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52.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756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요즘 제가 VC++로 오픈소스 빌드하는 거에 재미들렸나 봅니다. ^^

PHP 소스를 윈도우 환경에서 빌드하기
; https://www.sysnet.pe.kr/2/0/1042

Apache 소스를 윈도우 환경에서 빌드하기
; https://www.sysnet.pe.kr/2/0/1048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컴파일 (VC++)
; https://www.sysnet.pe.kr/2/0/1051

윈도우에서 Apache Module - Content Handler 컴파일 (VC++)
; https://www.sysnet.pe.kr/2/0/1056

소스 코드로부터 php5apache2_2.dll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57

PHP 모듈 - php_mysql 빌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59

이번 목표는 Chromium 브라우저로 잡았는데, 빌드를 위해 웹상에서 도움을 받은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How to compile Google Chrome with Visual C++ 2008 Express Edition
; http://cotsog.wordpress.com/2009/11/08/how-to-compile-google-chrome-with-visual-c-2008-express-edition/

The Chromium Projects - Build Instructions (Windows) 
; http://dev.chromium.org/developers/how-tos/build-instructions-windows




우선, 빌드 환경을 구성하는 것부터 해야겠지요.


사실, DirectX SDK를 제외하면 거의 요즘 .NET 개발자들의 표준 설치 환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 경우에는 위의 환경을 물리 머신이 아닌 Hyper-V 내의 Virtual Machine으로 구성했습니다.

  • 메모리: 5120MB
  • Processor: 4
  • HDD - C: 30GB
  • HDD - D: 60GB

그다음 단계로, 빌드를 위한 폴더(예: d:\chrome_build)를 만들고 tarball을 다운로드해 chrome_build 폴더에서 압축을 해제합니다. (이거 다운로드하는데 오래 걸리므로, 위의 빌드 머신 환경을 만들 때 다른 컴퓨터에 다운로드를 미리 시작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source tarball
; http://chromium-browser-source.commondatastorage.googleapis.com/chromium_tarball.html

2011년 7월 1일 기준으로, "chromium.r90962.tar" 파일이 다운로드 되었고 d:\chrome_build에 압축 해제를 했습니다. 이어서, "depot_tools"를 다운로드해,

The Chromium Projects  - Install the depot_tools
; http://dev.chromium.org/developers/how-tos/install-depot-tools

역시 d:\chrome_build에 압축을 풀어 놓습니다. 그래서 "D:\chrome_build\depot_tools" 폴더가 생성되었고, 시스템 환경 변수의 PATH 경로에 등록해 주었습니다. 여기까지 구성된 폴더 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how_to_compile_chrome_1.png

이제, 명령행 윈도우를 실행하고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 폴더로 이동한 후 gclient를 다음과 같이 실행시켜 줍니다.

D:\chrome_build>cd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gclient sync --force 
Installing subversion ...
Installing python ...

...[이후 한참 동안의 소스 코드 동기화]...

...[중간에 아래와 같이 오류로 인한 재시도를 하는 등]...
________ running 'svn update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tools\page_cycler\acid3 --revision 195
46 --force --ignore-externals' in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
svn: Server sent unexpected return value (400 Bad Request) in response to REPORT request for '/svn/!svn/vcc/default'
Sleeping 5.0 seconds and retrying....
...[생략 - 중간에 다음과 같이 경고가 나오는데, 이유는 알 수 없음]...
Updating projects from gyp files...
Warning: Missing input file src\chrome_frame\third_party\active_doc\in_place_menu.h
Warning: Missing input file src\chrome_frame\third_party\active_doc\ole_document_impl.h
...[생략]...
Warning: Missing input file src\third_party\WebKit\Source\WebCore\WebCore.gyp\..\platform\graphics\win\cairo\FontPlatfor
mData.h
...[생략]...
Warning: Missing input file src\third_party\WebKit\Source\JavaScriptCore\JavaScriptCore.gyp\..\wtf\url\src\URLCharacterTypes.h
Warning: Missing input file src\third_party\WebKit\Source\JavaScriptCore\JavaScriptCore.gyp\..\wtf\url\src\RawURLBuffer.h
...[이하 생략]...

위와 같은 단계를 거치고 나면 d:\chrome_build\home 폴더의 크기만 5.17GB 정도 되는데, 이 과정에서 소스 코드만 다운로드 하는 것은 아니고 빌드된 것들도 함께 다운로드가 됩니다. 일례로, 다음의 폴더에 가면 직접적으로 실행가능한 chrome.exe 파일 및 기타 바이너리 파일들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여기 있는 chrome.exe는 소스 코드를 빌드해서 생성한 chrome.exe와는 버전이 다릅니다.)

  •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chrome\tools\test\reference_build\chrome_win"
  •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chrome_frame\tools\test\reference_build\chrome_win"

일부 버전에서는 다음의 경로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src\chrome\tools\test\reference_build\chrome"
  •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src\chrome_frame\tools\test\reference_build\chrome"

어쨌든, 이것으로 준비는 모두 끝났습니다. 마지막으로 Visual Studio 2010 명령행 윈도우를 실행하고 다음과 같이 빌드 명령을 내려주면,

Setting environment for using Microsoft Visual Studio 2010 x86 tools.

D:\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0.0\VC>cd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chrome

D:\chrome_build\home\chrome-svn\tarball\chromium\src\chrome>devenv /build Release chrome.sln /project chrome.vcxproj

우와~~~ 다음과 같이 14.0.812.0 버전의 Chromium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

how_to_compile_chrome_2.png

참고로, 위에서는 명령행에서 빌드를 했는데 Visual Studio 2010 IDE에 올려서 빌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430개가 넘는 프로젝트를 올린 IDE에서 빌드를 하는 것이 꽤나 인내심을 필요로 하므로 그다지 권장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실제로 명령행에서 Release 모드로 빌드해보면 290여 개의 프로젝트만 빌드됩니다.)

암튼, 놀랍군요. 수백 개의 Visual C++ 프로젝트가 (표면상으로) 치명적인 버그 하나 없이 조화를 이뤄 돌아간다는 것이 쉽지 않을 텐데 말이죠. ^^





뒷 이야기 1 - 최신 소스 코드는 안정화되지 않았습니다.

일단, 빌드는 위와 같이 해결은 했지만 아쉽게도 "gclient sync"로 받은 소스 코드 버전은 안정화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오늘 기준으로 빌드된 14.0.812.0 (Developer Build 91480) 버전의 chrome.exe로 IE 10 Test Drive 사이트에 방문해서, 아래의 Web Worker 테스트를 해보니 (무조건, Debug/Release 빌드에 상관없이) 비정상적인 종료 현상이 있었습니다

Web Worker Harness for test262
; http://ie.microsoft.com/testdrive/HTML5/WebWorkerTest262/Default.html


뒷 이야기 2 - 4CPU에서는 약 5GB 정도 이상의 메모리가 권장됩니다.

빌드 시 필요한 메모리를 이야기해 보면, 문서에도 밝히고 있지만 (HT 포함한) 논리 코어 수에 따라 동시 빌드 수가 결정되기 때문에 VM의 경우 할당된 가상 CPU 수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Hyper-V의 경우 최대 4개까지 가상 CPU를 지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제가 모니터링한 결과 빌드하는 동안 최대 4.6GB까지의 메모리가 소모되었습니다.

만약, 메모리가 그에 미치지 않는 환경이라면 - 예를 들어 16 논리 쓰레드에 4GB 메모리라면 옵션 조정을 통해 동시 컴파일 수를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뒷 이야기 3 - 빌드 오류

Visual Studio IDE 내에서 빌드를 하는 중에 나타난 재미있는 컴파일 오류가 있었다면 딱 한 번 아래와 같은 경우가 있었습니다.

28>------ Build started: Project: pyautolib, Configuration: Debug Win32 ------
29>------ Build started: Project: plugin_tests, Configuration: Debug Win32 ------
28>  pyautolib_wrap.cc
28>d:\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0.0\VC\include\math.h(162): error C2220: warning treated as error - no 'object' file generated
28>d:\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0.0\VC\include\math.h(162): warning C4211: nonstandard extension used : redefined extern to static
30>------ Build started: Project: performance_ui_tests, Configuration: Debug Win32 ------

왜 재미있었냐면,,, 어떤 경우에는 위와 같은 오류 없이 빌드가 잘 되었다가, 어떤 경우에는 오류가 발생했다는 점 때문입니다. 어쨌든, 프로젝트 속성 창에서 "Configuration Properties" / "C/C++" / "Treat Warnings As Errors" 옵션을 "No (/WX-)"로 조정을 해주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07-14 06시04분
[민광] 저는 비주얼스튜디오2005에서 웹킷을 빌드해 본적이 있는데 거기는 경고가 엄청나게 나오고 난 후에 빌드가 되더군요.
[guest]
2011-07-14 06시16분
2005는 그렇군요. 전체 빌드 과정을 지켜본 것은 아니지만, 2010에서는 경고가 간혹 가다가 발생했던 것 같습니다. ^^
정성태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25정성태1/7/201724454개발 환경 구성: 310. IIS - appcmd.exe를 이용해 특정 페이지에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를 제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11124정성태1/4/201727844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3355.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2817.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0708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26589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49287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36045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2328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4295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27255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37298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1113정성태12/6/201621141오류 유형: 373.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12정성태11/23/201626309오류 유형: 372. MySQL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는 경우 - Error 1067
11111정성태11/23/201634797.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2]
11110정성태11/17/201621513.NET Framework: 626.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2]
11109정성태11/17/201621498.NET Framework: 625. ASP.NET에서 System.Web.HttpApplication 인스턴스는 다중으로 생성됩니다.
11108정성태11/13/201621324.NET Framework: 624. WPF - Line 요소를 Canvas에 위치시켰을 때 흐림(blur)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107정성태11/9/201625197오류 유형: 371. Post cache substitution is not compatible with modules in the IIS integrated pipeline that modify the response buffers.파일 다운로드1
11106정성태11/8/201625367.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105정성태11/8/201619754.NET Framework: 622. PeerFinder Wi-Fi Direct 통신 시 Read/Write/Dispose 문제
11104정성태11/8/201619227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11103정성태11/8/201619209오류 유형: 370. PeerFinder.ConnectAsync의 결과 값인 Task.Result를 호출할 때 System.AggregateException 예외 발생
11102정성태11/8/201619301오류 유형: 369. PeerFinder.FindAllPeersAsync 호출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
11101정성태11/8/201622066.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11100정성태11/7/201628885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