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80.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8

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9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349

Linux: 61.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2024-09-20 업데이트) ssh 지원이 추가됐으므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굳이 tcp 바인딩을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지난 글에서,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5

윈도우 환경의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설치했을 때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을 별도의 컨테이너 운영으로 대신했었습니다. 반면 "Windows Container" 모드의 경우에는 C:\ProgramData\docker\config\daemon.json을 이용했고.

자, 그럼 실제 Linux 운영체제에 설치된 docker라면 어떨까요?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서가 있습니다.

How do I enable the remote API for dockerd
; https://success.docker.com/article/how-do-i-enable-the-remote-api-for-dockerd

위의 문서에 보면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startup_options.conf" 경로의 파일을 생성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고 합니다.

#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override.conf
[Service]
ExecStart=
ExecStart=/usr/bin/dockerd -H fd:// -H tcp://0.0.0.0:2375

또는 아예 systemctl의 "docker.service" 파일을 편집해 ExecStart에 "-H tcp://0.0.0.0:2375"를 추가해도 됩니다.

~ nano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 cat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Unit]
Description=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Documentation=https://docs.docker.com
BindsTo=containerd.service
After=network-online.target firewalld.service containerd.service
Wants=network-online.target
Requires=docker.socket

[Service]
Type=notify
# the default is not to use systemd for cgroups because the delegate issues still
# exists and systemd currently does not support the cgroup feature set required
# for containers run by docker
ExecStart=/usr/bin/dockerd -H fd:// -H tcp://0.0.0.0:2375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ExecReload=/bin/kill -s HUP $MAINPID
TimeoutSec=0
RestartSec=2
Restart=always

# Note that StartLimit* options were moved from "Service" to "Unit" in systemd 229.
# Both the old, and new location are accepted by systemd 229 and up, so using the old location
# to make them work for either version of systemd.
StartLimitBurst=3

# Note that StartLimitInterval was renamed to StartLimitIntervalSec in systemd 230.
# Both the old, and new name are accepted by systemd 230 and up, so using the old name to make
# this option work for either version of systemd.
StartLimitInterval=60s

# Having non-zero Limit*s causes performance problems due to accounting overhead
# in the kernel. We recommend using cgroups to do container-local accounting.
LimitNOFILE=infinity
LimitNPROC=infinity
LimitCORE=infinity

# Comment TasksMax if your systemd version does not supports it.
# Only systemd 226 and above support this option.
TasksMax=infinity

# set delegate yes so that systemd does not reset the cgroups of docker containers
Delegate=yes

# kill only the docker process, not all processes in the cgroup
KillMode=process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물론 이렇게 바꾼 다음 systemctl을 재시작해야 반영이 됩니다.

~ systemctl daemon-reload
~ systemctl restart docker.service
~ netstat -ano | grep 2375


참고로, "fd://는 dockerd가 알아서 "/lib/systemd/system/docker.socket"로 설정한다는데,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npipe://"를 기본적으로 "//./pipe/docker_engine"로 매핑하는 규칙과 유사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0-28 10시29분
아래의 글에 보면,

Linux 의 init 시스템: systemd 와 systemctl 간단 사용법
; http://oniondev.egloos.com/9972854

systemctl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글의 본문에서 override conf 파일을 직접 경로를 입력해 편집했는데 이것을 systemctl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sudo systemctl edit nginx.service # override.conf 를 만들어서 기존 설정값 덮어쓰기

또한 기준이 되는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설정 파일도 경로를 알 필요없이 systemctl로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sudo systemctl edit --full nginx.service # 현재 설정파일을 직접 변경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20정성태10/2/2025277Linux: 125.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활용 사례
14019정성태10/1/2025759Linux: 124. eBPF - __sk_buff / sk_buff 구조체
14018정성태9/30/2025329닷넷: 2366. C# - UIAutomationClient를 이용해 시스템 트레이의 아이콘을 열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017정성태9/29/2025773Linux: 123. eBPF (bpf2go) - BPF_PROG_TYPE_SOCKET_FILTER 예제 - SEC("socket")
14016정성태9/28/2025967Linux: 122. eBPF - __attribute__((preserve_access_index)) 사용법
14015정성태9/22/20251284닷넷: 2365. C# - FFMpegCore를 이용한 MP4 동영상으로부터 MP3 음원 추출 예제파일 다운로드1
14014정성태9/17/20251388닷넷: 2364. C# - stun.l.google.com을 사용해 공용 IP 주소와 포트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013정성태9/14/20252046닷넷: 2363. C# - Whisper.NET Library를 이용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 및 번역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4012정성태9/9/20252149닷넷: 2362. C# - Windows.Media.Ocr: 윈도우 운영체제에 포함된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파일 다운로드1
14011정성태9/7/20252500닷넷: 2361. C# - Linux 환경의 readlink 호출
14010정성태9/1/20252343오류 유형: 983. apt update 시 "The repository 'http://deb.debian.org/debian buster Release' does not have a Release file." 오류
14009정성태8/28/20253138닷넷: 2360. C# 14 - (11) Expression Tree에 선택적 인수와 명명된 인수 허용파일 다운로드1
14008정성태8/26/20253524닷넷: 2359. C# 14 - (10) 복합 대입 연산자의 오버로드 지원파일 다운로드1
14007정성태8/25/20253830닷넷: 2358. C# - 현재 빌드에 적용 중인 컴파일러 버전 확인 방법 (#error version)
14006정성태8/23/20254034Linux: 121. Linux - snap 패키지 관리자로 설치한 소프트웨어의 디렉터리 접근 제한
14005정성태8/21/20253269오류 유형: 982. sudo: unable to load /usr/libexec/sudo/sudoers.so: libssl.so.3: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14004정성태8/21/20253821오류 유형: 981. dotnet 실행 시 No usable version of the libssl was found
14003정성태8/21/20253901닷넷: 2357. C# 14 - (9) 새로운 지시자 추가 (Ignored directives)
14002정성태8/20/20254235오류 유형: 980. C# - appsettings.json 파일의 설정값이 적용 안 된다면?
14001정성태8/19/20259000닷넷: 2356. .NET SDK 10 - 단일 소스 코드 파일을 빌드/실행하는 기능을 "dotnet" 명령어에 추가 [1]
14000정성태8/18/20254358오류 유형: 979. ERROR: failed to solve: failed to read dockerfile: open Docker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13999정성태8/15/20254137닷넷: 2355. C# 14 - (8) null 조건부 연산자 개선 - 대입문에도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3998정성태8/14/20253808닷넷: 2354. C# 14 - (7) 확장 메서드에 정적 메서드와 속성 지원을 위한 전용 구문 추가파일 다운로드1
13997정성태8/14/20254471Linux: 120. docker 컨테이너로 매핑된 볼륨에 컨테이너 측의 사용자 ID를 유지하면서 복사하는 방법
13996정성태8/13/20253363오류 유형: 978. Unable to find the requested .Net Framework Data Provide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