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114. Windows Thin PC 설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354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Windows Thin PC 설치

WinTPC 소식이 있었지요.

Windows Thin PC Community Technology Preview (CTP)
; http://blogs.msdn.com/b/michaelro/archive/2011/04/12/windows-thin-pc-community-technology-preview-ctp.aspx

CTP 버전이긴 해도 호기심에 한번 설치를 해보았는데, 완성도가 RC 수준이더군요. ^^

현재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Microsoft Connect 웹 사이트에 로그인 하면,

마이크로소프트 Connect
; https://connect.microsoft.com/ 

아래의 그림처럼 우측 면에 "현재 제안을 받고 있는 제품"이 나오고 이를 클릭합니다.

windows_thinpc_1.png

그럼, 아래 그림과 같이 "Windows" 제품 군에 "Windows Thin PC" 항목이 보이는 데, "참가"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갈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에서는 제가 이미 참여를 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링크 이름이 "끝내기"로 되어 있습니다.)

windows_thinpc_2.png

"Windows Thin PC" 제품 페이지의 왼쪽 메뉴 목록에서 "다운로드" 링크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Windows Thin PC CTP"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가 제공되고 ISO 파일(ThinPC_110225_EVAL_x86fre.iso) 이미지로 내려 받을 수 있습니다.

windows_thinpc_3.png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으면 테스트 삼아서 한번 설치를 해봐야 할 텐데요. 제 경우에는 Hyper-V에서 가상 머신으로 ISO 이미지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연결해서 진행해 보았습니다.

가상머신을 부팅하면 다음과 같이 설치 화면이 제공됩니다. 타이틀만 "Windows Thin PC"일 뿐 전체적인 분위기는 "윈도우 7" 설치와 유사합니다. "Korean" 설정이 있길래 지정해 보았고,

windows_thinpc_install_1.png

다음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바뀌는데, 이후의 인스톨 과정은 "Windows 7" 운영체제와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화면 캡쳐는 생략합니다.

windows_thinpc_install_2.png

1차 설치 완료되고 재부팅 후 윈도우 설정할 때 다음과 같이 제품 키를 물어보는데... 순간 당황했습니다. ^^; 없었거든요.

windows_thinpc_install_3.png

혹시나 싶어서 MSDN 구독자 다운로드 센터에도 가보았는데 없더군요. 그러다 Connect 사이트에서 WinTPC ISO 파일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았던 그 페이지에서 함께 제공되는 "WinThinPC - Quick Start Guide.pdf" 파일을 보았는데, 거기에 방법이 적혀 있습니다.

"
This is an evaluation product key that will activate the image for 90 days, however the Windows Thin PC Preview release is set to expire on 10/31/2011, after which this release will stop functioning.
"


즉, 설치 후 90일 동안만 활성화되고 무조건 2011년 10월 31일에 만료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냥 제품키 입력없이 "Next"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설치 첫 화면에서 제가 "Korean" 설정으로 진행했었는데, 다음과 같이 한글이 깨져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CTP 버전이라서 다국어 지원까지는 신경쓰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나중에 설치 완료 후 "Region and Language"를 이용해서 다시 "English (United States)"로 돌려놓았습니다.)

windows_thinpc_install_4.png

설치 과정을 모두 거치고, 부팅을 완료하고 나니 완전히 "윈도우 7" 운영체제와 거의 다를 바가 없었습니다.

windows_thinpc_install_5.png

보시는 것처럼, 완전히 "Windows 7"과 다름없는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그러고 보니, "WinFLP" 제품을 대신한다고 하더니 그 의미를 알 것 같습니다.




자, 이제 이것저것 한번 둘러볼까요?

최초 설치 후 디스크 점유 공간은 2.66GB 정도, 메모리는 298MB 점유하고 있습니다. 메모리 점유는 예전의 XP가 120MB 정도를 점유한 것에 비하면 많은데, 아마도 이 부분은 1GB의 넓은(?) 공간으로 인한 충분한 캐시 활용이 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windows_thinpc_install_6.png

"Programs and Features"를 살펴 보니 기본적으로 "Microsoft POS for .NET 1.12"와 "Microsoft Visual C++ 2005 Redistributable"이 설치되어 있고, "Windows features"를 살펴보려고 하는데 다음과 같이 알림 상자가 뜹니다.

windows_thinpc_install_7.png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connect 이슈에서 설명되고 있습니다.

Windows Features does not work
; https://connect.microsoft.com/windowsembedded/feedback/details/656774/windows-features-does-not-work

Windows Features 
; https://connect.microsoft.com/windowsembedded/feedback/details/657208/windows-features

Unfortunately, at this time, we will only be able to support a single, non-customizable image for WinTPC. This means windows features cannot be turned on or off

I think this is disabled because of the Embedded servicing which differs from the normal Windows 7 add/remove feature servicing. If you enable it the box is empty.


좀 더 살펴보면서 놀라운 것을 하나 발견했는데요. 예상과는 달리 RDP 접속 환경이 제공되었습니다.

windows_thinpc_install_8.png

오호~~~ 감히 Thin PC 주제에 ^^ Windows 7 Home Basic이나 Windows 7 Home Premium조차도 제공해 주지 않는 RDP 연결이 허용되는 것이었습니다. 여기서 RemoteFX가 생각나더군요. ^^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 https://www.sysnet.pe.kr/2/0/999

곧바로 ThinPC가 설치된 가상머신을 종료시키고, "RemoteFX"를 활성화하고 다시 부팅시킨 후 제 컴퓨터의 RDP로 ThinPC에 연결해 보았습니다.

예상했던 데로 "Aero 테마"까지도 잘 적용이 됩니다. ^^

windows_thinpc_install_9.png

윈도우 7의 경우에도 RemoteFX가 적용된다는 것은 "Service Pack 1"을 설치해야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건 완전히 "윈도우 7 SP1"이 적용된 환경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System 대화상자에 가보면, "Windows edition"이 "Windows Embedded Standard (Service Pack 1)"로 되어 있는데 전체적인 소스 코드 관리가 같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DirectX 3D 9.c를 지원하는 게임도 된다는 이야기! 그동안 가볍다는 이유로 Windows XP를 사용하신 분들은 "Windows Thin PC"를 고려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물론, 한글 지원이 되려면 기다려야겠지요.)

참고로, IE 9와 .NET Framework 4.0까지 설치한 용량이 3.48GB였습니다.

그나저나, 이대로라면 128GB SSD를 가진 시스템에서는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한 운영체제가 되겠는데요.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5-07 10시45분
Microsoft has Issued the Windows Thin PC Release Candidate
; http://www.codeguru.com/daily_news/article.php/426110

CTP에서 곧바로 RC 라니... 빠른 행보군요. ^^

현재, connect 사이트에서 RC 버전 다운로드가 제공되고 있으며 기존 ThinPC 그룹은 삭제되고, 새롭게 그룹이 나타나서 다시 사용자가 등록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다운로드 파일명: ThinPC_110415_EVAL_x86fre.iso
정성태
2011-05-24 11시25분
한글 지원이 안되는 문제는, 다음의 글을 보시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

Windows Thin PC 설치 후기
; http://hakunamata2.net/90114259331

저런 방법이 있었군요. ^^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67정성태7/7/20246608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7686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7864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7470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7478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7398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7504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7844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8221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7911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8070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7843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7787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7926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9245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8472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8397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7948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8266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9327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7745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8197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8855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8303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8196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8659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