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OM 개체가 Internet Explorer 등에서 활성화되는 경우,
IE 같은 컨테이너들은 보통 해당 COM 개체에 IObjectWithSite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었는지 검사해 봅니다.
그 인터페이스가 구현이 되어 있다면 SetSite 메서드와 함께 인자로 클라이언트 측 Site 인터페이스를 같이 넘겨주게 되지요.

그런데, COM 개체의 유형이 Control 인 경우에는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 놓아도 IE 는 단 한번도 호출해 주지 않습니다.

왜냐면, 동일한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가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인데, IOleObject 가 바로 그것입니다. IOleObject 의 경우, IObjectWithSite 에서 제공하는 GetSite/SetSite 에 대응되는 GetClientSite/SetClientSite 메서드를 구현해 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Control 로 제작한 경우에는 굳이 IObjectWithSite 를 구현할 필요는 없습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200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8정성태9/4/201235079.NET Framework: 335. C# - (핸들을 이용하여) 모든 열린 파일을 열람 [6]파일 다운로드1
1337정성태8/30/201224805Phone: 7. 디버거로 실습해 보는 윈도우 폰의 Tombstone 상태파일 다운로드1
1336정성태8/30/201242419.NET Framework: 334. 스레드 비정상 종료로 발생하는 CLOSE_WAIT 소켓 상태 [2]파일 다운로드1
1335정성태8/30/201231914Windows: 59. Hyper-V Internal 네트워크 VM의 인터넷 접속
1334정성태8/29/201251171.NET Framework: 333.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FIN_WAIT1, FIN_WAIT2, TIME_WAIT, CLOSE_WAIT, LAST_WAIT) [6]
1333정성태8/27/201254453개발 환경 구성: 164. system32 폴더에 있는 파일의 권한 조정 [2]
1332정성태8/23/201226063Team Foundation Server: 48. TFS - Team Project Collection 이전하는 방법
1331정성태8/23/201229579오류 유형: 162. Database '...' already exists. Choose a different database nam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801)
1330정성태8/22/201230180Team Foundation Server: 47. 5인 이내의 팀, 또는 개인 로컬 소스 관리를 위한 무료 TFS Express
1329정성태8/21/201225709오류 유형: 161. Azure - Storage 삭제가 안되는 경우 [1]
1328정성태8/20/201236144개발 환경 구성: 163. IIS 7 - "MIME Types" 설정 아이콘이 없는 경우
1327정성태8/19/201240887Windows: 58. Windows 8 정식 버전을 설치해 보고... [14]
1326정성태8/19/201226895오류 유형: 160. Visual Studio 2010 Team Explorer 설치 오류
1325정성태8/15/201227051개발 환경 구성: 162. 닷넷 개발자가 컴파일해 본 리눅스
1324정성태8/15/201228821.NET Framework: 332. 함수형 언어의 코드가 그렇게 빠를까? [4]파일 다운로드1
1323정성태8/4/201230691.NET Framework: 331. C# - 클래스 안에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 발생하는 dynamic 키워드의 부작용 [2]
1322정성태8/3/201230591개발 환경 구성: 161. Ubuntu 리눅스의 Hyper-V 지원 (마우스, 네트워크)
1321정성태7/31/201229897개발 환경 구성: 160. Azure - Virtual Machine의 VHD 파일 다운로드 [2]
1320정성태7/30/201231773Math: 10. C# - (타)원 영역의 마우스 클릭 판단파일 다운로드1
1319정성태7/26/201229591개발 환경 구성: 159. Azure - 네트워크 포트 여는 방법 [1]
1317정성태7/24/201229021오류 유형: 159. SpeechRecognitionEngine.SetInputToDefaultAudioDevice 호출 시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예외 발생
1316정성태7/18/201287615개발 환경 구성: 158.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 Oracle XE 11g 사용
1315정성태7/17/201232277개발 환경 구성: 157. Azure - Virtual Machine 구성 [2]
1314정성태7/16/201226697개발 환경 구성: 156. Azure - 2개 이상의 서비스 계정을 가지고 있을 때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법
1313정성태7/16/201239360오류 유형: 158. Hyper-V 설치 후 VM 시작이 안되는 경우
1312정성태7/15/201239440Math: 9. 황금비율 증명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