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Windows 2008 서버에서 Event Viewer / PowerShell 실행 시 비정상 종료되는 문제

Windows Server 2008 Service Pack 2 시스템에서 어느 순간부터 "이벤트 뷰어"를 시작하면 곧바로 오류와 함께 프로그램이 죽어버렸습니다.

abnormal_exit_of_event_viewer_1.png

도저히 해결책을 못 찾아서 검색을 하는데, 오호~~~ 최근에 이 현상을 겪는 글이 검색되었습니다.

.NET Fatal Error + Faulting Application MSExchangeMailboxReplication.exe in Module mscorwks.dll
; http://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en-NZ/exchange2010/thread/c16a8c54-ea5f-454a-a7a8-3980c65528a0

위의 글에 보면 PowerShell을 실행해도 같은 비정상 종료 문제가 발생한다고 하는데, 저도 같은 현상인지 확인하기 위해 실행해 보았는데, 여지없군요. ^^;

abnormal_exit_of_event_viewer_2.png

답변에 보면, 아래의 글을 소개해 주고 있습니다.

Exchange 2010 management tools do not start after the installation of .NET hotfix KB 2449742
; http://blogs.technet.com/b/exchange/archive/2011/04/15/exchange-2010-management-tools-do-not-start-after-the-installation-of-net-hotfix-kb-2449742.aspx

위의 글에 나오지만, 아래의 보안 패치로 인한 영향이라고 합니다.

Exchange Server, SQL Server, or PowerShell crashes after you install security update 2449742 or 2446709
; http://support.microsoft.com/kb/2540222

이 현상은 "Windows Server 2008 R2"에서도 발생하는데 SP1을 설치한 경우에는 없는 것 같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파악 중이며, 일단은 해결을 위해 KB2449742 패치를 제거하라고 하는군요. (위의 글이 써진 시점이 4월 15일인데, 아직까지 별다른 글이 없는 것을 보니 여전히 밝혀진 바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제어판의 프로그램 삭제에서 해당 업데이트를 삭제하면,

abnormal_exit_of_event_viewer_3.png

재부팅 후 이벤트 뷰어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4-25 12시59분
KB2449742 == Security Update for .NET Framework 3.5 SP1, Windows Vista SP2, and Windows Server 2008 SP2 x86

Important 업데이트 항목에 속해서, 삭제한 이후에 업데이트가 다시 진행이 되는데 이를 막기 위해서는 윈도우 업데이트에 가서 해당 항목을 "hide update" 메뉴를 실행해서 중지시켜 놓아야 합니다.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51정성태3/5/202116926오류 유형: 702.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2)
12550정성태3/5/202116862오류 유형: 701. Live Share 1.0.3713.0 버전을 1.0.3884.0으로 업데이트 이후 ContactServiceModelPackage 오류 발생하는 문제
12549정성태3/4/202118588오류 유형: 700. VsixPublisher를 이용한 등록 시 다양한 오류 유형 해결책
12548정성태3/4/202119769개발 환경 구성: 546.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nuget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47정성태3/3/202120298오류 유형: 699.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2546정성태3/3/202120486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12545정성태3/2/202122954.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23367.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20754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22373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20030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21666.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21525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22167.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21225.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12536정성태2/9/202120545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19696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20612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18697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20853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19264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22291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21300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21748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21656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18156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