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웹: 18. IIS Express를 NT 서비스로 변경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39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IIS Express를 NT 서비스로 변경

지난번 글에서, IIS Express를 이용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기본 조건을 살펴보았습니다.

IIS Express -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30

하지만 아직 한 가지가 더 남았지요? 예를 들어, "IIS"처럼 "IIS Expres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시작 시 구동되는 동작이 가능해야 합니다. 즉, "NT 서비스" 형식이어야 합니다.

현재, "iisexpress.exe"는 스스로 "NT 서비스"로 동작되는 방법은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만들어야 합니다. 대략 3가지 방법이 떠오르는 군요.


저는 개발자이므로, ^^ 여기서는 IIS Express를 위한 전용 NT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C#의 "Windows Service" 유형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면 거의 완료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기본 제공되는 뼈대에 OnStart/OnStop이 제공되는데요.

protected override void OnStart(string[] args)
{
}

protected override void OnStop()
{
}

우선, OnStart부터 살펴볼까요?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것은 "iisexpress /config:..."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코드를 만들어가면 됩니다.

string filePath = @"C:\Program Files\IIS Express\iisexpress.exe";
string configPath = @"C:\temp\web\applicationHost.config";

ProcessStartInfo procInfo = new ProcessStartInfo();
procInfo.FileName = filePath;
procInfo.Arguments = "/config:\"" + configPath + "\"";
Process process = Process.Start(procInfo);

끝이군요. ^^ 단지 iisexpress.exe가 위치한 폴더를 하드 코딩하는 것을 레지스트리를 통해서 읽어내도록 하는 개선만 하면 될 것 같습니다.


// x64의 경우, @"SOFTWARE\Wow6432Node\Microsoft\IISExpress\7.5"
string regPath = @"SOFTWARE\Microsoft\IISExpress\7.5";

try
{
    RegistryKey regKey 
        = Registry.LocalMachine.OpenSubKey(regPath);
    return regKey.GetValue("InstallPath") as string;
}
catch (Exception ex)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ex.ToString());
}


문제는 OnStop입니다. 현재 공식적으로 IIS Express를 종료하는 방법은 해당 프로세스가 실행된 명령행 윈도우에서 'Q' 키를 누르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iisexpress /config:c:\temp\web\applicationHost.config
Starting IIS Express ...
Failed to add localhost binding to binding ':8500:'
Successfully registered URL "http://*:8500/" for site "Development Web Site" application "/"
Registration completed for site "Development Web Site"
IIS Express is running.
Enter 'Q' to stop IIS Express

NT 서비스가 실행해 주기 때문에 세션의 차이로 인해 데스크톱에 나타나지도 않는 명령행 창에 'Q' 키를 입력하는 방법은 묘연합니다. ^^ 사실, 'Q' 키를 에뮬레이트 한다고 해도 그다지 'professional'하지 않습니다.

그냥, Process를 Terminate 하는 것도 어쩌면 좋은 방법일지 모릅니다. 그런데 분명 'Q' 키를 누를 때는 '우아한 종료'를 위한 작업이 이뤄지는 것만큼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Enter 'Q' to stop IIS Express
Stopping IIS Express ...
IIS Express stopped.

고민이군요. IIS 7을 기준으로 검색해 보니 appcmd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됩니다.

Start or Stop a Web Site (IIS 7)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it-pro/windows-server-2008-R2-and-2008/cc772137(v=ws.10)

appcmd stop site /site.name:contoso

아쉽게도, IIS Express에 포함된 appcmd.exe는 "stop site" 명령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MSDN 문서에 아직은 빈약하게 소개된 Version Manager API (IIS Express)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 중에서 iisexpress 종료를 할 수 있는 COM 개체가 바로 IIISExpressProcessUtility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 설명해 두었으니 참고하십시오.

IISExpress - "IIS Installed Versions Manager Interface"의 IIISExpressProcessUtility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31

그래서 IIISExpressProcessUtility의 "void StopProcess(uint dwPid);" 메서드를 호출하면 되는데, 호출 결과가 다소 실망스럽습니다. 아래는 이미 실행 중인 iisexpress.exe에 대해 StopProcess로 종료한 것을 보여줍니다.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iisexpress
Starting IIS Express ...
Successfully registered URL "http://localhost:8081/" for site "ManagementWeb" ap
Registration completed for site "ManagementWeb"
IIS Express is running.
Enter 'Q' to stop IIS Express

C:\Program Files (x86)\IIS Express>

뭔가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정상적으로 'Q' 키를 눌러서 종료한 경우에는 원래 다음과 같은 문구가 뜹니다.

Enter 'Q' to stop IIS Express
Stopping IIS Express ...
IIS Express stopped.

과연... IISExpressProcessUtility.StopProcess 메서드가 단순히 TerminateProcess Win32 API를 부른 것에 불과한지? 'Q' 키 종료와 동일한데 메시지가 없는 것인지? 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어느 방법을 쓰던지 선택은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

이렇게 해서 OnStart/OnStop에서 구현되어야 할 코드가 완료되었군요. 이제는 예의 NT 서비스와 다름없이 등록해 주고 사용하면 끝!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60정성태8/19/201818661사물인터넷: 33. 세라믹 커패시터의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1659정성태8/19/201818590사물인터넷: 32.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PN2222A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8정성태8/18/201822037사물인터넷: 31. 커패시터와 RC 회로파일 다운로드3
11657정성태8/18/201820075사물인터넷: 30. 릴레이(Relay) 제어파일 다운로드3
11656정성태8/16/201815785사물인터넷: 29. 트랜지스터와 병렬로 연결한 LED파일 다운로드1
11655정성태8/16/201818003사물인터넷: 28. 저항과 병렬로 연결한 LED파일 다운로드1
11654정성태8/15/201819318사물인터넷: 27. 병렬 회로의 저항, 전압 및 전류파일 다운로드1
11653정성태8/14/201820159사물인터넷: 26. 입력 전압에 따른 LED의 전압/저항 변화 [1]파일 다운로드1
11652정성태8/14/201817600사물인터넷: 25. 컬렉터 9V, 베이스에 5V와 3.3V 전압으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1651정성태8/14/201822674사물인터넷: 24. 9V 전압에서 테스트하는 C1815 트랜지스터 [1]파일 다운로드3
11650정성태8/14/201817092사물인터넷: 23. 가변저항으로 분압파일 다운로드1
11649정성태8/12/201819445사물인터넷: 22. 저항에 따른 전류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48정성태8/12/201820871사물인터넷: 21. 퓨즈를 이용한 회로 보호파일 다운로드3
11647정성태8/8/201820995오류 유형: 476. 음수의 음수는 여전히 음수가 되는 수(절대값이 음수인 수)
11646정성태8/8/201817010오류 유형: 475. gacutil.exe 실행 시 "Failure initializing gacutil" 오류 발생
11645정성태8/8/201819262오류 유형: 474. 닷넷 COM+ - Failed to load the runtime. [1]
11644정성태8/6/201822136디버깅 기술: 118. windbg - 닷넷 개발자를 위한 MEX Debugging Extension 소개
11643정성태8/6/201821797사물인터넷: 20. 아두이노 레오나르도 R3 호환 보드의 3.3v 핀의 LED 전압/전류 테스트 [1]파일 다운로드1
11642정성태8/3/201820524Graphics: 20. Unity - LightMode의 ForwardBase에 따른 _WorldSpaceLightPos0 값 변화
11641정성태8/3/201826054Graphics: 19. Unity로 실습하는 Shader (10) - 빌보드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1640정성태8/3/201822283Graphics: 18.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Position, Rotation, Scale 값을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9정성태8/2/201819839디버깅 기술: 117.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을 참조하는 방법
11638정성태8/2/201818217오류 유형: 47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추출한 DLL 참조 시 "Resolved file has a bad image, no metadata, or is otherwise inaccessible." 빌드 오류
11637정성태8/1/201822655Graphics: 17. Unity - World matrix(unity_ObjectToWorld)로부터 TRS(이동/회전/크기) 행렬로 복원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36정성태8/1/201830050Graphics: 16. 3D 공간에서 두 점이 이루는 각도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11635정성태8/1/201818719오류 유형: 472. C# 컴파일 오류 - Your project is not referencing the ".NETFramework,Version=v3.5" framework.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