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ad.Abort의 스레드 종료 지연
Win32 API 시절에는 TerminateThread를 이용해 스레드를 거의 바로 종료하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TerminateThread funct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processthreadsapi/nf-processthreadsapi-terminatethread
물론, 그 강력함으로 인해 자원 회수에 대한 기회를 가질 수 없으므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API를 사용하기보다는 가능하면 스레드 스스로 종료하는 식으로 구현하도록 가이드를 하고 있습니다.
닷넷에서의 Thread.Abort 메서드는 '관리'의 힘을 얻어 TerminateThread와는 다른 방식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관리가 가능해진만큼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보장못하는 구간을 스레드가 실행 중일 때는 AbortRequested 신호만 보내두고 해당 스레드가 '스레드 종료하기 좋은 지점'으로 실행이 벗어났을 때에야 AbortException을 발생시킵니다.
재미삼아서, 재현을 한번 해볼까요? ^^
가령, "catch"나 "finally" 영역을 스레드가 실행 중일 때는 종료하지 않는데요. 다음과 같이 테스트해볼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ventWaitHandle ewh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Thread t1 = new Thread(Test);
t1.Start(ewh);
ewh.WaitOne();
Console.WriteLine("begin - abort");
t1.Abort();
Console.WriteLine("end - abort");
Console.ReadLine();
}
public static void Test(object obj)
{
EventWaitHandle ewh = obj as EventWaitHandle;
try
{
Console.WriteLine("Test method called!");
}
finally
{
Console.WriteLine("begin - finally");
ewh.Set();
for (int i = 0; i < 6; i++)
{
Thread.Sleep(1000);
Console.Write(".");
}
Console.WriteLine();
Console.WriteLine("end - finally");
}
}
}
실행해 보면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Test method called!
begin - finally
begin - abort
......
end - finally
end - abort
이처럼, finally 영역에서 스레드가 실행중일 때는 외부에서의 Abort 호출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그 외에 unmanaged 코드에 대한 배려도 빼놓을 수 없지요. ^^ 테스트는 닷넷 측의 코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해 주고,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Threading;
class Program
{
[DllImport("Win32Project1")]
static extern int fnWin32Project1(long handle);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ventWaitHandle ewh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Thread t1 = new Thread(threadFunc);
t1.Start(ewh);
ewh.WaitOne();
t1.Abort();
t1.Join();
Console.WriteLine("Ended!");
}
private static void threadFunc(object evtObj)
{
EventWaitHandle ewh = evtObj as EventWaitHandle;
fnWin32Project1(ewh.Handle.ToInt64());
}
}
fnWin32Project1 함수를 담은 C/C++ DLL 프로젝트의 소스 코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해 주면 됩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Win32Project1.h"
WIN32PROJECT1_API int __stdcall fnWin32Project1(__int64 nHandle)
{
int result = 0;
HANDLE hHandle = (HANDLE)nHandle;
::SetEvent(hHandle);
int n = 5;
while (n -- > 0)
{
printf(".");
::Sleep(1000);
}
return result;
}
이번에도 역시 fnWin32Project1내에서 while/printf 문을 실행 중인 동안 Thread.Abort가 호출되어도 곧바로 중지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전에, Thread.Abort 호출 시 hang 현상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는데요.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617
왜 저런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지 이젠 이해가 되시겠지요? ^^
(
첨부한 파일은 이 글의 2가지 예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