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119. EnumProcesses / EnumProcessModules API 사용 시 주의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95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EnumProcesses / EnumProcessModules API 사용 시 주의점

관련 도움말을 보면,

EnumProcessModules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sapi/nf-psapi-enumprocessmodules

분명히 지원 운영체제가 Windows XP/2003 이상이라고 나옵니다. 하지만 실제로 사용해 보면, Windows 7/2008 R2 이상에서만 해당 API들이 (실행 시) 정상적으로 import됩니다.

그 이유는, 최근의 Windows SDK에 있는 psapi.h 파일이 다음과 같이 매크로 정의로 "K32..." API로 우회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define EnumProcesses               K32EnumProcesses
#define EnumProcessModules          K32EnumProcessModules

원래 EnumProcesses / EnumProcessModules API들은 psapi.dll에 있는데, K32... API들은 kernel32.dll로 옮겨졌습니다. 즉, Windows XP/2003/Vista/2008까지는 psapi.dll에 포함되어 있지만 그 이후의 버전에는 psapi.dll의 것들은 껍데기이고 kernel32.dll에 있는 API로 우회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최근의 Windows SDK들은 psapi.dll의 껍데기를 호출하지 않고 곧바로 kernel32.dll에 있는 K32EnumProcesses / K32EnumProcessModules API들을 호출할 수 있도록 저렇게 macro 정의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Visual Studio 구 버전에서 빌드하면 API를 담고 있는 DLL/EXE들이 잘 사용이 되는 반면, 동일한 소스 코드를 최신 버전의 Visual Studio에서 빌드하면 해당 DLL/EXE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K32... 류의 API와 바인딩되어 있기 때문에,

enumprocessmodules_1.png

XP/2003/Vista/2008에서는 실행할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명시적으로 EnumProcesses 이름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데 방법은 PSAPI_VERSION 버전을 낮춰주면 됩니다.

#undef PSAPI_VERSION
#define PSAPI_VERSION 1

#include <Psapi.h>
#pragma comment(lib, "psapi.lib")

참고로, 이런 식으로 매핑된 API들이 몇 개 있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if (PSAPI_VERSION > 1)
#define EnumProcesses               K32EnumProcesses
#define EnumProcessModules          K32EnumProcessModules
#define EnumProcessModulesEx        K32EnumProcessModulesEx
#define GetModuleBaseNameA          K32GetModuleBaseNameA
#define GetModuleBaseNameW          K32GetModuleBaseNameW
#define GetModuleFileNameExA        K32GetModuleFileNameExA
#define GetModuleFileNameExW        K32GetModuleFileNameExW
#define GetModuleInformation        K32GetModuleInformation
#define EmptyWorkingSet             K32EmptyWorkingSet
#define QueryWorkingSet             K32QueryWorkingSet
#define QueryWorkingSetEx           K32QueryWorkingSetEx
#define InitializeProcessForWsWatch K32InitializeProcessForWsWatch
#define GetWsChanges                K32GetWsChanges
#define GetWsChangesEx              K32GetWsChangesEx
#define GetMappedFileNameW          K32GetMappedFileNameW
#define GetMappedFileNameA          K32GetMappedFileNameA
#define EnumDeviceDrivers           K32EnumDeviceDrivers
#define GetDeviceDriverBaseNameA    K32GetDeviceDriverBaseNameA
#define GetDeviceDriverBaseNameW    K32GetDeviceDriverBaseNameW
#define GetDeviceDriverFileNameA    K32GetDeviceDriverFileNameA
#define GetDeviceDriverFileNameW    K32GetDeviceDriverFileNameW
#define GetProcessMemoryInfo        K32GetProcessMemoryInfo
#define GetPerformanceInfo          K32GetPerformanceInfo
#define EnumPageFilesW              K32EnumPageFilesW
#define EnumPageFilesA              K32EnumPageFilesA
#define GetProcessImageFileNameA    K32GetProcessImageFileNameA
#define GetProcessImageFileNameW    K32GetProcessImageFileNameW
#endif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3-25 11시35분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46정성태3/3/20218333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12545정성태3/2/202111056.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11222.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9650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11962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9229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9534.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9424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9843.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10788.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9841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8964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9584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9225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9760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8717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12845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9962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9344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9584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7458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7163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8220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8211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9711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9744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