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18. WCF REST 서비스 - 웹 브라우저 측 Ajax 호출 캐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23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WCF REST 서비스 - 웹 브라우저 측 Ajax 호출 캐시

미리 말씀드리면, 이 문제는 WCF REST 서비스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단지, 서버 측 서비스의 테스트 환경이 WCF REST 서비스였다는 데 의미가 있을 뿐이지만, 어쩌면 WCF REST 서비스로 구현하면서도 역시 한 번쯤은 접할 수 있는 문제여서 제목을 이렇게 지은 것입니다. (사실... 제가 헤맸습니다. ^^;)

문제 현상은 이렇습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경우, 임시 저장 파일을 쓰는 규칙이 아래 그림에서처럼 "Automatically"로 기본 설정되어 있습니다.

local_web_cache_with_ajax_call_1.png

이런 상태에서 클라이언트 측에 내려가는 웹 페이지(예를 들어, default.aspx)에서 Ajax 호출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코드(예를 들어, 3초마다)를 작성하면 어떻게 될까요?

function ajaxJson(httpMethod, method, data, callback, error) {
    var url = "./AjaxWCFService/" + method;
    $.ajax({
        url: url,
        data: data,
        type: httpMethod,
        processData: true,
        contentType: "application/json",
        timeout: 1000 * 10,
        dataType: "json",
        success: callback,
        error: error
    });
}

function GetMyListResponse(result) 
{
    setTimeout(function () {
        CallGetAgentList();
    }, 1000 * 3);
}

function CallGetAgentList() 
{
    ajaxJson("GET", "GetMyList", "", GetMyListResponse, GetMyListResponse);
}

CallGetAgentList();

넵, 맞습니다. 위의 호출은 단 한 번만 호출되고 이후의 호출에 대해서는 브라우저 임의 재량에 맞겨지게 됩니다. (대개의 경우, 서버로의 호출이 발생되지 않습니다.) 물론, 이런 경우 브라우저 설정 값이 "Automatically"가 아닌 (대부분의 개발자 컴퓨터의 웹 브라우저 설정인) "Every time I visit the webpage"라고 설정되어 있으면 3초마다 호출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테스트가 잘 되는데, 고객 측의 컴퓨터에서는 이상 현상이 목격되는 것이죠. ^^

이때의 호출을 Fiddler로 가로채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옵니다.

---------- 요청 ----------
GET http://testpc:7905/AjaxWCFService/GetMyList HTTP/1.1
Referer: http://testpc:7905/Test.aspx
Content-Type: application/json
X-Requested-With: XMLHttpRequest
Accept: application/json, text/javascript, */*
Accept-Language: ko
Accept-Encoding: gzip, deflate
User-Agent: Mozilla/4.0 (compatible; ..[생략]...)
Host: testpc:7905
Connection: Keep-Alive

---------- 응답 ----------
HTTP/1.1 200 OK
Cache-Control: private
Content-Length: 102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Server: Microsoft-IIS/7.5
X-AspNet-Version: 4.0.30319
X-SourceFiles: =?UTF-8?B?QzpcSmVubmlmZXJcTmV0U2xhXFdlYlxBamF4V2ViU2VydmljZVxHZXRBZ2VudExpc3Q=?=
X-Powered-By: ASP.NET
Date: Fri, 27 May 2011 16:28:05 GMT

...[json 포맷의 데이터]...

이러한 캐시 방지를 위해서 WCF REST 서비스 메서드 측에서는 캐시 정책에 변화를 줄 수 있는 옵션을 주어야 합니다.

[ServiceBehavior(InstanceContextMode = InstanceContextMode.PerCall)]
[AspNetCompatibilityRequirements(RequirementsMode = AspNetCompatibilityRequirementsMode.Required)]
public class AjaxWCFService : IAjaxWCFService
{
    [WebGet(ResponseFormat = WebMessageFormat.Json)]
    public string GetMyList()
    {
        HttpContext.Current.Response.Expires = 0;
        return "....";
    }
}

위와 같이 변경해 주어도, 여전히 캐시가 되는 사용자가 있는데요. 어쩔 수 없습니다. 이미 캐시된 것을 반복사용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브라우저 자체의 만료 기간이 지날 때까지 기다리든가, 아니면 사용자 PC에서 직접 임시 파일을 지워주어야 합니다.

일단, 이런 식으로 "Expires == 0"이 지정 되어 응답이 내려가면 다음과 같이 곧바로 만료가 되도록 Expires 헤더값이 지정됩니다.

HTTP/1.1 200 OK
Cache-Control: private
Content-Length: 2
Content-Type: application/json; charset=utf-8
Expires: Fri, 27 May 2011 16:36:16 GMT
Server: Microsoft-IIS/7.5
X-AspNet-Version: 4.0.30319
X-SourceFiles: =?UTF-8?B?QzpcSmVubmlmZXJcTmV0U2xhXFdlYlxBamF4V2ViU2VydmljZVxHZXRBZ2VudExpc3Q=?=
X-Powered-By: ASP.NET
Date: Fri, 27 May 2011 16:36:18 GMT

...[json 포맷의 데이터]...

아하~~~ 결국 Expires 헤더를 조정하는 것이니까, Expires = 0;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메서드를 호출해도 효과는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것이군요. ^^

HttpContext.Current.Response.Cache.SetExpires(DateTime.MinValu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6-23 10시37분
브라우저 cache 관련해서 다음의 글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

Caching Improvements in Internet Explorer 9
; (broken) http://blogs.msdn.com/b/ie/archive/2010/07/14/caching-improvements-in-internet-explorer-9.aspx
; https://all-markup-news.com/caching-improvements-in-internet-explorer-9/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93정성태10/19/200927618.NET Framework: 166. WPF - XAML 요소의 네임스페이스와 CLR 타입 매핑
792정성태10/17/200927849웹: 13. IIS 7.5 에서 SQL Express 연결 시 오류
791정성태10/17/200931646웹: 12. 요청 페이지에 대해 빈 화면만 보이는 경우 [1]
789정성태10/13/200927366COM 개체 관련: 22. BB FlashBack SDK와 ActiveX 버전 관리 [7]
786정성태10/9/200923590개발 환경 구성: 52. 테스트를 위한 평가판 운영체제 구하기
785정성태10/8/200930218.NET Framework: 165.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2)파일 다운로드1
783정성태10/7/200927979.NET Framework: 164. WPF - 데이터 바인딩된 트리에서 부모 노드 찾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82정성태10/6/200929853개발 환경 구성: 51. Windows 7 - 다중 원격 접속(Remote Desktop) 허용
781정성태9/30/200926868.NET Framework: 163. WPF - TreeView 자동 스크롤 기능 해지 [2]파일 다운로드1
780정성태9/28/200930960Windows: 48. Windows 7/2008에서 ping을 위한 echo 요청 열기 [2]
779정성태9/24/200922298.NET Framework: 162.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778정성태9/23/200923731오류 유형: 87. 시스템 시간 변경 후 Session이 맺어진 WCF 클라이언트의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776정성태9/17/200922992개발 환경 구성: 50. Reference assembly
775정성태9/13/200939703VC++: 37. XmlCodeGenerator를 C/C++ 코드 생성에 적용 [2]파일 다운로드1
773정성태9/5/200930200오류 유형 : 85. DEP 비호환 ActiveX 오류
772정성태9/2/200926773.NET Framework: 161. WPF - 윈도우 이벤트 가로채기 [1]파일 다운로드1
771정성태8/28/200920827.NET Framework: 160. WPF - 입력 포커스 외곽선 없애는 방법
770정성태8/26/200923134.NET Framework: 159. WCF - 같은 컴퓨터에서만 WCF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설정
769정성태8/25/200926128개발 환경 구성: 49. GAC와 같은 Namespace Extension에 의해서 보여지는 폴더의 원본 확인 방법
768정성태8/24/200925628오류 유형: 85. WCF 연결 오류: MessageSecurityException
767정성태8/23/200933879.NET Framework: 158. 닷넷 프로파일러 - IL 코드 재작성 [14]
766정성태8/23/200934768.NET Framework: 157. C# 4.0 - dynamic 키워드 [4]파일 다운로드1
765정성태8/22/200928539.NET Framework: 156. XamDataGrid의 UnboundField 사용파일 다운로드1
764정성태8/21/200922853Windows: 47. Windows Virtual PC에 설치된 Windows 7 VPC에서 Aero 효과 사용 [3]
763정성태8/20/200926499Windows: 46. Windows 7 - XP 모드 응용 프로그램 바로가기 만드는 방법 [2]
762정성태8/18/200932098개발 환경 구성: 48. 개발자 PC 환경 - 유니코드(Unicode)를 위한 설정 [3]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