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닷넷 - 값 형식을 new 없이 생성하면 0으로 초기화되지 않는다?

어느 책을 읽고 있는데, "(값 형식은) new 연산자를 사용하여 지정하였을 때와는 다르게 0으로 초기화하지는 않는다"라는 문장이 있군요. 정말 그런지 한번 확인해 볼까요? ^^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코드를 만들어 확인하고 싶겠지만!

public struct ValueT
{
    public int i;
}

class Program
{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ValueT pg;
        System.Console.WriteLine(pg.i); // 컴파일 에러
    }
}

아쉽게도 C# 컴파일러는 new로 할당하지 않은 구조체를 명시적인 초기화 과정없이 사용하려면 컴파일 오류를 냅니다. 그래서 확인이 안되는 군요. ^^

대신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

public struct ValueT
{
    public int i;
}

class Program
{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ValueT pg;
        int* pI = &pg.i;
        System.Console.WriteLine(*pI); // 출력 결과: 0
    }
}

아하... new로 할당하지 않아도 (스택에 할당된 구조체의) 메모리는 0으로 초기화되어 있군요. ^^

포인터를 쓰지 않고도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IL 코드를 직접 작성해서,

.assembly extern mscorlib
{
  .publickeytoken = (B7 7A 5C 56 19 34 E0 89 )                 
  .ver 4:0:0:0
}

.assembly ConsoleApplication1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untime.CompilerServices.CompilationRelaxationsAttribute::.ctor(int32) = ( 01 00 08 00 00 00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untime.CompilerServices.RuntimeCompatibilityAttribute::.ctor() = ( 01 00 01 00 54 02 16 57 72 61 70 4E 6F 6E 45 78 63 65 70 74 69 6F 6E 54 68 72 6F 77 73 01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eflection.AssemblyTitleAttribute::.ctor(string) = ( 01 00 13 43 6F 6E 73 6F 6C 65 41 70 70 6C 69 63 61 74 69 6F 6E 31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eflection.AssemblyDescriptionAttribute::.ctor(string) = ( 01 00 00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eflection.AssemblyConfigurationAttribute::.ctor(string) = ( 01 00 00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eflection.AssemblyCompanyAttribute::.ctor(string) = ( 01 00 00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eflection.AssemblyProductAttribute::.ctor(string) = ( 01 00 13 43 6F 6E 73 6F 6C 65 41 70 70 6C 69 63 61 74 69 6F 6E 31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eflection.AssemblyCopyrightAttribute::.ctor(string) = ( 01 00 12 43 6F 70 79 72 69 67 68 74 20 C2 A9 20 20 32 30 31 35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eflection.AssemblyTrademarkAttribute::.ctor(string) = ( 01 00 00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VisibleAttribute::.ctor(bool) = ( 01 00 00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untime.InteropServices.GuidAttribute::.ctor(string) = ( 01 00 24 38 38 37 62 66 30 32 35 2D 61 65 36 61 2D 34 35 62 35 2D 39 30 62 34 2D 33 39 61 32 66 36 64 62 36 30 34 62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eflection.AssemblyFileVersionAttribute::.ctor(string) = ( 01 00 07 31 2E 30 2E 30 2E 30 00 00 )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Runtime.Versioning.TargetFrameworkAttribute::.ctor(string) = ( 01 00 1C 2E 4E 45 54 46 72 61 6D 65 77 6F 72 6B 2C 56 65 72 73 69 6F 6E 3D 76 34 2E 35 2E 32 01 00 54 0E 14 46 72 61 6D 65 77 6F 72 6B 44 69 73 70 6C 61 79 4E 61 6D 65 14 2E 4E 45 54 20 46 72 61 6D 65 77 6F 72 6B 20 34 2E 35 2E 32 ) 
  .permissionset reqmin
             = {[mscorlib]System.Security.Permissions.SecurityPermissionAttribute = {property bool 'SkipVerification' = bool(true)}}
  .hash algorithm 0x00008004
  .ver 1:0:0:0
}

.module ConsoleApplication1.exe
.custom instance void [mscorlib]System.Security.UnverifiableCodeAttribute::.ctor() = ( 01 00 00 00 ) 
.imagebase 0x00400000
.file alignment 0x00000200
.stackreserve 0x00100000
.subsystem 0x0003       // WINDOWS_CUI
.corflags 0x00020003    //  ILONLY 32BITPREFERRED

.class public sequential ansi sealed beforefieldinit ValueT
       extends [mscorlib]System.ValueType
{
  .field public int32 i
}

.class private auto ansi beforefieldinit Program
       extends [mscorlib]System.Object
{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entrypoint
    .maxstack  2
    .locals init ([0] valuetype ValueT pg)
    IL_0000:  nop
    IL_0001:  ldloca.s   pg
    IL_0003:  ldfld      int32 ValueT::i
    IL_0008:  call       void [mscorlib]System.Console::WriteLine(int32)
    IL_000d:  nop
    IL_000e:  ret
  } 


  .method public hidebysig specialname rtspecialname 
          instance void  .ctor() cil managed
  {
    .maxstack  8
    IL_0000:  ldarg.0
    IL_0001:  call       instance void [mscorlib]System.Object::.ctor()
    IL_0006:  nop
    IL_0007:  ret
  } 
}

ilasm.exe를 이용해 컴파일하면 C# 컴파일러처럼 초기화 제약을 받지 않고 컴파일할 수 있습니다.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v4.0.30319\ilasm.exe" ConsoleApplication1.il /OUT=ConsoleApplication1.exe

// 참고로,
// 역어셈블은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SDKs\Windows\v10.0A\bin\NETFX 4.6 Tools\ildasm.exe" ConsoleApplication1.exe /OUT=ConsoleApplication1.il

이렇게 해서 생성한 ConsoleApplication1.exe를 실행해도 출력은 0이 나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9/201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67정성태7/7/20246623닷넷: 2273. C# - 리눅스 환경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AF_VSOCK)파일 다운로드1
13666정성태7/7/20247700Linux: 74. C++ - Vsock 예제 (Hyper-V Socket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665정성태7/6/20247883Linux: 73. Linux 측의 socat을 이용한 Hyper-V 호스트와의 vsock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3663정성태7/5/20247481닷넷: 2272.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의 VMID Wildcards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662정성태7/4/20247491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7413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7523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7863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8240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7917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8096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7855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7788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7937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9250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8488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8410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7965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8287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9345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7765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8201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8868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8323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8201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8673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