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2010에서 CSS 3 인텔리센스(intellisense) 지원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Visual Studio 2010은 CSS 2.1에 대한 intellisense 기능만 제공하고 있어서, CSS 3에서 지원되는 속성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오류 밑줄 표시를 띄우고 있습니다.

css3_support_in_vs2010_1.png

"
Validation (CSS 2.1): 'border-radius' is not a known CSS property name.
"


CSS 3 구문을 지원하려면, 다음의 글에서 소개하고 있는 방법을 따르면 됩니다.

Add CSS 3 intellisense to Visual Studio 2010
; http://www.netsi.dk/wordpress/index.php/2011/04/03/add-css-3-intellisense-to-visual-studio-2010/

위의 글이 씌여진 시점에 있던 버그가 현재 (2011-06-11) 다운로드할 수 있는 버전에서는 많이 개선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글에서 제공되는 레지스트리 파일 등록도 필요 없고, hsla 컬러 지정에 대한 것도 지원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CSS 3 Intellisense Schema
; http://visualstudiogallery.msdn.microsoft.com/7211bcac-091b-4a32-be2d-e797be0db210

설치 후, Visual Studio를 재시작하면 다음과 같이 기본적으로 CSS 3 구문 검사가 사용됩니다.

css3_support_in_vs2010_2.png

검사 기준이 되는 CSS 버전을 바꾸려면 다음과 같이 툴바에서 CSS 버전을 지정할 수 있는데요.

css3_support_in_vs2010_3.png

아쉽게도 위와 같은 선택 상자는 해당 파일의 확장자가 ".css"인 경우에만 나타납니다. 즉, ".html" 파일을 편집하는 동안에는 '비활성' 상태로 있기 때문에 무조건 CSS 3 구문 검사가 이뤄집니다.

참고로, 위의 CSS 버전 선택 툴바가 없는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Visual Studio 툴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나오는 메뉴에서 "Style Sheet"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css3_support_in_vs2010_4.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6-16 10시25분
새롭게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 CSS3와 HTML5관련 웹 표준을 위한 업데이트를 내놓았습니다.

Web Standards Update for Microsoft Visual Studio 2010 SP1
; http://visualstudiogallery.msdn.microsoft.com/a15c3ce9-f58f-42b7-8668-53f6cdc2cd83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25정성태5/3/202118859오류 유형: 714. error CS5001: Program does not contain a static 'Main' method suitable for an entry point
12624정성태5/2/202123284.NET Framework: 1055. C# - struct/class가 스택/힙에 할당되는 사례 정리 [10]파일 다운로드1
12623정성태5/2/202120333.NET Framework: 1054. C# 9 최상위 문에 STAThread 사용 [1]파일 다운로드1
12622정성태5/2/202116093오류 유형: 713. XSD 파일을 포함한 프로젝트 - The type or namespace name 'TypedTableBase<>'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System.Data'
12621정성태5/1/202120499.NET Framework: 1053. C# - 특정 레지스트리 변경 시 알림을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20정성태4/29/202125252.NET Framework: 1052. C# - 왜 구조체는 16 바이트의 크기가 적합한가? [1]파일 다운로드1
12619정성태4/28/202125180.NET Framework: 1051. C# - 구조체의 크기가 16바이트가 넘어가면 힙에 할당된다? [2]파일 다운로드1
12618정성태4/27/202123311사물인터넷: 58. NodeMCU v1 ESP8266 CP2102 Module을 이용한 WiFi UDP 통신 [1]파일 다운로드1
12617정성태4/26/202119624.NET Framework: 1050. C# - ETW EventListener의 Keywords별 EventId에 따른 필터링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16정성태4/26/202119204.NET Framework: 1049. C# - ETW EventListener를 상속받았을 때 초기화 순서파일 다운로드1
12615정성태4/26/202116367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
12614정성태4/24/202121324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613정성태4/23/202119840.NET Framework: 1048.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612정성태4/23/202119100.NET Framework: 1047.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파일 다운로드1
12611정성태4/22/202117028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
12610정성태4/22/202116984.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9정성태4/22/202120985.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8정성태4/21/202121613.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2607정성태4/21/202117155.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24680.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605정성태4/18/202119983.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17740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19400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20198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19370.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20254.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