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마침 2가지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를 경험해 이를 정리합니다. 오류 코드: 0xc004f050 상황: Windows Edition이 다른 경우, 예를 들어 Datacenter 버전의 윈도우가 설치된 상태인데 Standard 버전의 라이선스 키를 입력한 경우 Windows 10 정품 인증 오류 0xC004F050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4028124/windows-10-activation-error-0xc004f050 오류 코드: 0xc004e028 상황: 인증 키 요구한지 얼마 안 된 경우에도 발생하므로 잠시 기다린 후 다시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인증 Windows 정품 인증 오류에 대한 도움말 보기 ; https://support.microsoft.com/ko-kr/help/10738/windows-10-get-help-with-activation-error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이전 글] .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최초 등록일: 10/2/2018 ] [최종 수정일: 10/2/2018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쓴 사람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75정성태11/18/20184624Graphics: 31.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6) - Texturing111774정성태11/13/20183360Graphics: 30.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4), (5) - Shader111773정성태11/7/20182923Graphics: 29.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3) - Index Buffer111772정성태11/6/20183933Graphics: 28.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2) - VAO, VBO111771정성태11/5/20183172사물인터넷: 56.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 두 번째 이야기 [1]11770정성태11/21/20207066Graphics: 27. .NET으로 구현하는 OpenGL (1) - OpenGL.Net 라이브러리 [1]111769정성태11/5/20182643오류 유형: 501. 프로젝트 msbuild Publish 후 connectionStrings의 문자열이 $(ReplacableToken_...)로 바뀌는 문제11768정성태11/2/20182987.NET Framework: 801. SOIL(Simple OpenGL Image Library) - Native DLL 및 .NET DLL 제공11767정성태11/20/20184013사물인터넷: 55. New NodeMcu v3(ESP8266)의 IR LED (적외선 송신) 제어111766정성태11/30/20184296사물인터넷: 54. 아두이노 환경에서의 JSON 파서(ArduinoJson) 사용법11765정성태10/29/20183041개발 환경 구성: 420. Visual Studio Code - Arduino Board Manager를 이용한 사용자 정의 보드 선택11764정성태10/26/20184579개발 환경 구성: 419. MIT 라이선스로 무료 공개된 Detours API 후킹 라이브러리 [2]11763정성태10/25/20183530사물인터넷: 53.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s 통신11762정성태10/25/20184381사물인터넷: 52. New NodeMcu v3(ESP8266)의 http 통신111761정성태10/25/20184296Graphics: 26. 임의 축을 기반으로 3D 벡터 회전111760정성태10/24/20182365개발 환경 구성: 418. Azure - Runbook 내에서 또 다른 Runbook 스크립트를 실행11759정성태10/24/20182631개발 환경 구성: 417. Azure - Runbook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서드를 위한 부가 Module 추가11758정성태7/6/20203880.NET Framework: 800. C# - Azure REST API 사용을 위한 인증 획득 [3]111757정성태10/23/20183111개발 환경 구성: 416. Visual Studio 2017을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및 디버깅)11756정성태10/19/20182932오류 유형: 500. Visual Studio Code의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시 인텔리센스가 안 된다면?11755정성태10/19/20186118오류 유형: 499. Visual Studio Code extension for Arduino - #include errors detected. [1]11754정성태10/19/20183401개발 환경 구성: 415.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 - 새 프로젝트11753정성태10/19/20189163개발 환경 구성: 414.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 아두이노 프로그램 개발11752정성태10/18/20182449오류 유형: 498. SQL 서버 - Database source is not a supported version of SQL Server11751정성태10/18/20182880오류 유형: 497. Visual Studio 실행 시 그래픽이 투명해진다거나, 깨진다면?11750정성태10/18/20182718오류 유형: 496. 비주얼 스튜디오 - One or more projects in the solution were not loaded correctly.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