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년에 한번 정도 인증서 서명을 하는 거라서... 어쨌든 잘 되었던 건데... 오늘따라 유독 다음과 같이 에러를 내는군요. ^^;

c:\temp>signtool sign /v /sm /n "JenniferSoft" /t http://timestamp.verisign.com/scripts/timestamp.dll c:\temp\SimpleCtl.cab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그런데, 분명히 "Certificates (Local Computer)" 영역에 아래와 같이 해당 인증서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signtool_error_no_cert_1.png

도대체 왜 저 인증서를 선택할 수 없는 걸까요?

문제 분석을 위해 /debug 인자를 주어 signtool을 실행해 보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c:\temp>signtool sign /debug /v /sm /n "JenniferSoft" /t http://timestamp.verisign.com/scripts/timestamp.dll c:\temp\SimpleCtl.cab

The following certificates were considered:
    Issued to: 00187FFEB65431D2.devicedns.live.com
    Issued by: Token Signing Public Key
    Expires:   Mon Jul 06 13:24:17 2015
    SHA1 hash: FCF06C818A92ABCD0EE43B2E26A703ED8922F3CE

    Issued to: Windows Media Player Network Sharing Service
    Issued by: Windows Media Player Network Sharing Service
    Expires:   Mon Jan 07 13:29:13 2115
    SHA1 hash: F0AA1A0CFD5C1828F546EA1938B17A30883F0F09

    Issued to: NVIDIA GameStream Server
    Issued by: NVIDIA GameStream Server
    Expires:   Tue Aug 01 16:50:41 2034
    SHA1 hash: DFF09CEEF603B5C546C4DFC796283AD82E6C55E7

    Issued to: localhost
    Issued by: localhost
    Expires:   Thu Nov 30 09:00:00 2017
    SHA1 hash: 51A836E02847FC99FAA9482F146B159FC2AD7248

    Issued to: JenniferSoft
    Issued by: Symantec Class 3 SHA256 Code Signing CA
    Expires:   Tue May 02 08:59:59 2017
    SHA1 hash: 1916192451A238F95F52D6A04B620EDF0EEFDF33

After EKU filter, 2 certs were left.
After expiry filter, 2 certs were left.
After Subject Name filter, 1 certs were left.
After Private Key filter, 0 certs were left.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그림에서 봤던 00187FFEB65431D2.devicedns.live.com, Windows Media Player Network Sharing Service, NVIDIA GameStream Server, localhost, JenniferSoft 인증서들이 나열된 것을 보니 "Certificates (Local Computer)" 영역을 검색한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EKU 조건, expiry, Subject Name 조건까지 만족하는 인증서가 1개 있었는데 결정적으로 "Private Key" 조건을 만족하는 인증서가 없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더더욱 이상하군요. 해당 인증서는 분명히 개인키를 갖고 있음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igntool_error_no_cert_2.png

혹시나 싶어, 마우스 우클릭을 해 다음과 같이 "Manage Private Keys..." 메뉴를 선택해 보았는데,

signtool_error_no_cert_3.png

이와 같이 권한 목록이 나왔습니다.

signtool_error_no_cert_4.png

즉, SYSTEM, Administrators에게 권한이 있고 "Logon SessionId..."라는 계정이 있지만 분명한 것은 현재 로그인 계정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테스트를 위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cmd.exe"에서 signtool 명령을 내리니 정상적으로 서명이 되었습니다.

그렇군요. 따라서, 현재 로그인 계정을 명시적으로 추가하고 "Read" 권한만 주는 것으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5정성태1/23/201421203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520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603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811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425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4077.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191.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513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4109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3045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0042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189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816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1108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278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940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884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672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579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297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192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496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498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960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306.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331.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