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78

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83

.NET Framework: 2053.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를 분석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135

.NET Framework: 2054. .NET Core/5+ SDK 설치 없이 dotnet-dump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6

.NET Framework: 2055.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7

.NET Framework: 2057.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모든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139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리눅스에서 닷넷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를 떴으면,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78

이제 분석을 해야 하는데요. 리눅스 용 덤프 파일은, 리눅스 운영체제 상에서 lldb를 이용해 분석할 수 있습니다.

Debugging .NET Core on Linux with LLDB
; https://www.raydbg.com/2018/Debugging-Net-Core-on-Linux-with-LLDB/

lldb + sos 확장 명령어 관련한 기본적인 사용법은 이미 아래의 글을 통해 설명해 두었고.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75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 https://www.sysnet.pe.kr/2/0/12076




유형을 나눠서, 우선 덤프 파일을 뜬 그 PC에서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lldb 실행 후,

[Centos 8]
$ /usr/local/bin/lldb-3.9.1 

[Ubuntu 18.04]
$ lldb-3.9

libsosplugin.so 플러그인을 로드하는 것과 setclrpath를 지정하는 것은 지난 글(1, 2)에서 설명한 규칙과 동일합니다.

(lldb) plugin load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2.2.7/libsosplugin.so

(lldb) setclrpath /home/tusr/corecorelin
Set load path for sos/dac/dbi to '/home/tusr/corecorelin/'

단지,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attach하는 것이 아닌, 덤프 파일을 여는 것이기 때문에 "target create"로 명령어만 바꿔 실행하면 됩니다.

(lldb) target create -c dotnet_time_2019-12-09_16:44:23.55130




하지만 현실적으로 봤을 때, 일반적으로 덤프 파일은 운영 서버에서 뜨고 개발자 PC로 복사한 후 분석하는 식이기 때문에 .NET Framework 때와 마찬가지로,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세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231

덤프 파일을 뜬 그 환경에 있는 libmscordaccore.so, libsos.so 파일을 함께 복사해야 합니다. 또한, 리눅스의 경우 libsos.so와 lldb의 교각 역할을 하는 libsosplugin.so도 필요하기 때문에 이것도 복사해야 하는데 (지난 글에 설명한 이유로 인해) 안전하게 .NET SDK가 설치된 폴더의 것들도 함께 복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혹은 해당 버전의 .NET SDK를 lldb 분석을 수행할 PC에 설치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덤프 분석을 위해서는 다음의 파일들이 있어야 합니다.

덤프 파일 (예: dotnet_time_2019-12-09_16:44:23.55130)
libmscordaccore.so
libsosplugin.so
libsos.so

다른 컴퓨터에서 분석한다는 점으로 인해 또 하나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는데요, 같은 PC에서 분석하는 거라면 덤프 파일 로드를 lldb의 "target create"로 하게 되지만, 이것을 다른 PC에서 수행하는 경우라면,

$ /usr/local/bin/lldb-3.9.1 
(lldb) target create -c test.dmp
Core file '/home/tusr/temp/test.dmp' (x86_64) was loaded.

(lldb) plugin load libsosplugin.so

(lldb)  setclrpath .
Set load path for sos/dac/dbi to './'

sos 확장 명령어 수행 시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lldb) clrstack
Failed to load data access DLL, 0x80004005
Can not load or initialize libmscordaccore.so. The target runtime may not be initialized.
ClrStack  failed

말 그대로 현재 로드된 덤프 파일로부터는 .NET 런타임을 알 수 없다는 건데 실제로 이미지 목록을 보면,

(lldb) image list
[  0] 50089E85-080B-EEA9-7A2C-01E8CBBB7723-31C8B461                    /usr/share/dotnet/dotnet 

정상적으로 모듈 정보를 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비교를 위해 덤프를 뜬 PC에서 "image list" 명령을 수행하면 해당 프로세스 공간에 로드된 모듈 정보를 이렇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lldb) image list
[  0] 46BD32F2-D61A-2A48-2BDB-4A2B0787F8DF-39ECF703                    /usr/share/dotnet/dotnet 
[  1] D1AA3951-3462-B997-B990-85F995A37B71-714B8370 0x00007ffca1366000 [vdso] (0x00007ffca1366000)
[  2] D1AA3951-3462-B997-B990-85F995A37B71-714B8370 0x00007ffca1366000 linux-vdso.so.1 (0x00007ffca1366000)
...[생략]...
[ 73] 4B80C543-356E-E0AF-9039-EFE7C9EA1CC1-F74C426A                    /usr/lib/x86_64-linux-gnu/libhx509.so.5 
[ 74] A609DB07-7BDC-3B54-A8C6-4BBCF82C2B7B-D1CC8B98                    /usr/lib/x86_64-linux-gnu/libsqlite3.so.0 
[ 75] 810686AF-0D5F-D350-A4FB-1CC4B5AFF44A-05C102CB                    /lib/x86_64-linux-gnu/libcrypt.so.1 
      /usr/lib/debug/lib/x86_64-linux-gnu/libcrypt-2.27.so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덤프를 뜬 PC에서 해당 프로세스의 실행 파일도 함께 복사해 와야 합니다. 그리고 그 프로세스 이미지 파일을 "target create" 명령어에 전달해야 합니다.

$ /usr/local/bin/lldb-3.9.1 

(lldb) target create "dotnet" --core "test.dmp"
Core file '/home/tusr/temp/test.dmp' (x86_64) was loaded.

정상적으로 lldb가 덤프 파일을 로드했다면 "image list" 명령어도 잘 동작하고, 이후의 libsosplugin.so, setclrpath 명령어와 함께 일련의 sos 확장 명령어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lldb) plugin load libsosplugin.so

(lldb)  setclrpath .
Set load path for sos/dac/dbi to './'


(lldb) clrstack
OS Thread Id: 0x2691 (1)
        Child SP               IP Call Site
00007FFCA12E0F20 00007faf7ee479f3 [GCFrame: 00007ffca12e0f20] 
00007FFCA12E1010 00007faf7ee479f3 [HelperMethodFrame_1OBJ: 00007ffca12e1010] System.Threading.Monitor.ObjWait(Boolean, Int32, System.Object)
00007FFCA12E1140 00007FAF0628646D Error: Fail to initialize CoreCLR 80004005
System.Threading.ManualResetEventSlim.Wait(Int32,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00007FFCA12E11D0 00007FAF06285E4C System.Threading.Tasks.Task.SpinThenBlockingWait(Int32,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00007FFCA12E1230 00007FAF06285BEC System.Threading.Tasks.Task.InternalWait(Int32,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00007FFCA12E12F0 00007FAF062859D9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System.Threading.Tasks.Task)
00007FFCA12E1320 00007FAF0625721D Microsoft.AspNetCore.Hosting.WebHostExtensions.Run(Microsoft.AspNetCore.Hosting.IWebHost)
00007FFCA12E1340 00007FAF043504A0 CoreCoreLin.Program.Main(System.String[])
00007FFCA12E1630 00007faf7d47a307 [GCFrame: 00007ffca12e1630] 
00007FFCA12E1A40 00007faf7d47a307 [GCFrame: 00007ffca12e1a40] 




정리해 보면, 다른 PC에서 덤프 뜬 것을 분석하고 싶다면 안전하게 다음과 같은 파일들을 함께 복사해 와야 합니다.

1) dump file

2) libsosplugin.so
    - dotnet ...: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version].../libsosplugin.so
    - standalone: /...배포 폴더.../libsosplugin.so

3) libmscordaccore.so
    - /...배포 폴더.../libmscordaccore.so

4) libsos.so
    - /...배포 폴더.../libsos.so

5) executable binary
    - dotnet으로 실행한 경우: /usr/share/dotnet/dotnet
    - standalone인 경우: /...[배포 폴더].../...[실행 파일]...

6) libcoreclr.so
    - /...배포 폴더.../libcoreclr.so

^^; 좀 복잡한데요. 가능하면 이런 파일들을 그냥 압축해 주는 shell 스크립트나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 두는 것이 속 편할 것입니다.




현재(2019-12-17) procdump로 뜬 덤프 파일에 대해 lldb의 "target create" 명령 시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습니다. 이에 관해서는 .NET Core 2.1 관련 이슈가 있는데요,

LLDB hangs in Linux when opening a dotnet core 2.1 dump #79
; https://github.com/dotnet/diagnostics/issues/79

이 때문에라도 procdump보다는 createdump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sudo $(find /usr/share/dotnet -name createdump) -u 19234
Writing full dump to file /tmp/coredump.27581
Written 22551396352 bytes (5505712 pages) to core file

위의 스크립트에서 좀 더 하드 코딩을 없애고 싶다면!

$ readlink -f $(which dotnet)
/usr/share/dotnet/dotnet

$ dirname $(readlink -f $(which dotnet))
/usr/share/dotnet

$ find $(dirname $(readlink -f $(which dotnet))) -name createdump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2.2.5/createdump

$ $(find $(dirname $(readlink -f $(which dotnet))) -name createdump) -u 19234




참고로, 간혹 (저처럼 ^^) 덤프 파일 로드하는 것을 깜빡 잊고 sos 확장 명령어를 수행했다가,

$ lldb-3.9

(lldb) plugin load /usr/share/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2.2.7/libsosplugin.so

(lldb) setclrpath /home/tusr/corecorelin
Set load path for sos/dac/dbi to '/home/tusr/corecorelin/'

(lldb) clrstack
Failed to load data access DLL, 0x80004005
Can not load or initialize libmscordaccore.so. The target runtime may not be initialized.
ClrStack  failed

0x80004005가 왜 발생하는 지 이해가 안 돼 헤맬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Windows 10 SDK에 포함된 최신 버전의) windbg는 리눅스에서 생성한 덤프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지만,

Could not find the c:\temp\dotnet_time_2019-12-06_16_23_19.29310 Dump File, Win32 error 0n87

The parameter is incorrect.

Windbg Preview 버전으로는 이렇게 열립니다.

Microsoft (R) Windows Debugger Version 10.0.19494.1001 AMD64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Loading Dump File [c:\temp\dotnet_time_2019-12-06_16_23_19.29310]
64-bit machine not using 64-bit API

************* Path validation summary **************
Response                         Time (ms)     Location
Deferred                                       srv*
OK                                             c:\symbols2
Deferred                                       SRV*c:\Symbols*https://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Symbol search path is: srv*;c:\symbols2;SRV*c:\Symbols*https://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Executable search path is: 
Generic Unix Version 0 UP Free x64
Machine Name:
System Uptime: not available
Process Uptime: not available
................................................................
................................................................

00007f85`18d679f3 ??              ???

심지어 lm과 같은 명령어도 통하는 걸로 봐서,

0:000> lm
start             end                 module name
00000000`00600000 00000000`00611000   dotnet     (deferred)             
00007f7f`e3fe4000 00007f7f`e3fee000   libcrypt_2_27   (deferred)             
00007f7f`e421c000 00007f7f`e4324000   libsqlite3_so_0_8   (deferred)             
00007f7f`e4525000 00007f7f`e456e000   libhx509_so_5_0   (deferred)             
...[생략]...
00007f85`16f20000 00007f85`16f2d000   libunwind_so_8_0   (deferred)             
00007f85`1713b000 00007f85`17143000   librt_2_27   (deferred)             
00007f85`17143000 00007f85`1782b000   libcoreclr   (deferred)             
00007f85`17a5c000 00007f85`17b26000   libhostpolicy   (deferred)             
00007f85`17d26000 00007f85`17dcf000   libhostfxr   (deferred)             
00007f85`17fcf000 00007f85`181bc000   libc_2_27   (deferred)             
00007f85`183c0000 00007f85`183d8000   libgcc_s_so   (deferred)             
00007f85`185d8000 00007f85`18776000   libm_2_27   (deferred)             
00007f85`18976000 00007f85`18b53000   libstdc___so_6_0   (deferred)             
00007f85`18d56000 00007f85`18d5a000   libdl_2_27   (deferred)             
00007f85`18f5a000 00007f85`18f75000   libpthread_2_27   (deferred)             
00007f85`18f79000 00007f85`18fa2000   ld_2_27    (deferred)             

아마도 windbg 나름대로 리눅스 용 덤프 분석도 지원하는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는 듯합니다. 위에서 특이한 점이 있다면, lldb의 경우 "target create"로 덤프 파일을 로드 시 반드시 대상 프로세스 이미지를 인자로 전달해야 했지만, windbg의 경우 lm 명령어는 그런 이미지가 없이도 로드된 모듈 목록을 잘 해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닷넷 개발자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sos.dll이나 mscordaccore.dll 등의 확장 모듈들은 모두 유닉스 ELF 포맷으로 빌드된 것이기 때문에,

libmscordaccore.so
libsos.so

당연히 로드가 되지 않습니다.

0:000> .load c:\temp\libsos.so
The call to LoadLibrary(f:\ts\libsos.so) failed, Win32 error 0n193
    "%1 is not a valid Win32 application."
Please check your debugger configuration and/or network access.

0:000> .cordll -lp c:\temp
CLR DLL status: No load attempts

참고로, 비주얼 스튜디오 역시 리눅스 용 덤프 파일은 "Debugging older format crashdumps is not supported"라는 식의 오류를 내며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6/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12-18 03시13분
Ubuntu 환경에서 .NET Core 어플리케이션의 crash core dump 분석 가이드
; https://learn.microsoft.com/en-us/archive/blogs/kocssdva/01_ubuntu_netcore_crashcoredump
정성태
2020-07-13 08시59분
WinDbg debugger tool updated with several new improvements
  - Support for AMD64 and Linux kernel dump debugging
; https://mspoweruser.com/windbg-debugger-tool-microsoft-store-update/

Debug Linux dump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diagnostics/debug-linux-dumps

------------------------------

(2024-03-07) Windbg의 Linux 지원이 점점 더 좋아지고 있습니다. ^^
; https://twitter.com/wmessmer/status/1764855462141542657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26정성태1/14/20242048닷넷: 2201. C# - Facebook 연동 / 사용자 탈퇴 처리 방법
13525정성태1/13/20242018오류 유형: 891. Visual Studio -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지 못하는 IISExpress
13524정성태1/12/20242065오류 유형: 890.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 - GW라우팅 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13523정성태1/12/20241888오류 유형: 889. Visual Studio - error : A project with that name is already opened in the solution.
13522정성태1/11/20242027닷넷: 2200. C# - HttpClient.PostAsJsonAsync 호출 시 "Transfer-Encoding: chunked" 대신 "Content-Length" 헤더 처리
13521정성태1/11/20242108닷넷: 2199. C# -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WebSocket Ping, Pong 처리
13520정성태1/10/20241858오류 유형: 888. C# - Unable to resolve service for type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ObjectPool`....'
13519정성태1/10/20241937닷넷: 2198. C# - Reflection을 이용한 ClientWebSocket의 Ping 호출파일 다운로드1
13518정성태1/9/20242173닷넷: 2197. C# - ClientWebSocket의 Ping, Pong 처리
13517정성태1/8/20242016스크립트: 63. Python - 공개 패키지를 이용한 위성 이미지 생성 (pystac_client, odc.stac)
13516정성태1/7/20242103닷넷: 2196.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의 부작용
13515정성태1/6/20242374닷넷: 2195. async 메서드 내에서 C# 7의 discard 구문 활용 사례 [1]
13514정성태1/5/20242065개발 환경 구성: 702.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
13513정성태1/5/20242004닷넷: 2194. C# - WebActivatorEx / System.Web의 PreApplicationStartMethod 특성
13512정성태1/4/20241979개발 환경 구성: 701. IIS - w3wp.exe 프로세스의 ASP.NET 런타임을 항상 Warmup 모드로 유지하는 preload Enabled 설정
13511정성태1/4/20241995닷넷: 2193. C# - ASP.NET Web Application + OpenAPI(Swashbuckle) 스펙 제공
13510정성태1/3/20241936닷넷: 2192. C# - 특정 실행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Linux)
13509정성태1/3/20241966오류 유형: 887. .NET Core 2 이하의 프로젝트에서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Unsafe doesn't support netcoreapp2.0.
13508정성태1/3/20242013오류 유형: 886. ORA-28000: the account is locked
13507정성태1/2/20242696닷넷: 2191. C# - IPGlobalProperties를 이용해 netstat처럼 사용 중인 Socket 목록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06정성태12/29/20232188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13505정성태12/27/20232704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2321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2189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2290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2087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