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C++: 92. C++ 생성자를 DLL로부터 동적 로드해 객체를 생성한다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461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생성자를 DLL로부터 동적 로드해 객체를 생성한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군요. ^^

C++ DLL로 class를 export후 LoadLibrary로 DLL을 불러와 new로 class 객체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 없을까요
; http://lab.gamecodi.com/board/zboard.php?id=GAMECODILAB_QnA_etc&no=3843&z=

질문의 요지는 이렇습니다. C++ 클래스를 DLL에 구현해 두었는데, 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외부 EXE/DLL에서 접근해 생성하고 싶다는 것입니다. 검색해 보면 이를 위한 방법을 다음의 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Using classes exported from a DLL using LoadLibrary
; http://www.codeproject.com/Articles/9405/Using-classes-exported-from-a-DLL-using-LoadLibrar

직접 실습을 해볼까요? ^^




우선, Visual Studio에서 C++ Win32 DLL 프로젝트를 "Export symbols" 옵션을 켜서 생성한 후, 기본 포함된 CWin32Project1 클래스의 코드에 다음과 같이 테스트를 위해 필드 n과 Print 함수를 포함시켜 둡니다.

#define WIN32PROJECT1_API __declspec(dllexport)

#include <stdio.h>

class WIN32PROJECT1_API CWin32Project1 {
public:
    int n;
    CWin32Project1(void);

    void Print()
    {
        printf("%d\r\n", n);
    }
};

CWin32Project1::CWin32Project1()
{
    n = 500;
    return;
}

컴파일하고 Visual Studio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시켜 dumpbin.exe를 실행하면 생성자가 export된 심볼을 구할 수 있습니다.

C:\temp\Win32Project1\x64\Debug>dumpbin /exports Win32Project1.dll
Microsoft (R) COFF/PE Dumper Version 14.00.23026.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Dump of file Win32Project1.dll

File Type: DLL

  Section contains the following exports for Win32Project1.dll

    00000000 characteristics
    55FAAD26 time date stamp Thu Sep 17 21:08:06 2015
        0.00 version
           1 ordinal base
           6 number of functions
           6 number of names

    ordinal hint RVA      name

          1    0 0001100A ??0CWin32Project1@@QEAA@XZ = @ILT+5(??0CWin32Project1@@QEAA@XZ)
          2    1 00011069 ??4CWin32Project1@@QEAAAEAV0@$$QEAV0@@Z = @ILT+100(??4CWin32Project1@@QEAAAEAV0@$$QEAV0@@Z)
          3    2 000111B8 ??4CWin32Project1@@QEAAAEAV0@AEBV0@@Z = @ILT+435(??4CWin32Project1@@QEAAAEAV0@AEBV0@@Z)
          4    3 000112B2 ?Print@CWin32Project1@@QEAAXXZ = @ILT+685(?Print@CWin32Project1@@QEAAXXZ)
          5    4 000112CB ?fnWin32Project1@@YAHXZ = @ILT+710(?fnWin32Project1@@YAHXZ)
          6    5 0001C164 ?nWin32Project1@@3HA = ?nWin32Project1@@3HA (int nWin32Project1)

  Summary

        1000 .00cfg
        1000 .data
        1000 .idata
        1000 .pdata
        3000 .rdata
        1000 .reloc
        1000 .rsrc
        8000 .text
       10000 .textbss

이 값을 이용해 LoadLibrary/GetProcAddress로 함수 포인터를 구하는 코드는 이렇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Windows.h>

class CWin32Project1 {
public:
    int n;
    CWin32Project1(void);
    void Print();
};

typedef void(*CTORFUNC) (void *pThis);
typedef void(*PRINTFUNC) (void *pThis);

int main()
{
    HMODULE hModule = ::LoadLibrary(L"Win32Project1.dll");
    if (hModule == NULL)
    {
        printf("NOT FOUND: Module\r\n");
        return 1;
    }


    // Why can't I GetProcAddress a function I dllexport'ed?
    // 64비트와 32비트에서의 export symbol 이름이 다르다는 점!
#if defined(_AMD64_)
    char *ctorName = "??0CWin32Project1@@QEAA@XZ";
    char *printName = "?Print@CWin32Project1@@QEAAXXZ";
#else
    char *ctorName = "??0CWin32Project1@@QAE@XZ";
    char *printName = "?Print@CWin32Project1@@QAEXXZ";
#endif

    CTORFUNC ctorProc = (CTORFUNC)::GetProcAddress(hModule, ctorName);
    PRINTFUNC printProc = (PRINTFUNC)::GetProcAddress(hModule, printName);
                                                            
    if (ctorProc == NULL || printProc == NULL)
    {
        printf("NOT FOUND: ctor or print\r\n");
        return 1;
    }

    // 해당 클래스의 객체 크기만큼 미리 메모리를 할당
    int size = sizeof(CWin32Project1);
    char *pBytes = new char[size];

    // 할당된 메모리가 바로 this 포인터 역할을 함.
    // 생성자를 호출해 인스턴스를 초기화하고,
    ctorProc(pBytes);

    // 멤버 함수를 호출
    printProc(pBytes); // 출력 결과: 500

    delete [] pBytes;

    return 0;
}

첨부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6-08 03시31분
[4567] 그냥 DLL 내부에서 new 로 자기자신 생성해서 리턴하고 메인에서 그 함수 포인터 가져와서 호출하면안되나요?
[guest]
2020-06-08 03시48분
@4567 음... 글의 초반에 링크한 원본 질문을 읽어보셨다면 그런 질문을 하지 않으셨을 텐데요.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05정성태9/26/201375385기타: 35. Microsoft Office 2007 인증 생략하는 방법 [10]
1504정성태9/24/201330279.NET Framework: 387. UDP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해 서비스 측의 IP 주소를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03정성태9/21/201335438개발 환경 구성: 199. Visual Studio - github 연동 [7]
1502정성태9/21/201339040개발 환경 구성: 198. Visual Studio - git을 이용한 로컬 소스 컨트롤
1501정성태9/21/201346136개발 환경 구성: 197. Visual Studio를 위한 Git 환경 설정 [5]
1500정성태9/20/201345106.NET Framework: 386. C# 버전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1]파일 다운로드1
1499정성태9/20/201321695개발 환경 구성: 196. Windows Azure - Cloud Service의 인스턴스 타입 변경하는 방법
1498정성태9/20/201327806Windows: 76. 윈도우 8.1 / 서버 2012 R2 마이그레이션 [5]
1497정성태9/20/201360085웹: 28. IE 11로 바꾼 후 발생하는 문제 정리
1496정성태9/20/201332401Windows: 75. 윈도우 8.1, 2012 R2 설치 후 원격 접속이 안 되는 문제
1495정성태9/20/201323543웹: 27. IE 11 - YBM Sisa.com에서 검색된 영단어의 발음 기호가 안 나오는 문제
1494정성태9/13/201333134.NET Framework: 385. Html Agility Pack 소개 - 웹 문서에서 텍스트만 분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493정성태9/13/201334924.NET Framework: 384. WebClient.DownloadString 문자열 인코딩 문제
1492정성태9/13/201322352오류 유형: 186. The .NET assembly 'Microsoft.Vsa' could not be found.
1491정성태9/9/201325471.NET Framework: 383.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1490정성태9/7/201360477기타: 34. 도서: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7]
1489정성태9/4/201344915오류 유형: 185. 오피스 워드 파일이 저장되지 않는 문제 [2]
1488정성태8/27/201329055.NET Framework: 382. WCF에서 DataSet을 binary encod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87정성태8/27/201331363개발 환경 구성: 195. 로컬 PC에서의 WCF 통신을 Fiddler로 보는 방법 [1]
1486정성태8/27/201328863.NET Framework: 381. SqlCommand를 이용해 Microsoft SQL 서버의 쿼리 실행 계획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85정성태8/26/201332556.NET Framework: 380. 프로세스 스스로 풀 덤프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484정성태8/23/201326809제니퍼 .NET: 24.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4) - GZIP 인코딩으로 인한 성능 하락
1483정성태8/23/201326930.NET Framework: 379. System.IO.MemoryStream, ArraySegment&lt;T&gt; 의 효율적인 사용법 [1]
1482정성태8/23/201320379.NET Framework: 378. Java / C# - 정수의 부호 유무에 따른 16진수 문자열 변환
1481정성태8/22/201321199오류 유형: 184. PaaS 유형(Cloud Services)의 Azure VM에 연결할 때 계정 만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1480정성태8/22/201337863개발 환경 구성: 194. 윈도우 서버의 80 포트에 대한 port forwarding 설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