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에서 github 오픈 소스를 fork해서 테스트하는 방법

제목이 좀 이상하긴 한데. ^^

그러니까, github에 공개된 유명 프로젝트(가령, CoreClr이나 CoreFx)들의 소스코드를 살펴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새로운 C# 6.0 컴파일러인 roslyn이 그 대상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dotnet/roslyn 
; https://github.com/dotnet/roslyn

물론 roslyn repo를 직접 clone해서 테스트하는 것이 깔끔합니다.

https://github.com/dotnet/roslyn.git

하지만... 저런 식으로 하면 아무도 제가 roslyn에 관심있다는 것을 모릅니다. ^^ 따라서, 왠지 멋있는 척 하기 위해 dotnet/roslyn을 제 계정의 github repo에 fork하게 됩니다.

그런 후 fork한 repo를 Visual Studio의 "File" / "Open" / "Open from Source Control..." 메뉴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로컬에 clone할 수 있습니다.

github_clone_1.png

문제는 그렇게 fork/clone해서 검토하다 보면 시간은 흘러 원래의 "dotnet/roslyn" repo의 소스코드는 업데이트되어 우리가 만지고 있는 repo가 과거의 버전이 된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최신 버전의 "dotnet/roslyn" repo를 다시 우리가 fork한 repo에 반영하고 싶을 텐데요. 이런 경우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면 됩니다.

  1. dotnet/roslyn repo를 local에 clone해 둔 repo에 병합
  2. 최신버전으로 병합된 local repo를 github의 개인 fork repo에 push

이에 대한 구체적인 git 명령어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Bitbucket: Update a fork to merge changes of master repo?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9944898/bitbucket-update-a-fork-to-merge-changes-of-master-repo

여기서는 비주얼 스튜디오 2015가 git에 얼마나 잘 통합되어 있는지 알 수 있도록 UI를 통해 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우선 "Team Explorer"의 "Settings" / "Repositories Settings"로 가서 "Remotes"에 "dotnet/roslyn" repo를 등록해 줍니다.

github_clone_2.png

그다음 Team Explorer 홈 메뉴의 "Branches"로 가서 방금 추가했던 "dotnet/rosyln" repo의 master 브랜치를 지정하고 병합을 원하는 local 브랜치를 선택해 "Merge"를 해줍니다. (여기서는 제가 별도로 로컬에 clone 해 둔 repo에 브랜치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master"로 선택했습니다.)

github_clone_3.png

그럼, 그 동안의 모든 변경 사항이 local의 master 브랜치에 반영이 됩니다. 정말로 반영되었는지, master 브랜치의 컨텍스트 메뉴를 이용해 "View History..."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최신 변경 사항이 병합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github_clone_4.png

하지만 이렇게 했다고 해서 github에 있는 repo에 최신 버전이 반영된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local master 브랜치를 github에 Push 해야 하는 작업이 남았습니다.

방법은 역시 Team Explorer에서 "Sync" 메뉴를 선택한 후 "Push" 메뉴로 원본(github의 stjeong/roslyn) repo에 올릴 수 있습니다.

github_clone_5.png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git.exe가 실행되는 명령행 창도 쉽게 열 수 있습니다. Team Explorer의 아무 메뉴나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Actions" 링크가 나오는데요. 그 하위에 "Open Command Prompt" 메뉴를 선택하면 됩니다.

github_clone_6.png

그럼, git.exe 실행 파일을 바로 쓸 수 있는 환경이 설정된 cmd.exe 창이 뜹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8-12 11시45분
GitHub.com Searching for information on GitHub
; https://help.github.com/en/github/searching-for-information-on-github/searching-code

repo:USERNAME/REPOSITORY
repo:dotnet/coreclr

https://github.com/search/advanced

user:dotnet repo:coreclr language:C++ extension:h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44정성태1/11/200925334Windows: 34. VPC 설치 후기 [2]
643정성태1/10/200930645Windows: 33. Windows 7 베타와 VMA 충돌 [1]
642정성태1/8/200929193개발 환경 구성: 34. Sysinternals의 모든 툴을 한번에 업데이트 하는 방법 [1]
641정성태1/7/200926278기타: 27. D820 -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패치 [2]
640정성태1/4/200928078Team Foundation Server: 29.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 배포를 Team Build에 추가.
639정성태1/4/200926154Team Foundation Server: 28. PFX 코드 서명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팀 빌드 실패 - MSB4018
638정성태1/3/200929166.NET Framework: 119. WPF - 의존 속성 정의에서 XamlParseException 발생하는 예 [2]
637정성태1/1/200931685기타: 26. 2008년 인기 순위 정리
636정성태12/31/200826876.NET Framework: 118. 2진 검색을 이용한 리스트 정렬 삽입파일 다운로드1
635정성태12/29/200829667오류 유형: 66. 파일 암호화 오류 - Recovery policy configured for this system contains invalid recovery certificate
634정성태12/29/200843865기타: 25.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4]
633정성태12/20/200830619기타: 24. RMClock for x64 [3]
632정성태12/19/200838160기타: 23. D820 - 배터리 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631정성태12/10/200846818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3]
630정성태12/9/200827285.NET Framework: 117. WPF - TreeView에서 항목이 펼쳐질 때 Cursors.Wait 사용파일 다운로드1
629정성태12/7/200836984.NET Framework: 116. 소켓 연결 시간 제한
628정성태12/6/200824856.NET Framework: 115. Marshal 타입 관련 2가지 자원 해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627정성태12/6/200827680VS.NET IDE: 58. VS.NET IDE 팁 - 커서 위치 이동 [1]
626정성태12/6/200827650오류 유형: 65. TF53018: The application tier XXXXXXX is attempting to connect to a data tier with an incompatible version
625정성태12/6/200828085오류 유형: 64. TFS 2008 SP1 설치 - MsiApplyMultiplePatches returned 0x643
624정성태12/5/200829159.NET Framework: 114. WPF 이벤트에 속한 핸들러 확인 [2]파일 다운로드1
623정성태12/4/200833599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2]파일 다운로드1
622정성태12/1/200836194오류 유형: 63. WPF - XamlParseException 대응 방법 [2]
621정성태11/30/200827958Team Foundation Server: 27. TeamBuild + VDPROJ 셋업 프로젝트 [1]
620정성태11/30/200826818디버깅 기술: 21. 올바른 이벤트 예외 정보 출력
619정성태11/30/200826611디버깅 기술: 20. 예외 처리를 방해하는 WPF Modal 대화창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