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2) 내용 정리를 위해 정오표를 2가지로 나눴습니다. 아래의 게시물에 있는 정오표는 내용 흐름상 중요도가 있는 것을 정리해 둔 것이고,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 http://www.yes24.com/24/goods/19427525 이 게시물에 있는 정오표는 자잘한 것들이니, 그냥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두 번째 정오표] * 1부 정오표 * 위치 변경 전 변경 후 3.1 기본 자료형 (56 페이지, 4번째 줄) 기본 자료형(Primitive Data Type) 기본 자료형(Built-in Types) ("C#에서 string 형식이 primitive일까요?"글을 참조해 주세요.) 3.5.1 선택문 (82 페이지, 아래로부터 2번째 줄) 선택문(selection statement) 선택문(selection statements) (의견 참조) 3.5.2 반복문 (92 페이지, 3번째 줄) 반복문(iteration statement) 반복문(iteration statements) (의견 참조) 4.1.2.1 중복 코드 제거 (120 페이지, 중간 예제 코드 출력 결과) 결과: 10 10 4.5.1.5 구조체 - ref 예약어 (237 페이지, 상단 코드의 출력 결과) pt1: null pt1: X = 7, Y = 14 pt1: pt1: X = 7, Y = 14 5.1.1.4 특성 - 다중 적용과 상속 (278 페이지, 2번째와 3번째 [Flags] 특성이 사용된 코드 예제) enum Days { // …… [생략] …… } enum Days { /* …… [생략] …… */ } 5.2.2 라이브러리 (298 페이지, 7번째 줄) FCL(Foundation Class Library) FCL(Framework Class Library) (의견 참조) 6.1.1 System.DateTime (374 페이지 2번째 줄) 속성 중에서는 Now와 Year, Month, Day, Minute, Second, Millisecond가 자주 속성 중에서는 Now와 Year, Month, Day, Hour, Minute, Second, Millisecond가 자주 (의견 참조) 6.9 리플렉션 (552 페이지 2번째 줄) 콘솔 응용 프로그램은 1개의 공유 AppDomain과 1개의 AppDomain으로 콘솔 응용 프로그램은 1개의 공유 AppDomain과 1개의 기본 AppDomain으로 (의견 참조) * 2부 정오표 * [다음 글] 오류 유형: 310. 비주얼 스튜디오 - Unspecified error (Exception from HRESULT: 0x80004005 (E_FAIL))[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277. IIS AppPool의 시작/중단에 대한 이벤트 로그 확인 방법 [연관 글] 기타: 52.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최초 등록일: 10/9/2015] [최종 수정일: 6/26/2021]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24정성태8/15/200634743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325정성태9/8/200627469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329정성태8/19/200626429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332정성태8/20/200627930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341정성태9/16/200620284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342정성태9/16/200637815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1306정성태2/13/200717340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304정성태7/21/200619284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305정성태7/21/200618959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303정성태7/20/200616968Team Foundation Server: 12. 사용자 계정 재생성에 따른 Version Control 영향302정성태8/21/200618577Team Foundation Server: 11. TFS Team Build와 VC++ Project 설정299정성태7/23/200618999개발 환경 구성: 5. VMWare - VM 생성 화면 캡쳐300정성태7/15/200623378 개발 환경 구성: 5.1. VMWare 오류 유형 - The handle is invalid.301정성태7/18/200618473 개발 환경 구성: 5.2. VMWare - 사용 후기.298정성태7/14/200618822개발 환경 구성: 4. VMWare Server를 64bit 운영체제에 설치 시 주의 사항 [2]296정성태7/10/200628097.NET Framework: 73. [ASP.NET] HTC(DHTML Control Behavior)를 WebResource.axd로 제공하는 방법 [3]295정성태7/1/200621317VC++: 25. Microsoft National Language Support Downlevel APIs 1.0 사용 방법1294정성태6/30/200617883.NET Framework: 72. XSDObjectGen.EXE 기능 개선293정성태6/29/200619613Team Foundation Server: 10. TFS 버전 컨트롤(TFVC)에 참여시킨 프로젝트의 로컬 경로를 옮기는 방법290정성태6/26/200617000Team Foundation Server: 9. HTTPS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 두 번째 이야기 [1]291정성태6/26/200618332 Team Foundation Server: 9.1. [선행 작업] HTTPS 를 통한 Team Server 접근 - 두번째 이야기 [1]292정성태6/26/200617974 Team Foundation Server: 9.2. TF30177 오류 발생307정성태8/3/200619655 Team Foundation Server: 9.3. Team Server 접근 이름을 바꾸는 방법 [1]1308정성태2/18/200719395 Team Foundation Server: 9.4. Team Server HTTPS 접근 완료. ^^ [1]288정성태6/26/200634243오류 유형: 10. error MSB6006: "aspnet_merge.exe" exited with code 1286정성태6/23/200622354웹: 4. 웹 사이트 식별자(Identifier) 값 변경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