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296. SQL Server Express 시작 오류 - error code 3417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97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QL Server Express 시작 오류 - error code 3417

SQL Server Express를 서비스 관리자에서 시작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sql_express_start_error3417.png

"
Windows could not start the SQL Server (SQLEXPRESS) on Local Computer. For more information, review the System Event Log. If this is a non-Microsoft service, contact the service vendor, and refer to service-specific error code 3417.
"


아울러 이벤트 로그에는 이런 항목들이 남아 있었습니다.

Log Name:      System
Source:        Service Control Manager
Date:          2015-07-02 오전 12:02:00
Event ID:      7005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hetest
Description:
The LoadUserProfile call failed with the following error: 
Only part of a ReadProcessMemory or WriteProcessMemory request was complete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User Profiles Service
Date:          2015-07-02 오전 12:02:00
Event ID:      1511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User:          NT SERVICE\MSSQL$SQLEXPRESS
Computer:      thetest
Description:
Windows cannot find the local profile and is logging you on with a temporary profile. Changes you make to this profile will be lost when you log off.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SSQL$SQLEXPRESS
Date:          2015-07-02 오전 12:02:01
Event ID:      17204
Task Category: Server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hetest
Description:
FCB::Open failed: Could not open file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astlog.ldf for file number 2.  OS error: 5(Access is denie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User Profiles General
Date:          2015-07-02 오전 12:02:00
Event ID:      1509
Task Category: None
Level:         Warning
Keywords:      
User:          NT SERVICE\MSSQL$SQLEXPRESS
Computer:      thetest
Description:
Windows cannot copy file \\?\C:\Users\Default\AppData\Local\Microsoft\VSCommon\12.0\SQM\sqmdata-3916-039-00000.sqm to location \\?\C:\Users\MSSQL$SQLEXPRESS\AppData\Local\Microsoft\VSCommon\12.0\SQM\sqmdata-3916-039-00000.sqm. This error may be caused by network problems or insufficient security rights. 

 DETAIL - Access is denie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User Profiles Service
Date:          2015-07-02 오전 12:02:00
Event ID:      1511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User:          NT SERVICE\MSSQL$SQLEXPRESS
Computer:      thetest
Description:
Windows cannot find the local profile and is logging you on with a temporary profile. Changes you make to this profile will be lost when you log off.

이와 함께 로그 파일이 있음을 알려줍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SSQL$SQLEXPRESS
Date:          2015-07-02 오전 12:02:01
Event ID:      17111
Task Category: Server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hetest
Description:
Logging SQL Server messages in file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Log\ERRORLOG'.

로그 파일의 내용도 일관성있게 "Access is denied"라고 하는데요.

2015-07-01 23:55:08.69 Server      Microsoft SQL Server 2012 - 11.0.5058.0 (X64) 
    May 14 2014 18:34:29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Express Edition (64-bit) on Windows NT 6.3 <X64> (Build 9600: )

2015-07-01 23:55:08.69 Server      (c) Microsoft Corporation.
2015-07-01 23:55:08.69 Server      All rights reserved.
...[생략]...
2015-07-01 23:55:08.85 Server      Software Usage Metrics is disabled.
2015-07-01 23:55:08.85 spid5s      Starting up database 'master'.
2015-07-01 23:55:08.85 spid5s      Error: 17204, Severity: 16, State: 1.
2015-07-01 23:55:08.85 spid5s      FCB::Open failed: Could not open file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aster.mdf for file number 1.  OS error: 5(Access is denied.).
...[생략]...

하지만 실제로는 해당 폴더에 권한을 주어도 마찬가지 상황만 연출됩니다. 더욱 황당하게도 이벤트 로그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도 보입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SSQL$SQLEXPRESS
Date:          2015-07-02 오전 12:16:04
Event ID:      17204
Task Category: Server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hetest
Description:
FCB::Open failed: Could not open file e:\sql11_main_t.obj.x86release\sql\mkmastr\databases\objfre\i386\MSDBData.mdf for file number 1.  OS error: 3(The system cannot find the path specified.).

도대체 저 경로가 어떻게 나올 수 있는 걸까요? 다행히 검색해 보면 이런 글이 나오는데요.

SQL Server express service is not starting [closed]
; http://serverfault.com/questions/447808/sql-server-express-service-is-not-starting

위의 글에 따라 다음과 같이 실행을 하니 서비스는 일단 시작이 되었습니다.

NET START MSSQL$SQLEXPRESS /f /T3608

(또는, NET START MSSQLSERVER /f /T3608)

오호~~~ 이렇게 시작하면 DB를 로딩하지 않고 순수하게 SQL 프로세스만 시작시키나 봅니다. 재미있는 것을 알았군요. ^^

그리곤, 각각의 DB 파일 경로를 "alter database" 명령을 통해 원래의 파일 경로로 새롭게 잡아주었습니다.

C:\Windows\system32>NET START MSSQL$SQLEXPRESS /f /T3608
The SQL Server (SQLEXPRESS) service is starting.
The SQL Server (SQLEXPRESS) service was started successfully.

C:\Windows\system32>SQLCMD -S .\SQLEXPRESS
1> ALTER DATABASE msdb MODIFY FILE ( NAME = MSDBData, FILENAME =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SDBData.mdf');
2> ALTER DATABASE msdb MODIFY FILE ( NAME = MSDBLog, FILENAME =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SDBLog.ldf');
3> ALTER DATABASE tempdb MODIFY FILE ( NAME = tempdev, FILENAME =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temp.mdf');
4> ALTER DATABASE tempdb MODIFY FILE ( NAME = templog, FILENAME =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temp.ldf');
5> ALTER DATABASE model MODIFY FILE ( NAME = modeldev, FILENAME =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odel.mdf');
6> ALTER DATABASE model MODIFY FILE ( NAME = modellog, FILENAME =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odellog.ldf');
7> go
The file "MSDBData" has been modified in the system catalog. The new path will be used the next time the database is started.
The file "MSDBLog" has been modified in the system catalog. The new path will be used the next time the database is started.
The file "tempdev" has been modified in the system catalog. The new path will be used the next time the database is started.
The file "templog" has been modified in the system catalog. The new path will be used the next time the database is started.
The file "modeldev" has been modified in the system catalog. The new path will be used the next time the database is started.
The file "modellog" has been modified in the system catalog. The new path will be used the next time the database is started.
1>
1> exit

C:\Windows\system32>NET STOP MSSQL$SQLEXPRESS
The SQL Server (SQLEXPRESS) service is stopping.
The SQL Server (SQLEXPRESS) service was stopped successfully.

이렇게 직접 해당 파일들에 대한 경로 설정을 한 이후로는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위와 같이 해주었는데도 서비스 관리자에서 SQL Express 서비스 시작을 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Windows could not start the SQL Server (SQLEXPRESS) on Local Computer. 

Error 1067: The process terminated unexpectedly.

그런 경우에는 실제로 권한이 없어서 그럴 수 있습니다. 만약 SQL Server Express 서비스의 계정이 "NETWORK SERVICE"로 되어 있다면 다음의 파일들에 대해 "Full Control" 권한을 "NETWORK SERVICE" 계정에 부여해야 합니다. (테스트 해보니, Write 또는 Modify 권한만으로는 부족하고 반드시 "Full Control"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SDBData.mdf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SDBLog.ldf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temp.mdf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temp.ldf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odel.mdf
C:\Program Files\Microsoft SQL Server\MSSQL11.SQLEXPRESS\MSSQL\DATA\modellog.ldf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3/2019]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08정성태12/18/201721424.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파일 다운로드1
11407정성태12/18/201724321.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11406정성태12/17/201746760.NET Framework: 711. C# - OpenCvSharp의 Mat 데이터 조작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405정성태12/17/201742762.NET Framework: 710.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1]파일 다운로드1
11404정성태12/16/201730027.NET Framework: 709.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7]파일 다운로드1
11403정성태12/16/201732592.NET Framework: 708.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3]파일 다운로드1
11402정성태12/15/201737203.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2]파일 다운로드1
11401정성태12/15/201726133.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400정성태12/14/201728989.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399정성태12/13/201717687.NET Framework: 704. Win32 API의 UnionRect를 닷넷 BCL의 Rectangle.Union으로 바꿀 때 주의 사항
11398정성태12/13/201717898오류 유형: 442. ASP.NET Core Web Application (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시 런타임 버전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97정성태12/12/201720480.NET Framework: 703.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11396정성태12/8/201742880개발 환경 구성: 343. Visual Studio - 리눅스 용 프로젝트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헤더 파일 처리 방법 [3]
11395정성태12/8/201718696오류 유형: 441. 이벤트 로그 -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11394정성태12/8/201718357개발 환경 구성: 34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93정성태12/7/201722914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5]
11392정성태12/7/201718159개발 환경 구성: 341. openSUSE에 닷넷 코어 설치
11391정성태12/7/201721003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1]
11390정성태12/7/201729650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6]
11389정성태12/7/201718355오류 유형: 440. .NET Core 오류 - 0x80131620 Unable to load DLL 'libuv'
11388정성태12/6/201722021개발 환경 구성: 338. WSL 또는 Ubuntu에 닷넷 코어 설치 [3]
11387정성태12/6/201722334오류 유형: 439. 이벤트 로그 - Data Sharing Service 서비스의 %%3239247874 오류 메시지
11386정성태12/5/201717889오류 유형: 438. Hyper-V - '...' failed to add device 'Virtual CD/DVD Disk'
11385정성태12/5/201730981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16]파일 다운로드1
11384정성태12/5/201720309오류 유형: 437. Visual C++ - Cannot open include file: 'SDKDDKVer.h'
11383정성태12/4/201723387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