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년에 한번 정도 인증서 서명을 하는 거라서... 어쨌든 잘 되었던 건데... 오늘따라 유독 다음과 같이 에러를 내는군요. ^^;

c:\temp>signtool sign /v /sm /n "JenniferSoft" /t http://timestamp.verisign.com/scripts/timestamp.dll c:\temp\SimpleCtl.cab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그런데, 분명히 "Certificates (Local Computer)" 영역에 아래와 같이 해당 인증서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signtool_error_no_cert_1.png

도대체 왜 저 인증서를 선택할 수 없는 걸까요?

문제 분석을 위해 /debug 인자를 주어 signtool을 실행해 보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c:\temp>signtool sign /debug /v /sm /n "JenniferSoft" /t http://timestamp.verisign.com/scripts/timestamp.dll c:\temp\SimpleCtl.cab

The following certificates were considered:
    Issued to: 00187FFEB65431D2.devicedns.live.com
    Issued by: Token Signing Public Key
    Expires:   Mon Jul 06 13:24:17 2015
    SHA1 hash: FCF06C818A92ABCD0EE43B2E26A703ED8922F3CE

    Issued to: Windows Media Player Network Sharing Service
    Issued by: Windows Media Player Network Sharing Service
    Expires:   Mon Jan 07 13:29:13 2115
    SHA1 hash: F0AA1A0CFD5C1828F546EA1938B17A30883F0F09

    Issued to: NVIDIA GameStream Server
    Issued by: NVIDIA GameStream Server
    Expires:   Tue Aug 01 16:50:41 2034
    SHA1 hash: DFF09CEEF603B5C546C4DFC796283AD82E6C55E7

    Issued to: localhost
    Issued by: localhost
    Expires:   Thu Nov 30 09:00:00 2017
    SHA1 hash: 51A836E02847FC99FAA9482F146B159FC2AD7248

    Issued to: JenniferSoft
    Issued by: Symantec Class 3 SHA256 Code Signing CA
    Expires:   Tue May 02 08:59:59 2017
    SHA1 hash: 1916192451A238F95F52D6A04B620EDF0EEFDF33

After EKU filter, 2 certs were left.
After expiry filter, 2 certs were left.
After Subject Name filter, 1 certs were left.
After Private Key filter, 0 certs were left.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그림에서 봤던 00187FFEB65431D2.devicedns.live.com, Windows Media Player Network Sharing Service, NVIDIA GameStream Server, localhost, JenniferSoft 인증서들이 나열된 것을 보니 "Certificates (Local Computer)" 영역을 검색한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EKU 조건, expiry, Subject Name 조건까지 만족하는 인증서가 1개 있었는데 결정적으로 "Private Key" 조건을 만족하는 인증서가 없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더더욱 이상하군요. 해당 인증서는 분명히 개인키를 갖고 있음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igntool_error_no_cert_2.png

혹시나 싶어, 마우스 우클릭을 해 다음과 같이 "Manage Private Keys..." 메뉴를 선택해 보았는데,

signtool_error_no_cert_3.png

이와 같이 권한 목록이 나왔습니다.

signtool_error_no_cert_4.png

즉, SYSTEM, Administrators에게 권한이 있고 "Logon SessionId..."라는 계정이 있지만 분명한 것은 현재 로그인 계정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테스트를 위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cmd.exe"에서 signtool 명령을 내리니 정상적으로 서명이 되었습니다.

그렇군요. 따라서, 현재 로그인 계정을 명시적으로 추가하고 "Read" 권한만 주는 것으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37정성태6/20/202017771.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12236정성태6/19/202018515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12235정성태6/19/202017625오류 유형: 620.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12234정성태6/19/202017013개발 환경 구성: 49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12233정성태6/19/202017599오류 유형: 619.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 두 번째 이야기
12232정성태6/19/202016233오류 유형: 618. SharePoint - StoreBusyRetryLater 오류
12231정성태6/15/202019513.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12230정성태6/15/202018364오류 유형: 617. IMetaDataImport::GetMethodProps가 반환하는 IL 코드 주소(RVA) 문제
12229정성태6/13/202020272.NET Framework: 910.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 Mouse 가상 장치 만들기 [1]
12228정성태6/12/202019599.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7정성태6/12/202023535오류 유형: 616. Visual Studio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대한 원인 분석 [5]
12226정성태6/11/202021609개발 환경 구성: 493. OpenVPN의 네트워크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225정성태6/11/202019542개발 환경 구성: 492.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클라이언트 측 구성
12224정성태6/11/202028248개발 환경 구성: 491.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서버 측 구성 [1]
12223정성태6/9/202023964.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파일 다운로드2
12222정성태6/3/202017442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12221정성태6/3/202017215Windows: 170.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
12220정성태6/3/202020976.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12219정성태6/1/202019812.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2218정성태5/27/202019160.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
12217정성태5/24/202017248오류 유형: 615. Transaction count after EXECUTE indicates a mismatching number of BEGIN and COMMIT statements. Previous count = 0, current count = 1.
12216정성태5/15/202020801.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14]파일 다운로드1
12215정성태5/12/202026756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10]파일 다운로드1
12214정성태5/5/202018440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1]
12213정성태5/3/202019566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12212정성태5/1/202016777개발 환경 구성: 487.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