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을 보고 있습니다. 110쪽 소멸자를 보고 있는데 명칭이 destructor더군요. C++에서도 소멸자(destructor)라고 명칭을 사용하는데 C#에서는 종료자(Finalizer)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아래는 종료자(Finalizer)에 대한 프로그래밍 가이드입니다.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csharp/programming-guide/classes-and-structs/destructors ~연산자에 대한 설명입니다.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operators/bitwise-complement-operator 종료자(Finalizer)를 선언하는 데 쓰인다고 적혀있습니다. 비주얼 스튜디오 2013이전에는 소멸자(destructor)라고 부른 것 같습니다.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visualstudio/visual-studio-2013/66x5fx1b(v=vs.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5부터 종료자(Finalizer)라는 이름으로 부르기 시작한 것 같은데, 종료자 프로그래밍 가이드에서는 예제에 destructor라는 단어를 쓰는 것으로 보아 완전히 종료자라는 단어를 쓰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어떻게 둘 중 어떤 이름으로 부르는 것이 좋을까요? [다음 글] Freachable Queue의 발음을 표기하면 어떨까요?[이전 글] selenium 질문좀 드릴개요 [연관 글] 기타: 66. 도서: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최초 등록일: 7/31/2018 ] [최종 수정일: 8/1/2018 ] 비밀번호 댓글 쓴 사람 2018-08-01 04시35분 [이성환] 제가 주제 넘게 한 말씀 올리자면요. C#의 finalizer와 C++의 소멸자가 같은 개념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제가 C++을 잘 몰라서...) C++에서는 어떤지 잘 모르겠으나 C#에서는 finalizer 를 선언하거나 호출하는 것이 곧장 해당 객체의 삭제나 소멸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finalizer 는 GC에 의해 최종적으로 메모리 삭제 전 GC의 FinalizerQueue 에서 삽입되어 실행되는 일종의 최종 실행 메서드입니다. (GC에 의해서만 호출되며 따라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C#의 Finalizer를 호출할 수 없죠. Suppress 할 수는 있지만 그건 논외...) 물론 finalizer가 호출되면 곧 힙에서 삭제될 것이기 때문에 finalizer의 호출이 객체를 소멸시킨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finalizer 호출 즉시 객체가 삭제된다고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 역시 완전히 일치한다고 얘기하기도 어렵습니다. 거꾸로 finalizer 작성 시 leak을 발생시킬만한 요소를 포함하게 되면, finalizer를 호출하였다 하더라도 객체는 삭제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finalizer 호출 == 객체 소멸이라고 보긴 어렵죠. (순전히 제 생각입니다...;;) 그래서 제 생각엔 C++의 소멸자는 소멸자고, C#의 finalizer는 finalizer(이걸 공식 번역으로 '종료자'라고 부르는 건가요?) 라고 생각하는 게 맞는 게 아닌가 합니다. 굳이 C++과 C# 의 대응점을 찾아 이해할 필요가 있을까 싶기도 하구요. (예를 들면 C++의 함수포인터와 C#의 델리게이트 그냥 다른 거라고 생각하는 게 더 맞지 않을까 합니다. 유사한 기능이지만 다른 건 다른 걸로...) 제기하신 용어의 구분은 엄격한 문서화와 표준화가 미흡한 것 때문에 발생한 문제가 아닐까 추측합니다. 그래서 이런 용어에 관련된 문제는... 뭐... 개인적인 이해만 잘 하고, 스스로 혼란스럽지 않게 정리만 잘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손님] 2018-08-01 08시58분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당연히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문서에 맞게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음의 정오표에 추가했고, 도서: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sysnet.pe.kr/2/0/11265 다음 인쇄본부터는 수정되어 나갈 것입니다.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5034신동열8/8/20182255덤프 파일 분석 관련해서 문의 드려요. [1]5033최규성8/7/20182619C# WinForm, Oracle 9i 로 프로그래밍시 ODP.NET, 배포 설정 방법 질문입니다. [4]5032이정석8/6/20184485C# 으로 만들 dll 등록 [7]5031J.S.8/6/20182075System.Array class의 구조에 대한 질문 [1]5030농상8/4/20182784람다 식을 이용한 메서드 정의 확대를 공부하고 있습니다. [2]5029SoulToMind8/3/20182238C# ActiveX 컨트롤 질문드립니다. [4]5028도토리8/1/20182638혹시 회사에서 TFS 구축시 SQL-Server 라이선스 정책 아시는분 계신지요? [2]5027농상7/31/20182438Freachable Queue의 발음을 표기하면 어떨까요? [2]5026농상7/31/20183269소멸자의 이름에 대해서 [2]5025김기철7/30/20182432selenium 질문좀 드릴개요 [3]5024농상7/29/20182051패턴 매칭 when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2]5023농상7/28/20183191패턴매칭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 [1]5022농상7/28/20181840튜플에 대해서 건의가 있습니다. [1]5021농상7/27/20181812예외필터에 대해서 질문이요 [4]5020농상7/27/20183116null 조건 연산자 예제에서 잠깐 혼동이 일어났습니다. [1]5019농상7/26/20184275오버플로우와 언더플로우 [2]5018이재윤7/26/20182394정말 간단한 질문일 수 있는데요! [1]5017나나7/24/20184081Stopwatch.ElapsedTicks와 Stopwatch.ElapsedMilliseconds [9]5015지누7/18/20182901ASP.Net Core 를 안드로이드에서 작동하는게 가능한가요? [1]5016지누7/19/20181794 [답변]: ASP.Net Core 를 안드로이드에서 작동하는게 가능한가요?5014최홍준7/16/20181941Credential Provider Child Window 띄우기 [1]5013SoulToMind7/16/20182041HtmlElement 스크롤 문의 [2]5012황윤하7/13/20182344SMTP 예외처리 관련 질문 [1]5011손님7/9/20186659c#에서 c++ DllImport 문의 입니다. [1]25010C# 꿈나무7/8/20182702C# WebService 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1]5009C#초보자7/5/20182691[C#] 감시 프로그램을 제작했는데, 작동은 하나 폼이 멈춰버렵니다... [1]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