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469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 https://www.sysnet.pe.kr/2/0/470

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996

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021

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 https://www.sysnet.pe.kr/2/0/1586

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587

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98

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1322

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59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예전에 CLR 2.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중지점(BreakPoint)를 거는 방법을 설명했었지요.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469

.NET 4.0을 대상으로 한다면 위의 설명에서 다소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개정판' 차원에서 ^^ 언급해 보겠습니다.

우선, mscorwks.dll 로딩 시에 BP를 걸었던 것을 clr.dll로 바꿔주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01: 0:000> sxe ld clr

'g' 명령어로 이제 clr.dll이 로드될 때까지 진행합니다.

0:000> g
ModLoad: 70070000 706e0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clr.dll
eax=00000000 ebx=00000000 ecx=00000000 edx=00000000 esi=7efdd000 edi=001ef400
eip=7778fc52 esp=001ef2d4 ebp=001ef328 iopl=0         nv up ei pl zr na pe nc
cs=0023  ss=002b  ds=002b  es=002b  fs=0053  gs=002b             efl=00000246
ntdll!ZwMapViewOfSection+0x12:
7778fc52 83c404          add     esp,4

clr이 로드되었으니, 안전하게 sos.dll을 로드해 주고,

0:000> .loadby sos clr
0:000> .chain
Extension DLL search Path:
    C:\Program Files (x86)\...[생략]...\COMMON
Extension DLL chain: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sos: image 4.0.30319.225, API 1.0.0, built Thu Feb 10 13:49:57 2011
        [path: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sos.dll]
    dbghelp: image 6.12.0002.633, API 6.1.6, built Tue Feb 02 05:08:26 2010
        [path: C:\...[생략]...\dbghelp.dll]
    ext: image 6.12.0002.633,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31 2010
        [path: C:\...[생략]...\ext.dll]
    wow64exts: image 6.1.7650.0,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04 2010
        [path: C:\...[생략]...\wow64exts.dll]
    exts: image 6.12.0002.633,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24 2010
        [path: C:\...[생략]...\exts.dll]
    uext: image 6.12.0002.633,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23 2010
        [path: C:\...[생략]...\uext.dll]
    ntsdexts: image 6.1.7650.0, API 1.0.0, built Tue Feb 02 05:08:08 2010
        [path: C:\...[생략]...\ntsdexts.dll]

RunMain 함수에 BP를 걸어주고, 해당 함수에서 멈출 때까지 'g' 키를 눌러 진행합니다.

0:000> bp clr!ClassLoader::RunMain
0:000> g
(10e0.1074): Unknown exception - code 04242420 (first chance)
ModLoad: 73750000 737b0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clrjit.dll
eax=00000000 ebx=00000000 ecx=00000002 edx=00000000 esi=7efdd000 edi=001ee164
eip=7778fc52 esp=001ee038 ebp=001ee08c iopl=0         nv up ei pl zr na pe nc
cs=0023  ss=002b  ds=002b  es=002b  fs=0053  gs=002b             efl=00000246
ntdll!ZwMapViewOfSection+0x12:
7778fc52 83c404          add     esp,4

0:000> g
Breakpoint 0 hit
eax=001ef104 ebx=00000000 ecx=700f5b79 edx=80000001 esi=002a33f0 edi=00000000
eip=7012212f esp=001ef0cc ebp=001ef330 iopl=0         nv up ei pl nz na pe nc
cs=0023  ss=002b  ds=002b  es=002b  fs=0053  gs=002b             efl=00000206
clr!ClassLoader::RunMain:
7012212f 6838010000      push    138h

마지막으로 예와 다름없이 Main 메서드에 bp를 걸어주면 끝!

!bpmd ConsoleApplication1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3/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11정성태12/2/200941756.NET Framework: 169. [in, 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8]파일 다운로드2
810정성태12/1/200937518.NET Framework: 16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3]
809정성태11/27/200926916오류 유형: 90. Method not found: 'Void System.Reflection.Emit.DynamicMethod..ctor(System.String, System.Type, System.Type[])'.
808정성태11/26/200935782VC++: 38. X64 빌드 오류: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COMDLL]_ProxyFileInfo
807정성태11/23/200929853웹: 14. 로컬에 있는 HTML 페이지를 보호 모드에서 여는 방법
802정성태11/19/200932013.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01정성태11/18/200939389개발 환경 구성: 55. Hyper-V와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성능 문제 해결 [1]
800정성태11/13/200932148VS.NET IDE: 66. 수동으로 구성해 본 VC++ 프로젝트 설정: ReleaseMinDependency
798정성태11/10/200930854개발 환경 구성: 54. .NET 개발자가 처음 설치해 본 TOMCAT [2]
797정성태11/9/200927084개발 환경 구성: 53. 물리 PC에 설치된 Windows 7을 Hyper-V로 이전하면?
796정성태11/2/200931119오류 유형: 89. Windows 7 백업 오류 - 0x80070057
795정성태11/2/200928105오류 유형: 88. TFS 2010 (beat2) 설치 오류 -TF255272
793정성태10/19/200930015.NET Framework: 166. WPF - XAML 요소의 네임스페이스와 CLR 타입 매핑
792정성태10/17/200930417웹: 13. IIS 7.5 에서 SQL Express 연결 시 오류
791정성태10/17/200934277웹: 12. 요청 페이지에 대해 빈 화면만 보이는 경우 [1]
789정성태10/13/200930383COM 개체 관련: 22. BB FlashBack SDK와 ActiveX 버전 관리 [7]
786정성태10/9/200926431개발 환경 구성: 52. 테스트를 위한 평가판 운영체제 구하기
785정성태10/8/200932757.NET Framework: 165.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2)파일 다운로드1
783정성태10/7/200930569.NET Framework: 164. WPF - 데이터 바인딩된 트리에서 부모 노드 찾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82정성태10/6/200932738개발 환경 구성: 51. Windows 7 - 다중 원격 접속(Remote Desktop) 허용
781정성태9/30/200929312.NET Framework: 163. WPF - TreeView 자동 스크롤 기능 해지 [2]파일 다운로드1
780정성태9/28/200933469Windows: 48. Windows 7/2008에서 ping을 위한 echo 요청 열기 [2]
779정성태9/24/200924767.NET Framework: 162.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778정성태9/23/200926583오류 유형: 87. 시스템 시간 변경 후 Session이 맺어진 WCF 클라이언트의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776정성태9/17/200925654개발 환경 구성: 50. Reference assembly
775정성태9/13/200942271VC++: 37. XmlCodeGenerator를 C/C++ 코드 생성에 적용 [2]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