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110. 엑셀 매크로 함수 관련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534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엑셀 매크로 함수 관련 오류

우선, Excel 2010에서 "Alt + F11" 키를 눌러 사용자 정의 함수를 만든 후 저장을 했으나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macro-free_save_error_1.png

The following fetures cannot be saved in a macro-free workbook:

VB Project

To save a file with these features, click no, and then choose a macro-enabled file type in the file type list.

To continue saving as a macro free workbook, click yes.


이를 무시하고 그냥 "Yes" 버튼을 눌러 저장하는 경우, 다음번에 엑셀 파일을 열면 열심히 만들어 두었던 사용자 정의 함수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원인은 간단합니다.

Excel 2007Warning, "The following fetures cannot be saved in a macro-free workbook:
; http://www.eggheadcafe.com/software/aspnet/29661659/excel-2007warning-the-following-fetures-cannot-be-saved-in-a-macrofree-workbook.aspx

위의 글에서 설명한데로, 일반적인 xlsx 확장자의 엑셀 파일에는 매크로 함수가 포함될 수 없도록 바뀌었고, 별도로 xlsm 확장자를 가진 파일로 저장해야 합니다. 이 때문에 "The following fetures cannot be saved in a macro-free workbook:" 대화 상자가 나타났을 때 "No" 키를 눌러서 다음과 같이 새롭게 저장하는 대화상자가 나오면 확장자를 xlsm으로 다시 지정해서 저장하면 됩니다.

macro-free_save_error_2.png




xlsm 파일로 저장한 이후에도, 매번 해당 엑셀 파일을 저장할 때마다 다음과 같이 경고창이 나오게 됩니다.

macro-free_save_error_3.png

Privacy warning: This document contains macros, ActiveX controls, XML expansion pack information, or Web components. These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that cannot be removed by the Document Inspector.


처음 한 두번이야 상관 없지만, 자주 편집하는 엑셀 파일이면 상당히 짜증이 나게 되는데요. ^^ 아래의 글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Visual Studio Tools for Office" Frequently Asked Questions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office/developer/office-2003/aa192491(v=office.11)#vsto_q12

즉, 아래와 같이 "Remove personal information from file properties on save." 옵션을 해제하고 저장해 주어야 합니다.

macro-free_save_error_4.png




마지막으로, 애써 만든 사용자 정의 함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인자를 2개 받는 함수를 정의했는데,

출처: http://www.exceltip.com/show_tip/Excel_Custom_Functions_using_VBA/Writing_Your_First_VBA_Function_in_Excel/631.html

Function Area(Length As Double, Optional Width As Variant)
    If IsMissing(Width) Then
        Area = Length * Length
    Else
        Area = Length * Width
    End If
End Function

엑셀 Sheet에서 사용하려니, 인자를 받지 않는 함수로 인식해 버리는 것입니다.

macro-free_save_error_5.png

No help available.
This function takes no arguments.

Formula result =


사실, xlsm 파일이 매크로를 포함하도록 허용된 것과, 그런 확장자에 포함된 모든 매크로들이 안전하다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 모든 매크로(사용자 정의 함수 포함)는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안 단계별로 3가지 정도의 선택이 제공됩니다.

1. 모든 매크로 허용


우선, 가장 막나가는 스타일로 ^^ 아예 모든 매크로를 허용해 버리는 것입니다.

macro-free_save_error_6.png

2. 신뢰할 수 있는 저장소 지정


물론, '모든 매크로'를 허용하면 악의적인 사용자가 만든 매크로를 포함한 엑셀 파일에 대해 보안 위협이 발생합니다.

이를 좀 완화하기 위해서 자신이 작업하는 "작업폴더"가 있다면 바로 그런 특정 폴더에 있는 문서들만 매크로 실행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macro-free_save_error_7.png

위와 같이 해주면, 인터넷상에서 믿을 수 없는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경우 "Trusted Location"에 등록되지 않은 폴더에 보관해 놓고 열면 악의적인 매크로 실행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오호~~~ 훨씬 낫군요. ^^

3. 서명된 매크로만 실행


하지만, 2번과 같은 방법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에서 내부 인트라넷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엑셀 파일이 있다면 모든 사용자들의 PC에 위와 같은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 것은 여간 부담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해당 엑셀 파일에 포함된 매크로에 대해 "디지털 서명"을 하는 것이 좋은 해결 방법입니다.

만약, 기업에서 "Active Directory / 인증서버"를 설치해서 사용 중이라면 사내 인증 서버로부터 엑셀 매크로를 서명하는 용도로 인증서를 하나 발급받으면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Verisign 같은 곳에서 "소프트웨어 인증서"를 하나 유료 구매하시면 됩니다.

인증서가 준비되었으면, xlsm 파일을 열고 "Alt + F11" 키를 눌러 나오는 VBA 편집기에서 다음과 같이 "Digital Signature..." 메뉴를 실행해 줍니다. (그나저나, 오피스는 아무리 업그레이드 되어도 VBA 편집기 쪽은 거의 변함이 없는 것 같군요. ^^)

macro-free_save_error_8.png

이어서, "Choose" 버튼을 눌러서 현재 컴퓨터에 설치된 인증서 중에서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줍니다.

macro-free_save_error_9.png

이렇게 해서 매크로 파일까지 서명해 보았는데요. 그렇다고 해서 사용자가 모든 서명된 매크로를 '무조건' 신뢰할 수도 없는 노릇입니다. 이 때문에, 엑셀은 서명된 매크로라고 해도 다음과 같이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동의를 받는 보안 경고를 해줍니다.

macro-free_save_error_10.png

서명된 매크로가 포함된 엑셀 파일을 '처음 여는 경우' 모든 사용자는 위와 같은 경고를 받게 되고 "Enable Content (콘텐츠 사용)" 버튼을 한 번이라도 눌러주면 그 이후에는 해당 문서에 대해서는 두 번 다시 경고를 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3가지 정도의 방법으로 매크로 허용을 하시면, 이제서야 비로소 엑셀에서 사용자 정의 함수를 추가할 때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인자를 받는 화면이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cro-free_save_error_11.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1-23 05시04분
[강부자아들] xlma로 추가기능에 함수를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근데 궁금한 것은 private으로 function을 만들어도 UDF가 되는 것인데 혹시
모듈 내에서만 동작하는 함수를 만드는 방법을 아시나요?
[guest]
2013-01-23 10시28분
아래의 글로 봐서는, 그런 방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Private functions are usable on the worksheet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9350338/private-functions-are-usable-on-the-worksheet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84정성태4/11/201824749.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3정성태4/10/201828045개발 환경 구성: 358.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2) [1]
11482정성태4/10/201820490VC++: 126. CUDA Core 수를 알아내는 방법
11481정성태4/10/201832132개발 환경 구성: 357. CUDA의 인덱싱 관련 용어 - blockIdx, threadIdx, blockDim, gridDim
11480정성태4/9/201822173.NET Framework: 736. C# - API를 사용해 Azure에 접근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479정성태4/9/201817786.NET Framework: 735. Azure - PowerShell로 Access control(IAM)에 새로운 계정 만드는 방법
11478정성태11/8/201920036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
11477정성태4/8/201817476오류 유형: 460.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11476정성태4/8/201819046디버깅 기술: 114. windbg - !threads 출력 결과로부터 닷넷 관리 스레드(System.Threading.Thread) 객체를 구하는 방법
11475정성태3/28/201821345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11474정성태3/27/201819462오류 유형: 459. xperf: error: TEST.Event: Invalid flags. (0x3ec).
11473정성태3/22/201824598.NET Framework: 734.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2
11472정성태3/22/201818575개발 환경 구성: 356. GTX 1070, GTX 960, GT 640M의 cudaGetDeviceProperties 출력 결과
11471정성태3/20/201821953VC++: 125. CUDA로 작성한 RGB2RGBA 성능 [1]파일 다운로드1
11470정성태3/20/201824134오류 유형: 458. Visual Studio - CUDA 프로젝트 빌드 시 오류 C1189, expression must have a constant value
11469정성태3/19/201817158오류 유형: 457. error MSB3103: Invalid Resx file.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Windows.Forms, ...' or one of its dependencies.
11468정성태3/19/201816676오류 유형: 456.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0x80131401 예외 발생
11467정성태3/19/201816087오류 유형: 455. Visual Studio Installer - 업데이트 실패
11466정성태3/18/201817236개발 환경 구성: 355. 한 대의 PC에서 2개 이상의 DirectX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1463정성태3/15/201819576.NET Framework: 733. 스레드 간의 read/write 시에도 lock이 필요 없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1462정성태3/14/201822450개발 환경 구성: 354. HTTPS 호출에 대한 TLS 설정 확인하는 방법 [1]
11461정성태3/13/201825073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1]
11460정성태3/13/201817564디버깅 기술: 11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11459정성태3/13/201818369오류 유형: 453. Debug Diagnostic Tool에서 mscordacwks.dll을 찾지 못하는 문제
11458정성태2/21/201819347오류 유형: 452. This share requires the obsolete SMB1 protocol, which is unsafe and could expose your system to attack. [1]
11457정성태2/17/201824076.NET Framework: 732. C# - Task.ContinueWith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