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25. 닷넷 네트워크 라이브러리의 트레이스 기능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91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닷넷 네트워크 라이브러리의 트레이스 기능

아마도, .NET Reflector 등의 도구를 가지고 닷넷 소스 코드를 보신 분들이라면 네트워크 관련 코드 내부에 Logging 클래스가 있는 것을 기억할 것입니다. 일례로, 소켓의 경우에 Connect 메서드를 보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코드가 엮어져 있는데요.

public void Connect(IPAddress address, int port)
{
    if (s_LoggingEnabled)
    {
        Logging.Enter(Logging.Sockets, this, "Connect", address);
    }
    ...[생략]...
    this.Connect(remoteEP);
    if (s_LoggingEnabled)
    {
        Logging.Exit(Logging.Sockets, this, "Connect", (string) null);
    }
}

보시는 것처럼, Connect 기능의 앞뒤로 Logging.Enter/Exit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좀 더 살펴보기 위해 Logging 클래스의 초기화 코드를 보면 더욱 흥미로운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요.

private static void InitializeLogging()
{
    lock (InternalSyncObject)
    {
        if (!s_LoggingInitialized)
        {
            bool flag = false;
            s_WebTraceSource = new NclTraceSource("System.Net");
            s_HttpListenerTraceSource = new NclTraceSource("System.Net.HttpListener");
            s_SocketsTraceSource = new NclTraceSource("System.Net.Sockets");
            s_CacheTraceSource = new NclTraceSource("System.Net.Cache");
            ...[생략]...
        }
    }
}

즉, 대부분의 통신 관련 코드에 대한 트레이스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BCL을 사용하는 개발자 입장에서 어떻게 Trace기능을 이용할 수 있을까요? 이에 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 설명됩니다.

How to: Configure network tracing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network-programming/how-to-configure-network-tracing

오호~~~ 그렇군요. 닷넷의 전형적인 TraceListener 기능이기 때문에 누구나 등록해서 네트워크 호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실습 삼아서, 간단한 확장을 해볼까요?

예를 들어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HttpWebRequest 타입으로 시작해보겠습니다.

HttpWebRequest hwr = WebRequest.Create("http://blog.naver.com/techshare") as HttpWebRequest;
HttpWebResponse response = hwr.GetResponse() as HttpWebResponse;
response.Close();

잘 아시는 것처럼, HttpWebRequest 타입은 Connect라는 메서드가 명시적으로 제공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 실제 대상이 되는 웹 서버로의 'TCP 연결에 소요된 시간'을 계산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꼭! 반드시! 'TCP 연결에 소요된 시간'을 알아내야 한다면, 기존의 지식으로는 이런 경우 어쩔 수 없이 HttpWebRequest에 대한 사용을 포기하고 TcpClient로 내려가서 HTTP 요청/응답에 대한 처리를 모두 구현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됩니다.

하지만 이제는 ^^ Logging이 내장되었다는 것을 알았으니, 사용자 정의 TraceListener로 간접적으로 알아낼 수 있습니다. 가령, 다음과 같이 별도의 TraceListener를 정의하고,

public class SocketTraceListener : TraceListener
{
    public override void Write(string message)
    {
    }

    public override void WriteLine(string message)
    {
    }

    public override void TraceEvent(TraceEventCache eventCache, string source, TraceEventType eventType, int id)
    {
        base.TraceEvent(eventCache, source, eventType, id);
    }

    public override void TraceEvent(TraceEventCache eventCache, string source, TraceEventType eventType, int id, string message)
    {
        base.TraceEvent(eventCache, source, eventType, id, message);
    }

    public override void TraceEvent(TraceEventCache eventCache, string source, TraceEventType eventType, int id, string format, params object[] args)
    {
        base.TraceEvent(eventCache, source, eventType, id, format, args);
    }
}

app.config에는 다음과 같이 설정을 추가해 주면 이제부터 System.Net.Sockets 영역의 네트워크 메서드에 대한 호출을 가로챌 수 있습니다.

<system.diagnostics>
    <trace autoflush="true" />
    <sources>
        <source name="System.Net.Sockets">
            <listeners>
                <add name="MyTrace"/>
            </listeners>
        </source>
    </sources>
    <sharedListeners>
        <add name="MyTrace" type="ConsoleApplication1.SocketTraceListener, ConsoleApplication1" />
    </sharedListeners>
    <switches>
        <add name="System.Net.Sockets" value="Verbose" />
    </switches>
</system.diagnostics>

Connect가 호출될 때의 메서드 수행을 감시해 보면 TraceEvent의 message 인자로 다음과 같이 넘어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gging.Enter - "[9940] Socket#49385318::Connect(23:80#397718426)"
Logging.Exit - "[9940] Exiting Socket#49385318::Connect() "

자, 그럼 실제적인 이야기는 끝난 것 같군요. 이제 위의 메시지를 인식하는 코드를 TraceEvent 메서드에 넣어두고 Connect 메서드가 수행된 시간만을 반환해주는 "ConnectionTime"이라는 속성을 제공해 주면 '연결에 걸린 시간'을 구해올 수 있습니다.

==== SocketTraceListener.cs ====
public override void TraceEvent(TraceEventCache eventCache, string source, TraceEventType eventType, int id, string message)
{
    ...[생략]...
    switch (source)
    {
        case "System.Net.Sockets":
            if (message.IndexOf("::Connect") != -1)
            {
                if (message.IndexOf("Exiting Socket") != -1)
                {
                    connectionTime = new TimeSpan(DateTime.Now.Ticks - startConnect);
                }
                else
                {
                    startConnect = DateTime.Now.Ticks;
                }
            }
                    
            break;
    }
    base.TraceEvent(eventCache, source, eventType, id, message);
}

==== Program.cs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ocketTraceListener.TraceThread = Thread.CurrentThread.ManagedThreadId;

    HttpWebRequest hwr = WebRequest.Create("http://blog.naver.com/techshare") as HttpWebRequest;
    HttpWebResponse response = hwr.GetResponse() as HttpWebResponse;
    response.Close();

    Console.WriteLine("blog.naver.com - ConnectionTime: " + SocketTraceListener.ConnectionTime.ToString());
}

==== 실행 결과 ====
D:\...[생략]...\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blog.naver.com - ConnectionTime: 00:00:00.0140008

첨부된 파일은 위의 예제 코드를 담고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15정성태4/26/202114065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
12614정성태4/24/202118413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613정성태4/23/202116758.NET Framework: 1048.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612정성태4/23/202116606.NET Framework: 1047.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파일 다운로드1
12611정성태4/22/202115468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
12610정성태4/22/202115383.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9정성태4/22/202117931.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8정성태4/21/202118492.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2607정성태4/21/202115686.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21583.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605정성태4/18/202116914.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14808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16478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17532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16575.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16818.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17592.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18197.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17755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17114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12595정성태4/12/202116863.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
12594정성태4/11/202116291.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파일 다운로드1
12593정성태4/10/202117339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12592정성태4/10/202116841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12591정성태4/9/202120759.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0정성태4/9/202116899.NET Framework: 1033. C# - .NET 4.0 이하에서 Console.IsInputRedirected 구현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