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volatile 키워드로 인한 차이점을 발생시키는 예제

이전에 C++ 언어로 만든 volatile 예제를 실었는데요.

C++ volatile 키워드
; https://www.sysnet.pe.kr/2/0/413

아쉽게도 위의 예제를 C#으로 옮겨서 테스트해보면 volatile 유무에 따른 실행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그래도 ^^ 혹시나 싶어, 위의 C++ 예제를 살짝 변경해 다음과 같이 작성해 보니 차이점이 발생하긴 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public class TestClass
{
    bool m_resultState;
    bool m_terminate;

    public void Start()
    {
        int k = 0;

        while (m_terminate == false)
        {
            Console.WriteLine(k++);
            Thread.Sleep(1000);
        }

        m_resultState = true;

        Console.WriteLine("m_resultState == " + m_resultState);
    }

    public void endThread()
    {
        m_terminate = true;

        while (true)
        {
            if (true == m_resultState)
            {
                Console.WriteLine("result() == true");
                break;
            }
        }
    }
}

public class WorkerThreadExample
{
    static void Main()
    {
        TestClass testClass = new TestClass();

        Thread t1 = new Thread(testClass.Start);
        t1.Start();
        Thread.Sleep(2000);

        testClass.endThread();
    }
}

위의 프로그램을 Release 모드로 컴파일해 실행하면 화면에 다음과 같이 출력한 후,

0
1
m_resultState == True

무한루프에 빠져 CPU 사용량이 "1/코어"만큼 올라갑니다. 코드를 살짝 보면, "m_resultState == True" 출력은 t1 스레드가 종료하기 바로 전이므로 t1 스레드는 무조건 없어졌다고 확신할 수 있고 출력 내용처럼 m_resultState 필드의 값은 True가 된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도 endThread 메서드 내부의 result() 메서드는 (분명 이상하지만!) false를 반환하고 있기 때문에 무한 루프에 빠진 것입니다. (result 메서드는 최적화 과정에서 인라인화되었을 것입니다.)

반면 Debug 모드로 컴파일하거나, m_resultState 필드를 다음과 같이 volatile 예약어로 장식해주면 무한 루프 현상없이 프로그램이 잘 종료됩니다.

volatile bool m_resultState;

왜냐하면, volatile로 지정된 필드는 1) 최적화 대상에서 제외하며 2) 해당 값을 읽고/쓰는 코드에 대해 무조건 메모리에 직접 읽고/쓰는 동작으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재현할 수 있는 예제입니다.)
(참고로, 위의 코드는 어느 순간 CLR이 바뀌면 잘 동작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2/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1-22 09시48분
[hong]
0
1
m_resultState == True => this is fault. because you wrote the code Console.WriteLine("m_resultState == true");

I feel confused..

and i got another example....

if remove volatile keyword than the loop will never stop on release...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latile bool complete = false;

    private static void Main()
    {
        var t = new Thread(() =>
        {
            bool toggle = false;
            while (!complete) toggle = !toggle;
        });

        t.Start();
        Thread.Sleep(1000); //let the other thread spin up
        complete = true;
        t.Join(); // Blocks indefinitely when you remove volatile
    }
}
[guest]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64정성태2/11/202215107.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63정성태2/11/202215646.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5022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5143.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14361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15457.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16269.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12957정성태2/6/202215207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2956정성태2/4/202214766.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2]파일 다운로드1
12955정성태2/4/202214125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12954정성태2/4/202213400VS.NET IDE: 173. 비주얼 스튜디오 - Output 창에 색상이 지정된 출력 결과가 "[39m[22m" 식의 문자로 나오는 문제
12953정성태2/2/202213439Linux: 48. Windows 11 + WSL 우분투 GUI 환경에서 한글 출력
12952정성태2/2/202214347.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1정성태2/2/202213807.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0정성태2/1/202214053.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12949정성태2/1/202213394.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파일 다운로드1
12948정성태1/30/202214082.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947정성태1/30/202215283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12946정성태1/28/202213961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14064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12944정성태1/28/202217471.NET Framework: 1143. C# - Entity Framework Core 6 개요
12943정성태1/27/202216735.NET Framework: 1142. .NET 5+로 포팅 시 플랫폼 호환성 경고 메시지(SYSLIB0006, SYSLIB0011, CA1416) [1]파일 다운로드1
12942정성태1/27/202216189.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파일 다운로드1
12941정성태1/26/202217432오류 유형: 790. AKS/k8s - pod 상태가 Pending으로 지속되는 경우
12940정성태1/26/202213877오류 유형: 789. AKS에서 hpa에 따른 autoscale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12939정성태1/25/202215006.NET Framework: 114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해 MP3 오디오 파일 인코딩/디코딩하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