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eb.zip]    
(연관된 글이 9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118. IIS Express -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30

개발 환경 구성: 684.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웹을 WSL 환경에서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89

개발 환경 구성: 685. 로컬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5+ 웹 사이트에 대해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95




IIS Express -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접근하는 방법

설마, 아직도 Windows 7 + Visual Studio 2010 환경에서 웹 개발을 하면서 IIS Express를 설치하지 않으신 분은 없겠지요? ^^

WebDev도 좋긴 하지만, 몇몇 특정 기능 때문에 IIS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지요. 그런 경우, IIS에서 디버깅을 하려면 '관리자 권한'으로 Visual Studio를 실행해야 하는 문제가 걸리는데, 이런 부분이 "IIS Express"를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해결됩니다. (물론, IIS Express도 net.tcp 프로토콜의 WCF 서비스는 감당 못하지만.)

그리 시간이 걸리지 않으니 지금이라도 아래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십시오. ^^

Internet Information Services (IIS) 7.5 Express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FamilyID=abc59783-89de-4adc-b770-0a720bb21deb




IIS Express가 이제 설치되었으면, 간단한 테스트 환경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의 3가지 파일을 c:\temp\web에 넣어두고,

(* 첨부 파일에 아래의 소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Default.aspx ===========
<%@ Page Language="C#" AutoEventWireup="true" CodeFile="Default.aspx.cs" Inherits="_Default"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runat="server">
    <title></title>
</head>
<body>
    <form id="form1" runat="server">
    <div>
    
        <asp:HyperLink ID="HyperLink1" runat="server">HyperLink</asp:HyperLink>
    
    </div>
    </form>
</body>
</html>

=========== Default.aspx.cs ===========
using System;
using System.Web;
using System.Web.UI;
using System.Web.UI.WebControls;

public partial class _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HyperLink1.Text = "TEST";
    }
}

=========== web.config ===========
<?xml version="1.0"?>
<configuration>
  <system.web>
    <compilation debug="true" targetFramework="4.0"/>
  </system.web>
</configuration>

IIS Express가 설치된 폴더에 가서 (관리자 권한 없이)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려주면 웹 사이트 호스팅이 시작됩니다.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iisexpress /path:c:\temp\web /port:8500
Copied template config file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AppServer\applicationhost.config' to '%LOCALAPPDATA%\Temp\iisexpress\applicationhost201142971710826.config'
Updated configuration file '%LOCALAPPDATA%\Temp\iisexpress\applicationhost201142971710826.config' with given cmd line info.
Starting IIS Express ...
Successfully registered URL "http://localhost:8500/" for site "Development Web Site" application "/"
Registration completed
IIS Express is running.
Enter 'Q' to stop IIS Express

Internet Explorer로 확인을 해보면, 다음과 같이 ^^ default.aspx/cs 파일이 잘 컴파일되어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ow_to_use_hostname_in_iisexpress_1.png

그런데, "http://127.0.0.1:8500"으로 한번 접근해 볼까요? 그러면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how_to_use_hostname_in_iisexpress_2.png

Bad Request - Invalid Hostname
 
HTTP Error 400. The request hostname is invalid.

HttpWebRequest로 호출하면 오류 메시지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옵니다.
System.Net.WebException
  HResult=0x80131509
  Message=The remote server returned an error: (400) Bad Request.
  Source=System
  StackTrace:
   at System.Net.HttpWebRequest.GetResponse()

말 그대로, IIS Express는 기본적으로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전달되는 모든 HTTP 요청을 거부합니다. "127.0.0.1" 주소도 거부될 정도이니, 다른 IP나 DNS는 굳이 확인할 필요도 없습니다.

개발자 컴퓨터에서 Visual Studio로 웹 사이트 개발/디버깅하는 용도로는 이런 제약이 크게 문제가 안 되지만, IIS Express 자체가 Tomcat과 같은 무료 웹 서버로 사용되기 위한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은 제약입니다.

물론, 이러한 제약을 벗어나도록 하는 방법이 있고 바로 여기서부터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게 됩니다. 우선, 여러분이 호스트하려는 (포트 포함) URL 형식에 대해 시스템에 등록해 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netsh이 필요합니다. 예전에도 몇몇 글에서 한번 알아본 적이 있지요. ^^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 https://www.sysnet.pe.kr/2/0/869

VS.NET 2008 - WCF를 위한 디버깅 환경 개선
; https://www.sysnet.pe.kr/2/0/522

그렇습니다. 보안이라는 맥락으로 모두 다 같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로컬에서 함부로 http.sys와 연동되는 서비스 포트를 열 수 없도록 이러한 제약이 생긴 것입니다. 따라서, 이를 허용하도록 '관리자 권한'에서 설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이 글에서 원하는 것은 8500번 포트를 여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명령행 창에서 실행해 주면 됩니다.

[형식]: netsh http add urlacl url=http://*:[포트번호]/ user="[사용자 계정]"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netsh http add urlacl url=http://*:8500/ user="testusr32"

URL reservation successfully added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확인을 할 수 있고,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netsh http show urlacl

URL Reservations:
-----------------
    ...[생략]...

    Reserved URL            : http://*:8500/
        User: TESTPC\TESTUSR32
            Listen: Yes
            Delegate: No
            SDDL: D:(A;;GX;;;S-1-5-21-15120209-1487767885-450303533-1000)

지우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습을 위해 지우지는 마세요. ^^)

netsh http delete urlacl ur=http://*:8500/

이렇게 해서 8500번 포트를 등록했으면 다시 iisexpress를 실행시켜 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정상적으로 실행이 안 됩니다.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iisexpress /path:c:\temp\web /port:8500
Copied template config file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AppServer\applicationhost.config' to '%LOCALAPPDATA%\Temp\iisexpress\applicationhost201142974455237.config'
Updated configuration file '%LOCALAPPDATA%\Temp\iisexpress\applicationhost201142974455237.config' with given cmd line info.
Starting IIS Express ...
Failed to call HttpAddUrl with http://localhost:8500/
Failed to register URL "http://localhost:8500/" for site "Development Web Site" application "/". Error description: Access is denied. (0x80070005)
Registration completed
Failed to process sites
Report ListenerChannel stopped due to failure; ProtocolId:http, ListenerChannelId:0
HostableWebCore activation failed.
Unable to start iisexpress.

Access is denied.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error, run iisexpress.exe with the tracing switch enabled (/trace:error).

일단 netsh로 등록이 되면, 이제 더 이상 localhost만으로 접근이 되는 낮은 권한의 웹 사이트 호스팅이 안 됩니다.

이 단계에서, 한 가지 더 수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즉, "localhost" 이외의 주소로 바인딩하려 한다는 정보를 iisexpress.exe에게 알려야 합니다.

그런데, 아쉽게도 바인딩 관련 옵션을 직접적으로 iisexpress.exe의 명령행 인자로 줄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대신에, 해당 웹 사이트에 대한 호스팅 정보를 제공하는 applicationHost.config 파일을 만들어서 iisexpress.exe에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다행히 어려운 방법은 아닙니다. applicationHost.config 파일을 바닥부터 만들 필요없이, 이미 iisexpress.exe가 대략적인 호스팅 정보를 담고 있는 config 파일을 만들어주므로 이를 재사용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위의 iisexpress.exe 실행 결과를 자세히 보시면 다음과 같은 경로에 config 파일을 만들어 주고 있음을 눈치챌 수 있습니다.

Updated configuration file '%LOCALAPPDATA%\Temp\iisexpress\applicationhost201142974455237.config' with given cmd line info.


위의 경로에 있는 applicationhost201142974455237.config 파일을 c:\temp\web 폴더에 "applicationhost.config"라는 이름으로 복사하고, bindings 절에서 다음의 내용을 수정해 줍니다.

<sites>
    <site name="Development Web Site" id="1" serverAutoStart="true">
        <application path="/">
            <virtualDirectory path="/" physicalPath="c:\temp\web" />
        </application>
        <bindings>
            <binding protocol="http" bindingInformation=":8500:" /> <== 원래는 ":8500:localhost"
        </bindings>
    </site>
    ...[생략]...
</sites>

자, 이제 다시 명령행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해 주면 정상적으로 호스팅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iisexpress /config:c:\temp\web\applicationHost.config
Starting IIS Express ...
Failed to add localhost binding to binding ':8500:'
Successfully registered URL "http://*:8500/" for site "Development Web Site" application "/"
Registration completed for site "Development Web Site"
IIS Express is running.
Enter 'Q' to stop IIS Express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중간에 failed... 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영향은 없습니다. 이제 IP든 도메인 주소든 다음과 같이 정상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how_to_use_hostname_in_iisexpress_3.png




그 외, 위의 사항에 대한 공식적인 문서는 다음의 경로에서 제공됩니다.

Handling URL Binding Failures in IIS Express 
- Serving External Traffic
; http://learn.iis.net/page.aspx/1005/handling-url-binding-failures-in-iis-express/

참고로, '송원석'님이 위의 문서를 번역해서 공개해 주고 있습니다. ^^

No. 61 :: IIS 7.0 인스퍼레이션 - 41, (Handling URL Binding Failures in IIS Express 번역 및 주해) 
; http://www.egocube.pe.kr/asp_0061.as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4-30 09시48분
[송원석] 안녕하세요? 송원석입니다.
항상 좋은 글들,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11-04-30 09시51분
아... ^^ 넵. 글을 수정했습니다.
정성태
2019-03-25 11시29분
혹시 저렇게 설정했는데도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Service Unavailable
HTTP Error 503. The service is unavailable.

명령행에서 직접 IISExpress.exe를 해당 인자들과 함께 실행해 보세요. 그 이후로는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잘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정성태
2021-07-31 05시58분
[gwise] .net core로 rest api서버 만들어서 Xamarin 으로 개발중인데 ip 접근이 안되서 정리해 봤습니다.
위에 처럼 하다가 안되서 아래 처럼 하면 로컬 pc ip로 접근해서 디버깅 할 수 있습니다.

1.Visual Studio 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포트번호 8500 번으로 변경)

2. 프로젝트를 한번 실행 한다.

Enable SSL 체크 해제 하고 (http로 실행)

3. 프로젝트 폴더의 ".vs" 폴더로 들어 간다.

C:\Users\DELL\source\repos\WebApplication4\.vs

4. config 폴더에서

C:\Users\DELL\source\repos\WebApplication4\.vs\WebApplication4\config

5. config폴더에서 applicationhost.config 파일을 열람 후 빨간줄 처럼 해준다.

      <site name="WebApplication4" id="2">

        <application path="/" applicationPool="WebApplication4 AppPool">

          <virtualDirectory path="/" physicalPath="C:\Users\DELL\source\repos\WebApplication4\WebApplication4" />

        </application>

        <bindings>

          <binding protocol="http" bindingInformation=":8500:" />

        </bindings>

      </site>

이렇게 하면 ip로 접근이 가능하다.
[guest]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61정성태6/27/201917847Graphics: 37. C# - PLplot - 출력 모음(Family File Output)
11960정성태6/27/201918923Graphics: 36. C# - PLplot의 16색 이상을 표현하는 방법과 subpage를 이용한 그리드 맵 표현
11959정성태6/27/201920089Graphics: 35. matplotlib와 PLplot의 한글 처리
11958정성태6/25/201924627Linux: 18. C# - .NET Core Console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6]
11957정성태6/24/201922946Windows: 160. WMI 쿼리를 명령행에서 간단하게 수행하는 wmic.exe [2]
11956정성태6/24/201921454Linux: 17. CentOS 7에서 .NET Core Web App 실행 환경 구성 [1]
11955정성태6/20/201919778Math: 60.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54정성태6/20/201918528오류 유형: 550. scp - sudo: no tty present and no askpass program specified
11953정성태6/20/201916718오류 유형: 549. The library 'libhostpolicy.so' requir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was not found in '...'
11952정성태6/20/201917410Linux: 16. 우분투, Centos의 Netbios 호스트 이름 풀이 방법
11951정성태6/20/201920606오류 유형: 548. scp 연결 시 "Permission denied" 오류 및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경고
11950정성태6/18/201920791.NET Framework: 845. C# - 윈도우 작업 관리자와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 값을 구하는 방법
11949정성태6/18/201916123오류 유형: 547. CoreCLR Profiler 예제 프로젝트 빌드 시 컴파일 오류 유형
11948정성태6/17/201918552Linux: 15. 리눅스 환경의 Visual Studio Code에서 TFS 서버 연동
11947정성태6/17/201920296Linux: 14. 리눅스 환경에서 TFS 서버 연동
11946정성태6/17/201921271개발 환경 구성: 445. C# - MathNet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를 생성, PLplot으로 Histogram 표현파일 다운로드1
11945정성태6/17/201919014Linux: 13. node.js에서 syslog로 출력하는 방법
11944정성태6/16/201925383Linux: 12. Ubuntu 16.04/18.04에서 node.js 최신 버전 설치 방법
11943정성태6/15/201918616.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1]
11942정성태6/13/201924844개발 환경 구성: 444.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1]
11941정성태6/13/201917519오류 유형: 546. "message NETSDK1057: 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Core" 빌드 경고 없애는 방법
11940정성태6/13/201917780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파일 다운로드1
11939정성태6/13/201916549오류 유형: 545. Managed Debugging Assistant 'FatalExecutionEngineError'
11938정성태6/12/201919087Math: 59. C# - 웨이트 벡터 갱신식을 이용한 퍼셉트론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37정성태6/11/201925429개발 환경 구성: 442. .NET Core 3.0 preview 5를 이용해 Windows Forms/WPF 응용 프로그램 개발 [1]
11936정성태6/10/201918367Math: 58.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2]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