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2015년 6월 10일 밤 10시 온라인 세미나 - 새로운 Windows 10 App을 개발하는 방법 오호~~~ 멋진 온라인 세미나가 계획 중이군요. ^^ Windows 10 Developer Readiness - Powered by MVPs (Korea) ; https://mvp.eventbuilder.com/event?eventid=l8o7q7 180분(3시간) 동안 세미나를 온라인으로 들으면서 Q&A도 참여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MVA(Microsoft Virtual Academy)에 있는 Windows 10 관련한 다음의 강좌도 한번 가볍게 봐두시면 윈도우 10에 대한 기대감이 좀 상승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IT 전문가를 위한 Windows 10 Technical Preview 기본 사항 ; http://www.microsoftvirtualacademy.com/training-courses/windows-10-technical-preview-fundamentals-for-it-pros_kor?WT.mc_id=13373-ITP-seongtae-jeong-mvp-content 위의 MVA 강좌에서, "01 - Windows 10 기술 개요"는 말 그대로 '개요' 수준이라서 넘어가도 무방합니다. "02 - Windows 10 관리 및 배포"와, "03 - Windows 10 보안"은 나름 들어둘만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사물인터넷: 3. 책 소개 - 라즈베리 파이로 구현하는 사물 인터넷 프로젝트[이전 글] VC++: 91. 자식 스레드에 자동 상속되는 TEB의 SubProcessTag 필드 [최초 등록일: 5/26/2015] [최종 수정일: 5/26/2015]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40정성태9/15/200619829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339정성태9/14/200619305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338정성태2/4/200727554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1350정성태10/2/200620767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1335정성태8/20/200628534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334정성태8/20/200623747디버깅 기술: 7. VS.NET 2003/2005의 다중 프로젝트 디버깅333정성태8/20/200624151개발 환경 구성: 11. COM+ 서버 활성화 보안 설정331정성태8/27/200617145개발 환경 구성: 10. 최대 절전 모드와 VPC 네트워크 문제330정성태8/20/200617457개발 환경 구성: 9. VPC로 구성하는 개인 환경328정성태8/20/200635184개발 환경 구성: 8. AppVerifier 사용법 [1]327정성태8/16/200631986개발 환경 구성: 7.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1]326정성태8/16/200625729Team Foundation Server: 13. Sysnet 웹 사이트 TFS Migration322정성태8/15/200620612개발 환경 구성: 6. 4GB 메모리 구성 [1]316정성태9/20/200639727디버깅 기술: 6. .NET 예외 처리 정리 [6]309정성태12/27/200640583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310정성태8/5/200627708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1311정성태8/10/200627213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312정성태8/5/200629943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313정성태8/12/200629089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317정성태8/12/200626558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318정성태8/12/200632995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319정성태8/12/200628008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320정성태8/12/200632131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321정성태8/13/200636555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323정성태8/15/200637899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324정성태8/15/200634752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