !teb
TEB at 7ffdd000
    ExceptionList:        0006fc6c
    StackBase:            00070000
    StackLimit:           0006c000
    SubSystemTib:         00000000
    FiberData:            00001e00
    ArbitraryUserPointer: 00000000
    Self:                 7ffdd000
    EnvironmentPointer:   00000000
    ClientId:             00001588 . 000009b8
    RpcHandle:            00000000
    Tls Storage:          00000000
    PEB Address:          7ffde000
    LastErrorValue:       0
    LastStatusValue:      103
    Count Owned Locks:    0
    HardErrorMode:        0

알아낸 peb 주소로 해당 프로세스에 로드된 모듈들의 정보, 명령행 인자 값과 함께 환경변수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0:000> !peb 7ffde000
PEB at 7ffde000
    InheritedAddressSpace:    No
    ReadImageFileExecOptions: No
    BeingDebugged:            No
    ImageBaseAddress:         01000000
    Ldr                       7c9ca7e0
    Ldr.Initialized:          Yes
    Ldr.InInitializationOrderModuleList: 00081f18 . 2e2cfe10
    Ldr.InLoadOrderModuleList:           00081eb0 . 2e2cfe00
    Ldr.InMemoryOrderModuleList:         00081eb8 . 2e2cfe08
            Base TimeStamp                     Module
         1000000 45d6968e Feb 17 14:45:50 2007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7c940000 5507c9e0 Mar 17 15:29:52 2015 C:\WINDOWS\system32\ntdll.dll
        ...[생략]...
         8f90000 488ada86 Jul 26 17:04:22 2008 C:\WINDOWS\assembly\GAC_MSIL\System.Web.Services.resources\2.0.0.0_ko_b03f5f7f11d50a3a\System.Web.Services.resources.dll
    SubSystemData:     00000000
    ProcessHeap:       00080000
    ProcessParameters: 00020000
    CurrentDirectory:  'c:\windows\system32\inetsrv\'
    WindowTitle: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ImageFile: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CommandLine: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a \\.\pipe\iisipm511f6096-0056-4586-95b2-4a5c7a335320 -t 20 -ap "TestAppPool"'
    DllPath:      'c:\windows\system32\inetsrv;C:\WINDOWS\system32;C:\WINDOWS\system;C:\WINDOWS;.;c:\app\Administrator\product\11.1.0\client_1\bin;C:\WINDOWS\system32;C:\WINDOWS;C:\WINDOWS\System32\Wbem'
    Environment:  00010000
        ALLUSERSPROFILE=C:\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
        APP_POOL_ID=TestAppPool
        ClusterLog=C:\WINDOWS\Cluster\cluster.log
        CommonProgramFiles=C:\Program Files\Common Files
        COMPUTERNAME=TESTPC
        ComSpec=C:\WINDOWS\system32\cmd.exe
        ...[생략]...
        PROCESSOR_REVISION=3e04
        ProgramFiles=C:\Program Files
        SystemDrive=C:
        SystemRoot=C:\WINDOWS
        TEMP=C:\WINDOWS\TEMP
        TMP=C:\WINDOWS\TEMP
        USERPROFILE=C:\Documents and Settings\Default User
        windir=C:\WINDOW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5/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4-05 08시58분
What is the maximum size of a process environment block?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404-00/?p=108009

환경 변수의 크기는, 그것을 담고 있는 Environment Block에 영향을 받습니다. 초기 ANSI 환경에서는 32K로 제약이 있었으나, 현재 Unicode 환경에서는 하드 코딩으로 설정된 제약은 없다고 합니다.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85정성태3/14/202313754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284정성태3/13/202313136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83정성태3/12/202311191오류 유형: 852. 파이썬 - TypeError: coercing to Unicode: need string or buffer, NoneType found
13282정성태3/12/202311664Linux: 58. WSL - nohup 옵션이 필요한 경우
13281정성태3/12/202312936Windows: 225. 윈도우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이 넓게 퍼지는 경우 [2]
13280정성태3/9/202315331개발 환경 구성: 670. WSL 2에서 호스팅 중인 TCP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
13279정성태3/9/202314553오류 유형: 851. 파이썬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_cffi_backend'
13278정성태3/8/202314356개발 환경 구성: 669. WSL 2의 (init이 아닌) systemd 지원 [1]
13277정성태3/6/202314807개발 환경 구성: 668. 코드 사인용 인증서 신청 및 적용 방법(예: Digicert)
13276정성태3/5/202314962.NET Framework: 2102. C# 11 - ref struct/ref field를 위해 새롭게 도입된 scoped 예약어 [1]
13275정성태3/3/202315350.NET Framework: 2101. C# 11의 ref 필드 설명
13274정성태3/2/202314264.NET Framework: 2100. C# - ref 필드로 ref struct 타입을 허용하지 않는 이유
13273정성태2/28/202312164.NET Framework: 2099. C# - 관리 포인터로서의 ref 예약어 의미
13272정성태2/27/202313271오류 유형: 850. SSMS - mdf 파일을 Attach 시킬 때 Operating system error 5: "5(Access is denied.)" 에러
13271정성태2/25/202313171오류 유형: 849. Sql Server Configuration Manager가 시작 메뉴에 없는 경우
13270정성태2/24/202312642.NET Framework: 2098. dotnet build에 /p 옵션을 적용 시 유의점
13269정성태2/23/202314297스크립트: 46. 파이썬 - uvicorn의 콘솔 출력을 UDP로 전송
13268정성태2/22/202314129개발 환경 구성: 667. WSL 2 내부에서 열고 있는 UDP 서버를 호스트 측에서 접속하는 방법
13267정성태2/21/202315120.NET Framework: 2097. C# - 비동기 소켓 사용 시 메모리 해제가 finalizer 단계에서 발생하는 사례파일 다운로드1
13266정성태2/20/202313832오류 유형: 848. .NET Core/5+ - Process terminated. Couldn't find a valid ICU package installed on the system
13265정성태2/18/202315201.NET Framework: 2096. .NET Core/5+ - PublishSingleFile 유형에 대한 runtimeconfig.json 설정
13264정성태2/17/202317220스크립트: 45. 파이썬 - uvicorn 사용자 정의 Logger 작성
13263정성태2/16/202313470개발 환경 구성: 666. 최신 버전의 ilasm.exe/ildasm.exe 사용하는 방법
13262정성태2/15/202315451디버깅 기술: 191. dnSpy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방법 [1]
13261정성태2/15/202315056Windows: 224. Visual Studio - 영문 폰트가 Fullwidth Latin Character로 바뀌는 문제 [1]
13260정성태2/14/202314662오류 유형: 847. ilasm.exe 컴파일 오류 - error : syntax error at token '-' in ... -inf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