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2)

예전에 아래의 글을 써본 경험으로,

x64 콜 스택 인자 추적과 windbg의 Child-SP, RetAddr, Args to Child 값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0832

지난번의 crash 사례를 분석했었는데요. ^^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250

그렇다면 정상적인 경우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함수는 어떤 문맥을 보였어야 할까요? 비정상 상황을 목격했으니 비교를 한번 해보고 싶어 구성해 봤습니다.

일단, 지난번 crash는 Windows Server 2008 R2의 IIS에서 DoActualSendResponse 함수 호출 시 발생한 것이므로 적어도 그 함수가 호출되면서 최대한 유사한 상황을 만들 수 있도록 역시 2008 R2에서 다음과 같이 간단한 ASP.NET 웹 페이지를 만든 후,

<%@ Page Language="C#" AutoEventWireup="true" CodeBehind="Default.aspx.cs" Inherits="WebApplication1.Default" %>

<!DOCTYPE html>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runat="server">
    <title></title>
</head>
<body>
    <form id="form1" runat="server">
        <div>
        test
        </div>
    </form>
</body>
</html>

using System;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
    }
}

w3wp.exe를 띄우고 windbg로 붙였습니다. 그다음 BreakPoint를 다음과 같이 걸어두고,

0:044> bp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웹 브라우저로 방문했더니 BP가 걸렸습니다.

0:033> g
Breakpoint 0 hit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000007fe`f4317630 4c894c2420      mov     qword ptr [rsp+20h],r9 ss:00000000`08f4ec88=0000000000000000

DoActualSendResponse의 역어셈블 코드를 보고,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생략]...
000007fe`f4317690 488b4b20        mov     rcx,qword ptr [rbx+20h]
000007fe`f4317694 4c89742468      mov     qword ptr [rsp+68h],r14
000007fe`f4317699 488b01          mov     rax,qword ptr [rcx]
000007fe`f431769c ff5028          call    qword ptr [rax+28h] ds:000007fe`f43462a0={iiscore!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000007fe`f4312ea8)}
000007fe`f431769f 85c0            test    eax,eax
...[생략]...

지난번 문제가 되었던 "call qword ptr [rax+28h]" 코드에 BP를 걸어 진행하면,

0:027> bp 000007fe`f431769c
0:027> g
Breakpoint 1 hit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0x6c:
000007fe`f431769c ff5028          call    qword ptr [rax+28h] ds:000007fe`f43462a0={iiscore!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000007fe`f4312ea8)}

벌써부터 결과가 다르군요.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rax + 0x28h]의 값이 "90909090909090c3"이었는데 이제는 정상적으로 000007fe`f4312ea8를 가리키고 그 함수가 GetResponseHeadersSent라는 것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럼, 인자 상황을 한번 볼까요? 지난번 실습을 했으니, 이제 DoActualSendResponse의 prolog로부터,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000007fe`f4317630 4c894c2420      mov     qword ptr [rsp+20h],r9 ss:00000000`08f4ec88=0000000000000000
000007fe`f4317635 4489442418      mov     dword ptr [rsp+18h],r8d
000007fe`f431763a 89542410        mov     dword ptr [rsp+10h],edx
000007fe`f431763e 53              push    rbx
000007fe`f431763f 55              push    rbp
...[생략]...

처음 3개의 인자 값이 kv의 결과로 나온다는 것을 압니다.

0:027> kv
Child-SP          RetAddr           : Args to Child                                                           : Call Site
00000000`08f4ebc0 000007fe`f43120fd : 00000000`01303b08 000007fe`00000001 000007fe`00000000 00000000`08f4ecb0 :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0x6c
00000000`08f4ec70 000007fe`f43175d6 : 00000000`09875b78 00000000`00000000 00000000`08f4edb4 00000000`00000000 : iiscore!NOTIFICATION_SEND_RESPONSE::DoWork+0xbd
...[생략]...
00000000`08f4fc50 00000000`76d1a561 :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 kernel32!BaseThreadInitThunk+0xd
00000000`08f4fc80 00000000`00000000 :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 ntdll!RtlUserThreadStart+0x1d


rdx == 000007fe`00000001
r8  == 000007fe`00000000
r9  == 00000000`08f4ecb0

rcx는 역시 지난번 글에서 설명한 x64 ABI 규칙에 따라 직접 구해야 합니다. 그럼 rcx == 0x1303a80이 나옵니다. 정리하면 대충 이렇습니다.

rcx == 00000000`01303c60 
rdx == 000007fe`00000001, edx = 1
r8  == 000007fe`00000000, r8d = 0
r9  == 00000000`08f4ecb0

여기까지 정리해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코드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class W3_RESPONSE
{
    // ... class 필드들...
    W3_CONTEXT *_pContext; // 이 필드는 W3_RESPONSE 클래스의 메모리 layout에서 +0x20 지점에 위치

    ... DoActualSendResponse(void *this, ...) // this == 01303c60
    {
        W3_CONTEXT *pContext = _pContext; // [this + 20h] 주소의 값 == 01303a80
        if (p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 TRUE)
        {
            //....
        }
    }
}




그럼, 도대체 지난번의 문제는 뭐였을까요?

GetResponseHeadersSent 함수가 아닌 엉뚱하게 90909090909090c3 값을 가리키고 있는데, 어쩌면 GetResponseHeadersSent 함수 호출 시 넘겨져온 this 포인터 값이 비정상적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crash가 발생했던) DoActualSendResponse의 (rbx에 보관된) rcx 값이 진짜 W3_RESPONSE였는지 dqs 명령어로 확인해야 합니다.

0:210> dqs 0000000003af2fe0
00000000`03af2fe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2fe8  0020d0b7`00000000
00000000`03af2ff0  00000000`03af2e20
00000000`03af2ff8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00  000007fe`fae7673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08  000007fe`fae75f5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1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18  000007fe`fae75f9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20  00000000`03af2e20
00000000`03af3028  00010001`00000000
00000000`03af3030  00560020`000200c8
00000000`03af3038  00000000`249643f0
00000000`03af3040  00000000`00000008
00000000`03af3048  00000000`03af32c0
00000000`03af305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58  00000000`00000000

보는 바와 같이 00000000`00000000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정상적인 상황의 DoActualSendResponse에 넘겨졌던 this 포인터(rcx)는 이렇게 나옵니다.

0:027> dqs 1303c60
00000000`01303c60  000007fe`f434673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1303c68  000007fe`f4345f5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1303c70  00000000`00000000
00000000`01303c78  000007fe`f4345f9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1303c80  00000000`01303a80
00000000`01303c88  00010001`00000000
00000000`01303c90  00000000`000200c8
00000000`01303c98  000007fe`f4346c40 iiscore!`string'
00000000`01303ca0  00000000`00000003
00000000`01303ca8  00000000`01303f20
00000000`01303cb0  00000000`00000000
00000000`01303cb8  00000000`00000000
00000000`01303cc0  00000000`00000007
00000000`01303cc8  00000000`013059b8
00000000`01303cd0  00000000`00000000
00000000`01303cd8  00000000`00000000

위의 DoActualSendResponse는 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를 호출하기 위해 DoActualSendResponse this 포인터에 +20h 오프셋의 값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mov     rcx,qword ptr [rbx+20h]

정상적인 경우 00000000`01303c60 + 0x20 == 00000000`01303c80인데, dqs 결과를 보면 이 주소는 00000000`01303a80 값이고 이를 확인하면,

0:027> dqs 00000000`01303a80
00000000`01303a80  000007fe`f4346278 iiscore!W3_MAIN_CONTEXT::`vftable'
00000000`01303a88  000007fe`f4345468 iiscore!W3_MAIN_CONTEXT::`vftable'
00000000`01303a90  00000000`00001000
00000000`01303a98  00000000`ffffffff
00000000`01303aa0  04222bc8`04222bc8
...[생략]...

0:027> dqs 000007fe`f4346278
000007fe`f4346278  000007fe`f4311800 iiscore!W3_CONTEXT::GetSite                ; +0
000007fe`f4346280  000007fe`f43121ac iiscore!W3_CONTEXT::GetApplication         ; +8
000007fe`f4346288  000007fe`f433ab90 iiscore!W3_CONTEXT::GetConnection          ; +10
000007fe`f4346290  000007fe`f431acd0 iiscore!W3_CONTEXT::GetRequest             ; +18
000007fe`f4346298  000007fe`f4312e98 iiscore!W3_CONTEXT::GetResponse            ; +20
000007fe`f43462a0  000007fe`f4312ea8 iiscore!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 +28h에 위치한 바로 그 함수
000007fe`f43462a8  000007fe`f43125c0 iiscore!W3_CONTEXT::GetUser
000007fe`f43462b0  000007fe`f43141c0 iiscore!W3_CONTEXT::GetModuleContextContainer
...[생략]...

vtable에 위치한 GetResponseHeadersSent 함수를 구하게 됩니다. 하지만 crash가 발생했던 경우를 다시 보면,

0:210> dqs 0000000003af2fe0
00000000`03af2fe0  00000000`00000000 ; 비정상적으로 쌓인 스택
00000000`03af2fe8  0020d0b7`00000000 ; 비정상적으로 쌓인 스택
00000000`03af2ff0  00000000`03af2e20 ; 비정상적으로 쌓인 스택
00000000`03af2ff8  00000000`00000000 ; 비정상적으로 쌓인 스택
00000000`03af3000  000007fe`fae76738 iiscore!W3_RESPONSE::`vftable' ; 원래 DoActualSendResponse를 호출했을 당시에 가리키고 있어야 할 this 포인터 값
00000000`03af3008  000007fe`fae75f5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1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18  000007fe`fae75f9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20  00000000`03af2e20                                ; 정상적인 경우였다면 이 값(this + 0x20h)이 "call qword ptr [rax+28h]" 호출의 this(rcx) 포인터 역할을 했어야 함.
00000000`03af3028  00010001`00000000
00000000`03af3030  00560020`000200c8
00000000`03af3038  00000000`249643f0
00000000`03af3040  00000000`00000008
00000000`03af3048  00000000`03af32c0
00000000`03af305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58  00000000`00000000

원래 00000000`03af3000 값이 DoActualSendResponse의 this 포인터(rcx)로 넘어왔다고 가정해 00000000`03af2e20를 crash 덤프 상에서 분석해 보니,

0:210> dqs 00000000`03af2e20
00000000`03af2e20  000007fe`fae76278 iiscore!W3_MAIN_CONTEXT::`vftable'
00000000`03af2e28  000007fe`fae75468 iiscore!W3_MAIN_CONTEXT::`vftable'
00000000`03af2e30  00000000`00000080
...[생략]...
00000000`03af2e90  00000000`0166c4ec
00000000`03af2e98  0020b97c`00000031

0:210> dqs 000007fe`fae76278 
000007fe`fae76278  000007fe`fae41800 iiscore!W3_CONTEXT::GetSite                ; +0
000007fe`fae76280  000007fe`fae421ac iiscore!W3_CONTEXT::GetApplication         ; +8
000007fe`fae76288  000007fe`fae6ab90 iiscore!W3_CONTEXT::GetConnection          ; +10
000007fe`fae76290  000007fe`fae4acd0 iiscore!W3_CONTEXT::GetRequest             ; +18
000007fe`fae76298  000007fe`fae42e98 iiscore!W3_CONTEXT::GetResponse            ; +20
000007fe`fae762a0  000007fe`fae42ea8 iiscore!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 +28 바로 그 함수의 위치
000007fe`fae762a8  000007fe`fae425c0 iiscore!W3_CONTEXT::GetUser
...[생략]...
000007fe`fae762f0  000007fe`fae46230 iiscore!W3_CONTEXT::GetServerVariable

정상적인 GetResponseHeadersSent 함수의 위치를 구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결국 스택을 가리키는 RSP의 값이 정상적인 상황보다 +20h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어서 DoActualSendResponse의 this 포인터 값이 틀어졌고 결국 crash로 이어졌던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어떤 코드가 스택의 비정상을 초래한 것일까요? 일단 IIS 쪽 소스 코드도 없고, 단순히 덤프 파일 하나만 가지고는 분석이 여간 힘든 것이 아닙니다. 그나마 이런 상황에서 쉬운 방법이 있다면 이렇게 유사한 상황을 만들어서 콜 스택을 확인 후 개별 호출 프레임마다 Child-SP의 값을 기준으로 dqs 출력의 값을 비교해 보고 스택의 비정상적인 동작이 있었던 함수를 찾아내 어셈블리 코드까지 보면서 검사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물론 그런 경우에는 동일한 콜 스택을 보이도록 유사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쉽게도 위의 사례에서는 해당 웹 애플리케이션의 콜 스택과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없었습니다. (ASP.NET 분야도 프레임워크가 다양한데다 개발사 나름 확장하는 것도 있다 보니!)

실력 있는 분들이라면, 이런 상황에서도 순수하게 호출 스택에 나온 함수들의 어셈블리 코드를 파헤쳐 가며 보겠지만 제가 아직 그 수준까지는 안되는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4/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21정성태5/1/20219807.NET Framework: 1053. C# - 특정 레지스트리 변경 시 알림을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20정성태4/29/202111929.NET Framework: 1052. C# - 왜 구조체는 16 바이트의 크기가 적합한가? [1]파일 다운로드1
12619정성태4/28/202112426.NET Framework: 1051. C# - 구조체의 크기가 16바이트가 넘어가면 힙에 할당된다? [2]파일 다운로드1
12618정성태4/27/202110991사물인터넷: 58. NodeMCU v1 ESP8266 CP2102 Module을 이용한 WiFi UDP 통신 [1]파일 다운로드1
12617정성태4/26/20218650.NET Framework: 1050. C# - ETW EventListener의 Keywords별 EventId에 따른 필터링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16정성태4/26/20218619.NET Framework: 1049. C# - ETW EventListener를 상속받았을 때 초기화 순서파일 다운로드1
12615정성태4/26/20216788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
12614정성태4/24/20219465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613정성태4/23/20218546.NET Framework: 1048.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612정성태4/23/20218641.NET Framework: 1047.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파일 다운로드1
12611정성태4/22/20217941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
12610정성태4/22/20217746.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9정성태4/22/20219023.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8정성태4/21/202110049.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2607정성태4/21/20218575.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12470.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605정성태4/18/20218539.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7315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8158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9359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8458.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8645.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9339.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9488.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9502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9294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