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121. Access DB에 대한 32bit/64bit OLE DB Provider 관련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424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Access DB에 대한 32bit/64bit OLE DB Provider 관련 오류

예를 들어, x64 운영체제에서 64비트 Office 2010 제품을 설치하고 Visual Studio의 데이터베이스 연결 관리자에서 Access DB에 대해 연결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ccess_db_error_1.png

"
The 'Microsoft.ACE.OLEDB.12.0' provider is not registered on the local machine.
"


오류 원인은 간단합니다. 64비트 Office 제품군을 설치하면서 64비트용 OLE DB 제공자는 시스템에 설치되었지만, 32비트 프로그램인 Visual Studio에서는 64비트용 OLE DB 제공자를 (사용할 수도 없을뿐더러)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액세스 파일에 대해 UDL 파일을 만들고 각각 32비트/64비트 ODBC 제어판 애플릿을 구동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64비트용에서는 정상적으로 애플릿이 뜨지만,

"C:\Windows\system32\rundll32.exe" "C:\Program Files\Common Files\System\Ole DB\oledb32.dll",OpenDSLFile C:\temp\test.udl


32비트용으로 실행하면 Visual Studio에서와 비슷한 오류 화면이 뜹니다.

"C:\Windows\syswow64\rundll32.exe"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System\Ole DB\oledb32.dll",OpenDSLFile C:\temp\test.udl


access_db_error_2.png

"
Provider cannot be found. Ensure that the provider has been installed properly.
"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ccess DB에 대한 32비트 버전의 OLE DB 제공자(aceoledb.dll)를 설치해야 하는데, Office 2007용의 파일을 설치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하므로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2007 Office System Driver: Data Connectivity Components
;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confirmation.aspx?id=13255

참고로, 각각의 aceoledb.dll 파일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64비트: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4\ACEOLEDB.DLL"
32비트: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2\ACEOLEDB.DLL"




만약, Office 2010용의 파일을 설치하고 싶다면 다음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Redistributable 
;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familyid=C06B8369-60DD-4B64-A44B-84B371EDE16D&displaylang=en

위의 경로에서 AccessDatabaseEngine.exe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는 경우, 이미 Office 2010 64비트 버전이 설치되어 있다면 오류가 발생하면서 더 이상 설치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access_db_error_3.png

"
You cannot install the 32-bit version of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because you currently have 64-bit Office products installed. If you want to install 32-bit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you will first need to remove the 64-bit installation of Office products. After uninstalling the following product(s), rerun setup in order to install 32-bit version of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Microsoft Office SharePoint Designer 2010, Microsoft Office Professional Plus 2010, Microsoft Office Visio 2010
"


"Microsoft Office SharePoint Designer 2010, Microsoft Office Professional Plus 2010, Microsoft Office Visio 2010" 3가지 제품을 제거해야 한다니... 말이 안되죠. ^^;

다행히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에서 손쉬운 해결책을 제시해 주고 있습니다.

Microsoft Access Database Engine 2010 Redistributable
; http://codefluententities.wordpress.com/2011/01/20/microsoft-access-database-engine-2010-redistributable/

즉, 명령행에서 "AccessDatabaseEngine.exe /passive"라고 실행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최종적으로 aceoledb.dll의 경로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습니다. ^^

     64비트: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4\ACEOLEDB.DLL"
32비트 2007: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2\ACEOLEDB.DLL"
32비트 2010: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4\ACEOLEDB.DLL"





파이썬 Access DB 사용 방법
; https://blog.naver.com/cjinnnn/22304726123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7-10 02시50분
[김상록] 32bit office 2010을 사용하던중 64비트 기반의 app를 만들다 에러가 나서 검색하다 보니 알게 되었네요
위에 말씀하신것처럼 2010용 64비트 버전을 설치해서 app에서 발생하던 오류는 해결했습니다.
그런데 64비트 AccessDatabaseEngine_x64.exe 를 설치하고 난 후 excel파일(xlsx)을 열려고 하면

"개체 라이브러리(ㅣ)중 하나가 빠졌거나 손상되었습니다.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시 설치 하십시오."

라는 팝업 메세지가 나옵니다. 확인을 누르면 구성요소 설치를 진행합니다.
구성요소 구성이 완료된 후 정상적으로 엑셀파일이 열립니다.

문제는 엑셀을 종료하고 파일을 새로 열때마다 팝업->구성요소 구성이 진행된다는 것입니다.

저만 그런건가요? 혹시 이 문제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guest]
2012-07-12 01시00분
"김상록" 님이 겪은 현상이 맞습니다. 덧글을 보고 저도 설치를 한 후 엑셀 파일을 열었더니 동일한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일단, 이에 관한 어떠한 해결책도 웹에서 검색되는 것이 없어서 방법을 찾는 것이 쉽진 않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마이크로소프트 측에 이슈 제기를 직접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그 현상 때문에 다시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지우는 걸로 끝냈습니다.

한 가지... 그냥 시도해볼만한 방법이 있다면, "C:\Program Files\Common Files\Microsoft Shared\OFFICE14\ACEOLEDB.DLL" 64비트 파일을 직접 등록하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관련해서는 레지스트리 설정에 불과할 것이기 때문에, 그 부분만 잘 맞춰주면 해결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나중에 시간나면 저도 한번 이에 대해서 살펴봐야겠습니다. ^^)
정성태
2013-03-07 02시07분
[김동운] 위처럼
C:\Windows\syswow64\rundll32.exe" "C:\Program Files (x86)\Common Files\System\Ole DB\oledb32.dll",OpenDSLFile C:\temp\test.udl
실행없이
udl 파일 더블클릭 하면 바로 연결이 되게 할수는 없나요??
[guest]
2013-03-07 11시44분
udl 파일을 더블클릭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지, 더블 클릭하는 경우에는 64비트/32비트 입맛에 맞게 띄우는 것이 쉽지 않겠지요.
정성태
2014-12-05 06시47분
[태수] 님짱
[guest]
2015-07-22 05시00분
[asdf] 개체 라이브러리(ㅣ)중 하나가 빠졌거나 손상되었습니다 이문제 해결 안될까요? 이거원..

직접 등록이라는게 어떤걸 말씀하는것인지 잘모르겠네요..비쥬얼스튜디오 참조에 걸라는 말씀이신건지.
[guest]
2016-02-26 02시29분
[최철] 약간 오래 된글이지만 깔끔하네요.
cmd 창에서 AccessDatabaseEngine.exe /passive 실행하여 '시스템이 지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나올경우에는 바로가기 만들어서 속성 - 대상에서 /passive 추가하시면 됩니다
[guest]
2017-05-22 08시22분
[박현식] 우와~ 감사합니다. 현재 32비트 VS에서 64비트 엑셀을 읽으려고하니 오류가 발생하는데... 위처럼 명령어로 해결이 되네요.
[guest]
2019-07-11 04시08분
[zxcv] 많이 늦었지만 혹시 검색으로 찾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 64bit 기반 os에서 32bit office 2010를 사용하실 때

64비트 AccessDatabaseEngine_x64.exe 를 설치하고 난 후 엑셀파일(xlsx)을 열려고 하면
"개체 라이브러리(ㅣ)중 하나가 빠졌거나 손상되었습니다.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다시 설치 하십시오."
팝업 메시지가 나오시는 분들을 위한 해결 방법을 올립니다.

AccessDatabaseEngine_x64.exe를 설치하시기 전 regedit(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여시고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Office\14.0\Common\FilesPaths 경로로 들어가셔서 mso.dll 항목이 없음을 확인합니다.
다음 알려주신 대로 cmd 창에서 AccessDatabaseEngine_64.exe /passive로 수동설치하시고 regedit에서 아까의 경로로 다시 들어가보면
mso.dll 항목이 생성되어 있을 겁니다. 이게 존재하는 한 엑셀파일(xlsx)을 열 때마다 라이브러리 손상 메시지가 뜨므로 지워주셔야 합니다.

지운 후에는 엑셀파일이 정상적으로 열리며 추가적인 문제는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guest]
2019-11-05 06시07분
[[손님2]] 위에 내용과 관련 하여 설치 하고 cmd 에서 수동 설치 하였습니다.
그런데 C# 에서 열려고 하니 오류가 다른 오류가 바뀌었습니다.

System.RunTime.InteropServices.SEHException:외부 구성 요서에서 예외를 Throw했습니다.
라는 오류가 발생 하더라고요..

검색 해봐도 나오지 않고 ..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
막막 합니다..
감사합니다.
[guest]
2019-11-06 01시26분
겪으신 현상이 맞을 겁니다. 이 글의 댓글들을 읽어보세요.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57정성태11/15/201726986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28585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4455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28620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5817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1856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5141.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1115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1524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18026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1610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18157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6646.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18772.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19501.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18513.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19568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18757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19752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18101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7346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1453.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4371.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18172.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18473.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11325정성태10/14/201719310.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