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80.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035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CopyFileEx API 사용 예제 코드

닷넷에서, 파일 복사의 진행 여부를 보여주려면 복사 과정을 직접 구현해야 합니다. 반면, Win32 API로 제공하는 CopyFileEx를 사용하면,

CopyFileExW function (winbase.h)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winbase/nf-winbase-copyfileexw

C#으로 이렇게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 https://www.pinvoke.net/default.aspx/kernel32.copyfileex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dll", SetLastError = true, CharSet = CharSet.Auto)]
    [return: MarshalAs(UnmanagedType.Bool)]
    unsafe static extern bool CopyFileEx(string lpExistingFileName, string lpNewFileName,
            delegate* unmanaged[Stdcall]<long, long, long, long, uint, CopyProgressCallbackReason, IntPtr, IntPtr, IntPtr, CopyProgressResult> lpProgressRoutine,
            IntPtr lpData, ref Int32 pbCancel, CopyFileFlags dwCopyFlags);

    [UnmanagedCallersOnly(CallConvs = new Type[] { typeof(CallConvStdcall) })]
    static CopyProgressResult CopyProgressRoutineCallback(
        long TotalFileSize,
        long TotalBytesTransferred,
        long StreamSize,
        long StreamBytesTransferred,
        uint dwStreamNumber,
        CopyProgressCallbackReason dwCallbackReason,
        IntPtr hSourceFile,
        IntPtr hDestinationFile,
        IntPtr lpData)
    {
        Console.WriteLine($"{TotalBytesTransferred} / {TotalFileSize}");
        return CopyProgressResult.PROGRESS_CONTINUE;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rcFile = @"C:\temp\test.vhdx";
        string dstFile = Path.ChangeExtension(srcFile, ".tmp");

        int bCancel = 0;
        unsafe
        {
            CopyFileEx(srcFile, dstFile, &CopyProgressRoutineCallback, IntPtr.Zero, ref bCancel, CopyFileFlags.COPY_FILE_RESTARTABLE);
        }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

[Flags]
enum CopyFileFlags : uint
{
    COPY_FILE_NONE = 0,
    COPY_FILE_FAIL_IF_EXISTS = 0x00000001,
    COPY_FILE_RESTARTABLE = 0x00000002,
    COPY_FILE_OPEN_SOURCE_FOR_WRITE = 0x00000004,
    COPY_FILE_ALLOW_DECRYPTED_DESTINATION = 0x00000008,
    COPY_FILE_COPY_SYMLINK = 0x00000800, //NT 6.0+
    COPY_FILE_NO_BUFFERING = 0x00001000 //NT 6.0+
}

enum CopyProgressCallbackReason : uint
{
    CALLBACK_CHUNK_FINISHED = 0x00000000,
    CALLBACK_STREAM_SWITCH = 0x00000001
}

enum CopyProgressResult : uint
{
    PROGRESS_CONTINUE = 0,
    PROGRESS_CANCEL = 1,
    PROGRESS_STOP = 2,
    PROGRESS_QUIET = 3
}

#if !NET5_0
namespac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
    [AttributeUsage(AttributeTargets.Method, Inherited = false)]
    public sealed class UnmanagedCallersOnlyAttribute : Attribute
    {
        public Type[] CallConvs;
        public string EntryPoint;
    }
}
#endif

그런데, 유의해야 할 점이 있는데 위의 코드는 64비트 환경에서만 잘 동작합니다. 왜냐하면, 이전에 언급했던,

UnmanagedCallersOnly + C# 9.0 함수 포인터 사용 시 x86 빌드에서 오동작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31

이유 때문입니다. 따라서, 만약 32비트 빌드로도 동작하게 만들고 싶다면 UnmanagedCallersOnly + 함수 포인터가 아닌 델리게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코드를 변경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3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01정성태12/25/20232087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2178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2824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2294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2310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2319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2501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2559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3492정성태12/19/20232262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13491정성태12/19/20232232Linux: 63. 리눅스 - 다중 그룹 또는 사용자를 리소스에 권한 부여
13490정성태12/19/20232345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13489정성태12/19/20232133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13488정성태12/18/20232067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3487정성태12/16/20232381개발 환경 구성: 696. C# - 리눅스용 AOT 빌드를 docker에서 수행 [1]
13486정성태12/15/20232195개발 환경 구성: 695. Nuget config 파일에 값 설정/삭제 방법
13485정성태12/15/20232088오류 유형: 883. dotnet build/restore -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13484정성태12/14/20232162개발 환경 구성: 694.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13483정성태12/14/20232298닷넷: 2184. C# - 하나의 resource 파일을 여러 프로그램에서 (AOT 시에도)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82정성태12/13/20232821닷넷: 2183. C# - eFriend Expert OCX 예제를 .NET Core/5+ Console App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481정성태12/13/20232267개발 환경 구성: 693. msbuild - .NET Core/5+ 프로젝트에서 resgen을 이용한 리소스 파일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480정성태12/12/20232608개발 환경 구성: 692. Windows WSL 2 + Chrome 웹 브라우저 설치
13479정성태12/11/20232302개발 환경 구성: 691. WSL 2 (Ubuntu) + nginx 환경 설정
13477정성태12/8/20232483닷넷: 2182. C# - .NET 7부터 추가된 Int128, UInt128 [1]파일 다운로드1
13476정성태12/8/20232207닷넷: 2181. C# - .NET 8 JsonStringEnumConverter의 AOT를 위한 개선파일 다운로드1
13475정성태12/7/20232279닷넷: 2180. .NET 8 - 함수 포인터에 대한 Reflection 정보 조회파일 다운로드1
13474정성태12/6/20232133개발 환경 구성: 690. 닷넷 코어/5+ 버전의 ilasm/ildasm 실행 파일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