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응용 프로그램 디자인 스케치 도구 - SketchFlow

그동안 말로만 들어왔던 SketchFlow를 검토하게 되었습니다.

SketchFlow 개요
; https://docs.microsoft.com/ko-kr/previous-versions/visualstudio/design-tools/expression-studio-4/ee341449(v=expression.40)

오호~~~ 짧은 검토 결과 일단 마음에 듭니다. ^^ 형상 관리 서버와의 연동도 자연스럽고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주 쓰이는 '컨트롤' 요소들도 기본 제공하고 애니메이션 효과 및 실제 스케치한 그림을 넣어서 표현하기에도 무리가 없습니다.

혹시나, 아직도 모르고 계시는 분들은 이번 기회에 한번 눈여겨 봐두시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먼저, 이것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데모는 다음의 영상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Expression and SketchFlow Demo Mix09 
(제 판단으로는, 여기 나오는 데모 수준은 전문적인 디자이너와 수준 있는 개발자가 협업해야 가능한 정도 같습니다.)
; http://vimeo.com/5533794

그리고, 교육용으로 제작된 것인데 아래의 5분짜리 비디오도 전체적인 기능 이해를 도와줍니다.

Introducing SketchFlow with Expression Blend 3 
(여기 나오는 데모 수준은… 누구나 가능할 수 있습니다.)
; http://www.youtube.com/watch?v=DOGxOQO8qA8&feature=mfu_in_order&list=UL




실제로 뚝딱거리고 싶은 분들은 다음의 비디오들을 한 번씩 쭉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Introducing SketchFlow with Expression Blend 3’에 대한 How-to 시리즈라고 보면 됩니다.) 한 편당 9분 정도 내외의 내용이라서 골라서 보시면 빠른 시간 내에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Building Basic Layout in SketchFlow with Expression Blend 3 (기초 도구 사용법)
; http://www.youtube.com/watch?v=NUuUtXll16E&feature=mfu_in_order&list=UL

Using SketchStyle Controls to Enhance a SketchFlow Layout with Expression Blend 3 (부가 컨트롤 추가하기)
; http://www.youtube.com/watch?v=hYKvR3c2aBw&feature=mfu_in_order&list=UL

Working with Components in a SketchFlow Project with Expression Blend 3 (별개의 컨트롤로 분리하는 방법)
; http://www.youtube.com/watch?v=Ca955dOBwIY&feature=mfu_in_order&list=UL

Adding Navigation to Buttons in SketchFlow with Expression Blend 3 (화면 내의 컨트롤에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는 기능 부여)
; http://www.youtube.com/watch?v=xWiNkaljeCI&feature=mfu_in_order&list=UL

Working with States in SketchFlow with Expression Blend 3 (레이어 윈도우 효과)
; http://www.youtube.com/watch?v=jxu210ol4aE&feature=autoplay&list=ULf5ieT23i78U&index=18&playnext=1

Working with the SketchFlow Animation Panel with Expression Blend 3 (애니메이션 효과)
; http://www.youtube.com/watch?v=UdZSM7b74aM&feature=autoplay&list=ULf5ieT23i78U&index=19&playnext=1

Working with Behaviors in SketchFlow with Expression Blend 3 (Behavior에 대한 이해)
; http://www.youtube.com/watch?v=faEcmh_ESmI&feature=BF&list=ULf5ieT23i78U&index=20

Using Sample Data in SketchFlow with Expression Blend 3 (데이터 바인딩)
; http://www.youtube.com/watch?v=WHYyfTHzuVY&feature=mfu_in_order&list=UL

Adding Feedback and Annotations in the SketchFlow Player with Expression Blend 3 (피드백 첨언하기)
; http://www.youtube.com/watch?v=uoXvf_E2UZg&feature=BF&list=ULf5ieT23i78U&index=22 

Exporting your SketchFlow project with Expression Blend 3 (html/XAP 파일로 내보내기, 오피스 워드로 내보내기
; http://www.youtube.com/watch?v=3R7r02niqEw&feature=BF&list=ULf5ieT23i78U&index=23

**** 위에서 SketchFlow에 대한 프로젝트 생성 방법이 빠져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비디오를 보시면 됩니다.

SketchFlow (Sketch Flow 프로젝트 생성 방법부터, 간략한 방법)
; http://www.youtube.com/watch?v=kJtu5mjOYrU&feature=related




실습하기 위해서는 Expression Blend라는 제품이 필요한데 다음의 URL에서 60일 평가판을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Microsoft Expression Studio 4 Ultimate 60일 평가판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ko-kr/details.aspx?FamilyID=04438F30-CC6D-4E10-80A3-3B3DCE129E88

설치 후, 서비스 팩 1을 다시 설치하시는 것이 권장되고.

Microsoft Expression Blend 4 SP1(서비스 팩 1)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ko-kr/details.aspx?FamilyID=17872A3A-4620-4B87-9D62-F29173D12625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3-30 10시32분
[spike] 현재는 4 버전이 나와있습니다. 이왕이면 최신버전으로 보시는 것도 좋겠네요~
[guest]
2011-03-30 10시47분
아... ^^ 동영상 링크 걸어놓은 것은 3 버전밖에 없어서 그렇게 된 것이고, 아래에 보시면 Expression Blend 4 버전의 평가판 경로를 걸어놨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동영상 강의 내용 수준 정도는 3과 4의 동작 차이가 없기 때문에 무방할 것 같습니다. ^^
정성태
2011-03-31 10시28분
[짜두] 드뎌 디자인에 입문하시는건가효?ㅎ 레알 Expression MVP 가 되어 주세요!ㅎㅎㅎ
[guest]
2011-03-31 02시05분
필요한 만큼만 합니다. ^^; Expression MVP가 되기에는 쩜. ^^ WPF조차도 "그 프로젝트" 이후로 안 하다 보니 감을 잃은 것 같습니다. ^^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38정성태1/24/202218180개발 환경 구성: 633. Docker Desktop + k8s 환경에서 local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
12937정성태1/24/202215774.NET Framework: 113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오디오(mp2) 인코딩하는 예제(encode_audio.c) [2]파일 다운로드1
12936정성태1/22/202215370.NET Framework: 113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멀티미디어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보여주는 예제(metadata.c)파일 다운로드1
12935정성태1/22/202216043.NET Framework: 1137. ffmpeg의 파일 해시 예제(ffhash.c)를 C#으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34정성태1/22/202215466오류 유형: 788. Warning C6262 Function uses '65564' bytes of stack: exceeds /analyze:stacksize '16384'. Consider moving some data to heap. [2]
12933정성태1/21/202215943.NET Framework: 113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2 오디오 파일 디코딩 예제(decode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32정성태1/20/202217053.NET Framework: 1135. C# - ffmpeg(FFmpeg.AutoGen)로 하드웨어 가속기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hw_decode.c) [2]파일 다운로드1
12931정성태1/20/202213562개발 환경 구성: 632. ASP.NET Core 프로젝트를 AKS/k8s에 올리는 과정
12930정성태1/19/202214814개발 환경 구성: 631. AKS/k8s의 Volume에 파일 복사하는 방법
12929정성태1/19/202214785개발 환경 구성: 630. AKS/k8s의 Pod에 Volume 연결하는 방법
12928정성태1/18/202214583개발 환경 구성: 629. AKS/Kubernetes에서 호스팅 중인 pod에 shell(/bin/bash)로 진입하는 방법
12927정성태1/18/202215124개발 환경 구성: 628. AKS 환경에 응용 프로그램 배포 방법
12926정성태1/17/202215036오류 유형: 787. AKS - pod 배포 시 ErrImagePull/ImagePullBackOff 오류
12925정성태1/17/202215684개발 환경 구성: 627. AKS의 준비 단계 - ACR(Azure Container Registry)에 docker 이미지 배포
12924정성태1/15/202217196.NET Framework: 1134.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2]파일 다운로드1
12923정성태1/15/202215985개발 환경 구성: 626. ffmpeg.exe를 사용해 비디오 파일을 MPEG1 포맷으로 변경하는 방법
12922정성태1/14/202214793개발 환경 구성: 625. AKS - Azure Kubernetes Service 생성 및 SLO/SLA 변경 방법
12921정성태1/14/202212537개발 환경 구성: 624. Docker Desktop에서 별도 서버에 설치한 docker registry에 이미지 올리는 방법
12920정성태1/14/202213855오류 유형: 786. Camtasia - An error occurred with the camera: Failed to Add Video Sampler.
12919정성태1/13/202213396Windows: 199. Host Network Service (HNS)에 의해서 점유되는 포트
12918정성태1/13/202213851Linux: 47. WSL - shell script에서 설정한 환경 변수가 스크립트 실행 후 반영되지 않는 문제
12917정성태1/12/202213036오류 유형: 785. C# - The type or namespace name '...' could not be found (are you missing a using directive or an assembly reference?)
12916정성태1/12/202212325오류 유형: 784. TFS - One or more source control bindings for this solution are not valid and are listed below.
12915정성태1/11/202212945오류 유형: 783. Visual Studio - We didn't find any interpreters
12914정성태1/11/202216138VS.NET IDE: 172. 비주얼 스튜디오 2022의 파이선 개발 환경 지원
12913정성태1/11/202216558.NET Framework: 1133. C# - byte * (바이트 포인터)를 FileStream으로 쓰는 방법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