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520. Roslyn을 이용해 C# 문법 변형하기 (1)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25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Roslyn을 이용해 C# 문법 변형하기 (1)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던 것과는 다르게,

Can I use Roslyn for compile time code rewriting?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7833954/can-i-use-roslyn-for-compile-time-code-rewriting

아쉽지만 rosyln은 소스 코드를 재작성할 수 있는 plug-in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로슬린 wiki에서도 공식적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NET Compiler Platform ("Roslyn") FAQ
; https://github.com/dotnet/roslyn/wiki/FAQ

질문: Can I rewrite source code within the compiler pipeline?

답변: Roslyn does not provide a plug-in architecture throughout the compiler pipeline so that at each stage you can affect syntax parsed, semantic analysis, optimization algorithms, code emission, etc. However, you can use a pre-build rule to analyze and generate different code that MSBuild then feeds to csc.exe or vbc.exe. You can use Roslyn to parse code and semantically analyze it, and then rewrite the trees, change references, etc. Then compile the result as a new compilation.


대신, 컴파일 전 pre-build 단계를 하나 둬서 그때 roslyn을 사용해 기존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재성성하라는 것입니다. 실제로 이런 식으로 WPF의 DependencyProperty 정의를 처리하는 방법을 다음의 글에서 보여주고 있습니다.

In bed with Roslyn
; http://www.mindscapehq.com/blog/index.php/2011/10/20/in-bed-with-roslyn/




물론, 자신만의 csc.exe 컴파일러를 만들 수 있으므로 roslyn 소스코드를 이용하면 어느 정도의 재미있는 놀이가 가능합니다. 지난번 글에서 로슬린 컴파일도 해봤으니,

C# 6.0 오픈 소스 컴파일러 Roslyn - 빌드 및 테스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12

이번엔 간단한 변형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일단, 테스트 용으로 소스 코드 파일을 하나 만들고,

// Program.cs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Tasks;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TEST2");
        }
    }
}

이것을 csc 프로젝트의 F5 디버깅 모드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흐름이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sc.csproj]

    Microsoft.CodeAnalysis.CSharp.CommandLine.Program.Main
        Microsoft.CodeAnalysis.BuildTasks.BuildClient.RunWithConsoleOutput
            Microsoft.CodeAnalysis.CSharp.CommandLine.Csc.Run
                Roslyn.Utilities.ConsoleUtil.RunWithOutput
                    
[CSharpCodeAnalysis.csproj]

                    Microsoft.CodeAnalysis.CommonCompiler.Run
                        Microsoft.CodeAnalysis.CommonCompiler.RunCore
                            Microsoft.CodeAnalysis.CSharp.CSharpCompiler.CreateCompilation
                                Microsoft.CodeAnalysis.CSharp.CSharpCompiler.ParseFile

따라서 개별 C# 파일 하나 당 "Microsoft.CodeAnalysis.CSharp.CSharpCompiler.ParseFile" 메서드 한번이 불려집니다. ParseFile 메서드를 보면,

private static SyntaxTree ParseFile(
    CSharpParseOptions parseOptions,
    CSharpParseOptions scriptParseOptions,
    SourceText content,
    CommandLineSourceFile file)
{
    var tree = SyntaxFactory.ParseSyntaxTree(
        content,
        file.IsScript ? scriptParseOptions : parseOptions,
        file.Path);

    // prepopulate line tables.
    // we will need line tables anyways and it is better to not wait until we are in emit
    // where things run sequentially.
    bool isHiddenDummy;
    tree.GetMappedLineSpanAndVisibility(default(TextSpan), out isHiddenDummy);

    return tree;
}

ParseSyntaxTree로 반환된 tree 인스턴스는 Microsoft.CodeAnalysis.SyntaxTree 타입입니다. 오~~~ 왠지 낯이 익는데요. ^^

Roslyn 맛보기 - Syntax Analysis (Roslyn Syntax API)
; https://www.sysnet.pe.kr/2/0/1157

그사이 버전업이 되면서 바뀐 것을 감안해 다음과 같이 테스트 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private static SyntaxTree ParseFile(
    CSharpParseOptions parseOptions,
    CSharpParseOptions scriptParseOptions,
    SourceText content,
    CommandLineSourceFile file)
{
    var tree = SyntaxFactory.ParseSyntaxTree(
        content,
        file.IsScript ? scriptParseOptions : parseOptions,
        file.Path);

    // 소스 코드에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라는 문자열이 포함되었으면,
    // 기존 입력된 소스 코드를 무시하고 완전히 새로운 소스코드로 변경
    string txt = content.ToString();
    if (txt.IndexOf("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1)
    {
        Syntax.CompilationUnitSyntax tree2 = SyntaxFactory.ParseCompilationUnit(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namespace HelloWorld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
        }");

        tree = tree2.SyntaxTree;
    }

    // prepopulate line tables.
    // we will need line tables anyways and it is better to not wait until we are in emit
    // where things run sequentially.
    bool isHiddenDummy;
    tree.GetMappedLineSpanAndVisibility(default(TextSpan), out isHiddenDummy);

    return tree;
}

빌드한 후 새롭게 바뀐 csc.exe로 이 글의 예제인 Program.cs 파일을 컴파일해 보면,

E:\ConsoleApplication1>E:\roslyn\Binaries\Debug\csc program.cs
Microsoft (R) Visual C# Compiler version 42.42.42.42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error CS2041: Invalid output name: Name cannot be empty.

오류가 발생하는 군요. 왜냐하면 SyntaxFactory.ParseCompilationUnit 컴파일해서 나온 SyntaxTree에는 파일명 정보가 없어서 그런 듯 합니다. 따라서, /out 옵션으로 명시해 주어야 합니다.

E:\ConsoleApplication1>E:\roslyn\Binaries\Debug\csc program.cs /out:program.exe
Microsoft (R) Visual C# Compiler version 42.42.42.42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렇게 컴파일된 Program.cs 파일은 원래는 Console.WriteLine("TEST2"); 코드에 의해 "TEST2"를 출력해야 하지만, 컴파일이 가로채어졌으므로 Console.WriteLine(""Hello, World!""); 코드의 영향으로 "Hello, World!"가 출력됩니다.

E:\ConsoleApplication1>program.exe
Hello, World!

결국 우리는, SyntaxTree를 생성해 내는 roslyn 내부의 작업에서 적절한 순간만 찾아서 변형해주면 어떠한 작업도 가능한 것입니다.




이건 혹시나 싶어 적어두는 건데, 테스트하다가 xaml 코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컴파일 오류로 RoslynLight 솔루션 빌드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Method not found: 'Boolean System.Type.IsAssignableFzom(System.Type)'. Line 0 Position 0.'    SyntaxVisualizerControl E:\roslyn\src\Tools\Source\SyntaxVisualizer\SyntaxVisualizerControl\SyntaxVisualizerControl.xaml    

"E:\roslyn\src\RoslynLight.sln" (default target) (1) ->
"E:\roslyn\src\Tools\Source\SyntaxVisualizer\SyntaxVisualizerControl\SyntaxVisualizerControl.csproj" (default target) (35) ->
(MarkupCompilePass1 target) ->
  E:\roslyn\src\Tools\Source\SyntaxVisualizer\SyntaxVisualizerControl\SyntaxVisualizerControl.xaml : error MC1000: Unknown build error, 'Method not found: 'Boolean System.Type.IsAssignableFzom(System.Type)'. Line 0 Position 0.'  [E:\roslyn\src\Tools\Source\SyntaxVisualizer\SyntaxVisualizerControl\SyntaxVisualizerControl.csproj]

이 오류가 참... 기가 막히는 부분이 있는데 잘 보시면 원래의 메서드 명은 IsAssignableFrom인데, IsAssignableFzom을 찾고 있습니다.

일단 이 오류 발생한 이후부터는 Visual Studio 2013조차도 WPF 프로젝트 빌드 시 모든 .xaml 파일에 대해 컴파일 오류가 납니다. 참고로, xaml 파일은 csc.exe 컴파일 전에 "MarkupCompilePass1"이라는 MSBuild Task 단계를 거칩니다. 일례로, csproj 파일을 다음과 같이 구성해 주면 csc 컴파일 단계까지 안 가고 markup compile만 해볼 수 있습니다.

<Project xmlns="http://schemas.microsoft.com/developer/msbuild/2003">
  <UsingTask 
    TaskName="Microsoft.Build.Tasks.Windows.MarkupCompilePass1" 
    AssemblyFile="C:\Program Files\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v3.0\PresentationBuildTasks.dll" />
  <Target Name="MarkupCompilePass1Task">
    <MarkupCompilePass1 
      AssemblyName="WPFMSBuildSample"
      Language="C#"
      OutputType="WinExe"
      OutputPath="obj\Debug\"
      ApplicationMarkup="App.xaml"
      PageMarkup="MainWindow.xaml;"
      SourceCodeFiles="MainWindow.xaml.cs"
      References="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3.5\Profile\Client\System.dll;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3.5\Profile\Client\PresentationCore.dll;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3.5\Profile\Client\PresentationFramework.dll;C:\Program Files (x86)\Reference Assemblies\Microsoft\Framework\.NETFramework\v3.5\Profile\Client\WindowsBase.dll" />
  </Target>
</Project>

암튼, 바로 저 단계에서 빌드 실패가 발생하는 것인데... 결국 원인을 못 찾았습니다. 하지만, 재부팅하는 것으로 해결을 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95정성태12/21/200516950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17697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16635.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5458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6727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4768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18643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18075.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18315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17647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6703.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4908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7600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7242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19901.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7671.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00정성태2/15/200523749VS.NET IDE: 22. 방화벽 환경에서의 WMI 연결을 위한 포트 설정 [2]
99정성태2/15/200521690COM 개체 관련: 13. 비동기 Drag & Drop 구현 : IAsyncOperation
103정성태2/23/200517921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3.1. [관련 자료] 그외 Drag & Drop 링크파일 다운로드1
97정성태2/14/200520873VS.NET IDE: 21. 설치된 Platform SDK 버전확인 방법
96정성태2/14/200522875기타: 9. http://www.google.com/webhp?complete=1&hl=en 검색에 관해서.
95정성태2/14/200532216VS.NET IDE: 20. Win32 특권 정리 [1]
94정성태1/29/200523519VC++: 13. VS.NET 2005 VC++ 컴파일러 에러 : cannot instantiate abstract class
93정성태1/29/200519401VS.NET IDE: 19. 혹시 VS.NET 2005 Beta2(2004/12 CTP Team System 버전)이 다운이 자주 되나요? [2]
92정성태1/29/200518219.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1정성태11/14/200518818VC++: 12. VS.NET 2005 VC++ Debug: Expression: ( (state != ST_INVALID ) )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