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538. Thread.Abort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현상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731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84. Thread 개체의 Interrupt와 Abort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205

.NET Framework: 418. Thread.Abort 호출의 hang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617

.NET Framework: 536. Thread.Abort의 스레드 종료 지연
; https://www.sysnet.pe.kr/2/0/10865

.NET Framework: 538. Thread.Abort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0867

디버깅 기술: 109. windbg - (x64에서의 인자 값 추적을 이용한) Thread.Abort 시 대상이 되는 스레드를 식별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80




Thread.Abort로 인해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경우

"제프리 리처의 CLR via C#" 책을 보면,

제프리 리처의 CLR via C#
; http://www.yes24.com/24/goods/15169403

675페이지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CLR은 스레드가 ThreadAbortException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 다른 예외와는 다르게 ThreadAbortException은 처리되지 않아도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시키지 않는다. CLR은 이 예외를 조용히 먹어버리고 해당 스레드를 종료시킨다.


이는 다음과 같은 코드로 재현해 볼 수 있는데요.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Threading;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owException();
    }

    private static void ThrowException()
    {
        EventWaitHandle ewh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EventWaitHandle waitForever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Thread t1 = new Thread(() =>
            {
                ewh.Set();

                try
                {
                    // throw new ApplicationException("Exception occurred!!!");
                    waitForever.WaitOne();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e.Message);
                }
           });

        t1.Start();

        ewh.WaitOne();
        t1.Abort();
        t1.Join();
    }
}

외부 스레드에서 t1.Abort를 호출해 ThreadAbortException을 발생시켰고, 내부의 try/catch 메시지가 실행되는 걸로 확인할 수 있지만 분명히 프로그램은 종료되지 않습니다. (legacyUnhandledExceptionPolicy 속성 값이 false여도 종료가 안됩니다.)




그런데, 예외적인 상황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ASP.NET의 "요청을 처리하는 스레드"를 외부에서 강제로 Thread.Abort 시킨 경우입니다.

재현은 ASP.NET 웹 폼 프로젝트를 만들고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

        protected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read currentThread = Thread.CurrentThread;

            EventWaitHandle ewh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Thread t1 = new Thread((objThread) =>
            {
                Thread requestThread = objThread as Thread;

                requestThread.Abort(); // Button1_Click 메서드를 실행하는 스레드를 종료,
                                       // 원치 않게 프로세스도 함께 종료됨.
                ewh.Set();
            });

            t1.Start(currentThread);
            ewh.WaitOne();
        }
    }
}

여기서 궁금한 점이 하나 생깁니다. 그렇다면 동일하게 ThreadAbortException을 발생시키는 Response.End를 호출하는 경우에는 왜 프로세스가 종료되지 않느냐는 점입니다. 이것에는 ASP.NET 내부의 배려가 있음을 Response.End 메서드를 .NET Reflector를 이용해 소스 코드를 보면 알아낼 수 있습니다.

// HttpResponse 타입의 End 메서드
public void End()
{
    if (this._context.IsInCancellablePeriod)
    {
        AbortCurrentThread();
    }
    else
    {
        this._endRequiresObservation = true;
        if (!this._flushing)
        {
            this.Flush();
            this._ended = true;
            if (this._context.ApplicationInstance != null)
            {
                this._context.ApplicationInstance.CompleteRequest();
            }
        }
    }
}

[SecurityPermission(SecurityAction.Assert, ControlThread=true)]
private static void AbortCurrentThread()
{
    Thread.CurrentThread.Abort(new HttpApplication.CancelModuleException(false));
}

보는 바와 같이, HttpApplication.CancelModuleException 타입의 인스턴스를 넘기는 차이가 있는데 정말 이것으로 인해 비정상 종료가 되지 않는지 다음과 같은 코드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eflection;
using System.Runtime.Remoting;
using System.Threading;
using System.Web;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

        protected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read currentThread = Thread.CurrentThread;
            EventWaitHandle ewh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Thread t1 = new Thread((objThread) =>
            {
                Thread requestThread = objThread as Thread;

                Assembly asm = Assembly.GetAssembly(typeof(HttpApplication));
                ObjectHandle instance = AppDomain.CurrentDomain.CreateInstance(asm.FullName, "System.Web.HttpApplication+CancelModuleException", false, BindingFlags.Instance | BindingFlags.NonPublic, null, new object[] { false }, null, null);
                object objValue = instance.Unwrap();

                requestThread.Abort(objValue);
                ewh.Set();
            });

            try
            {
                t1.Start(currentThread);

                while (true)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ThreadID: " + AppDomain.GetCurrentThreadId());
                    Thread.Sleep(500);
                }
            } catch (Exception ex)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ex.ToString());
            }
        }
    }
}

실행해 보면, 이번에는 해당 요청을 실행하는 스레드는 ThreadAbortException과 함께 처리를 중지하지만 w3wp.exe (또는 iisexpress.exe)는 종료하지 않고 실행이 계속됩니다.

역시, 내부를 살펴보면 System.Web.HttpApplication 타입의 ExecuteStep 메서드에서 CancelModuleException 인스턴스가 설정된 ThreadAbortException 예외에 대해서는 Thread.ResetAbort를 호출함으로써 예외 전파를 중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internal Exception ExecuteStep(IExecutionStep step, ref bool completedSynchronously)
{
    Exception exception = null;
    try
    {
        try
        {
            if (step.IsCancellable)
            {
                this._context.BeginCancellablePeriod();
                try
                {
                    step.Execute();
                }
                finally
                {
                    this._context.EndCancellablePeriod();
                }
                this._context.WaitForExceptionIfCancelled();
            }
            else
            {
                step.Execute();
            }
            if (!step.CompletedSynchronously)
            {
                completedSynchronously = false;
                return null;
            }
        }
        // ...[생략]...
    }
    catch (ThreadAbortException exception4)
    {
        if ((exception4.ExceptionState != null) && (exception4.ExceptionState is CancelModuleException))
        {
            if (((CancelModuleException) exception4.ExceptionState).Timeout)
            {
                exception = new HttpException(SR.GetString("Request_timed_out"), null, 0xbb9);
                PerfCounters.IncrementCounter(AppPerfCounter.REQUESTS_TIMED_OUT);
            }
            else
            {
                exception = null;
                this._stepManager.CompleteRequest();
            }
            Thread.ResetAbort();
        }
    }
    completedSynchronously = true;
    return exception;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8/201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35정성태6/7/201823420.NET Framework: 759. C# - System.Span<T> 성능 [1]
11534정성태6/6/201829183.NET Framework: 758. C# 7.2 - Span<T> [6]
11533정성태6/5/201831743.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32정성태6/5/201821756.NET Framework: 756. JSON의 escape sequence 문자 처리 방식
11531정성태6/4/201826048오류 유형: 468. JSON.parse가 허용하지 않는 문자 [9]
11530정성태5/31/201826111.NET Framework: 755. C# 7.2 - 스택에만 생성할 수 있는 값 타입 지원 - "ref struct" [2]파일 다운로드1
11529정성태5/23/201823416.NET Framework: 754. 닷넷의 관리 포인터(Managed Pointer)와 System.TypedReference [6]파일 다운로드1
11528정성태5/17/201822940.NET Framework: 753. C# 7.2 - 3항 연산자에 ref 지원(conditional ref operator) [1]
11527정성태5/17/201820580오류 유형: 467. RDP 로그인 에러 - This could be due to CredSSP encryption oracle remediation.
11526정성태5/16/201820683.NET Framework: 752. C# 7.2 - 메서드의 반환값 및 로컬 변수에 ref readonly 기능 추가파일 다운로드1
11525정성태5/16/201824724.NET Framework: 751. C# 7.2 - 메서드의 매개 변수에 in 변경자 추가 [3]파일 다운로드1
11524정성태5/15/201823641.NET Framework: 750. C# 7.2 - readonly 구조체 [5]파일 다운로드1
11523정성태5/15/201821441.NET Framework: 749. C# - 값 형식의 readonly 인스턴스에 대한 메서드 호출 시 defensive copy 발생 [1]파일 다운로드1
11522정성태5/15/201819190개발 환경 구성: 378. Azure - VM 진단 설정 화면의 "This subscription is not registered with the Microsoft.Insights resource provider."
11521정성태5/15/201818228개발 환경 구성: 377. Azure - 원하는 성능 데이터로 모니터링 대시보드 구성
11520정성태5/12/201819751.NET Framework: 748. C# 7.1 - 참조 어셈블리(Ref Assemblies)
11519정성태5/12/201821429개발 환경 구성: 376. ASP.NET Web Application 프로젝트의 FileSystem 배포(Publish) 시 Before/After Task 설정 방법 [1]
11518정성태5/10/201819749.NET Framework: 747. C# 7.0에서도 부분적으로 가능해진 "타입 추론을 통한 튜플의 변수명 자동 지정"
11517정성태5/10/201818801.NET Framework: 746. Azure runbook 예제 - 6시간 동안 수행 중인 VM을 중지 [1]파일 다운로드1
11516정성태5/9/201818965.NET Framework: 745. Azure runbook을 PowerShell 또는 C# 코드로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15정성태5/9/201821380.NET Framework: 744. C# 6 - Expression bodied function [1]
11514정성태5/3/201819491오류 유형: 466. Bitvise - Error in component session/transport/kexHandler [2]
11513정성태5/3/201826381.NET Framework: 743. C# 언어의 공변성과 반공변성 [9]파일 다운로드2
11512정성태5/2/201818514개발 환경 구성: 375. Azure runbook 실행 시 "Errors", "All Logs"에 오류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11511정성태5/2/201820645개발 환경 구성: 374. Azure - Runbook 기능 소개
11510정성태4/30/201821745.NET Framework: 742. windbg로 확인하는 Finalizer를 가진 객체의 GC 과정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