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Entity Framework 4.1 - CodeFirst 개체의 직렬화 시 순환 참조 해결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지난번 이야기에서 언급했던,

Entity Framework 4.1 - CodeFirst 개체의 직렬화 시 순환 참조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86

순환 참조를 해결하는 두 번째 방법을 살펴볼 텐데요. 혹시 이에 대한 힌트가 지난번 오류 메시지에서 약간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을 눈치채신 분이 계실까요? ^^

System.Runtime.Serialization.SerializationException: Object graph for type 'System.Collections.Generic.HashSet`1[[SubEntity, App_Code.xdcj8jsd, Version=0.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contains cycles and cannot be serialized if reference tracking is disabled.


결국 "reference tracking" 옵션을 활성화시키면 된다는 이야기인데요. 즉, WCF 서비스의 출력으로 사용되는 DataContractSerializer에 "reference tracking" 옵션을 켜두고 그것을 지정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검색해 보면, 다행히 그 방법이 설명된 글들이 나옵니다.

Preserving Object Reference in WCF
; http://blogs.msdn.com/b/sowmy/archive/2006/03/26/561188.aspx

Specifying Data Transfer in Service Contracts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wcf/feature-details/specifying-data-transfer-in-service-contracts

순서를 나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svc의 Factory 재정의
  2. ServiceHostFactory에 사용자 정의 ServiceHost 설정
  3. ServiceHost의 OnOpening 메서드를 재정의해서 사용자 정의 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 설정
  4. 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의 CreateSerializer 메서드를 재정의해서 "reference tracking"이 가능한 DataContractSerializer 설정

뭐... 약간은 복잡하긴 하지만, 그래도 할만한 수준입니다. ^^ 지난번 글에서 문제가 되었던 소스 코드로부터 위의 순서를 그대로 적용해 보겠습니다.

우선 Service.svc 파일을 열어서 다음과 같이 ServiceFactory를 지정합니다. (주의: Web Site 모델의 경우, 네임스페이스가 생략되므로 아래와 같이 클래스 명만 지정하면 되지만, Web Application Project의 경우에는 필히 네임스페이스를 같이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 @ServiceHost Language=C# Debug="true" Service="MyService" 
Factory="CustomServiceFactory" CodeBehind="~/App_Code/Service.cs" %>

Factory를 지정했으니, 그 이름에 맞게 클래스 파일을 하나 생성하고 다음과 같이 CreateServiceHost 메서드를 재정의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Web;
using System.ServiceModel.Activation;

public class CustomServiceFactory : ServiceHostFactory
{
    protected override System.ServiceModel.ServiceHost CreateServiceHost(Type serviceType, Uri[] baseAddresses)
    {
        return new CustomServiceHost(serviceType, baseAddresses);
    }
}

이어서, CustomServiceHost 클래스 파일을 생성하고 OnOpeneing 메서드를 재정의 해줍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Web;
using System.ServiceModel;

public class CustomServiceHost : ServiceHost
{
    public CustomServiceHost(object singletonInstance, params Uri[] baseAddresses) : base(singletonInstance, baseAddresses) { }

    public CustomServiceHost(Type serviceType, params Uri[] baseAddresses) : base(serviceType, baseAddresses) { }

    protected override void OnOpened()
    {
        base.OnOpened();
    }

    protected override void OnOpening()
    {
        base.OnOpening();
        AddBehavior();
    }
}

AddBehavior에서는 개별 WCF 메서드에 새로운 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를 설정해 주면 되는데요. 이에 대해서는 위에서 제가 소개한 "Preserving Object Reference in WCF" 글에 포함된 소스 코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현해 줄 수 있습니다. (사실, 이 코드에는 문제가 있지만 나중에 지적하겠습니다.)

void AddBehavior()
{
    if (base.Description != null)
    {
        foreach (ServiceEndpoint ep in this.Description.Endpoints)
        {
            foreach (OperationDescription op in ep.Contract.Operations)
            {
                op.Behaviors.Add(new ReferencePreserving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op));
            }
        }
    }
}

거의 다 왔군요. 마지막으로 ReferencePreserving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 클래스 파일을 만들고 아래와 같이 CreateSerializer 메서드를 재정의해주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Web;
using System.ServiceModel.Description;
using System.Runtime.Serialization;
using System.Xml;

public class ReferencePreserving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 : 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
{
    public ReferencePreserving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OperationDescription operationDescription)
        : base(operationDescription)
    {
    }

    public override XmlObjectSerializer CreateSerializer(
      Type type, string name, string ns, IList<Type> knownTypes)
    {
        return CreateDataContractSerializer(type, name, ns, knownTypes);
    }

    private static XmlObjectSerializer CreateDataContractSerializer(
      Type type, string name, string ns, IList<Type> knownTypes)
    {
        return CreateDataContractSerializer(type, name, ns, knownTypes);
    }

    public override XmlObjectSerializer CreateSerializer(Type type, XmlDictionaryString name, XmlDictionaryString ns, IList<Type> knownTypes)
    {
        return new DataContractSerializer(type, name, ns, knownTypes,
            0x7FFF /*maxItemsInObjectGraph*/,
            false/*ignoreExtensionDataObject*/,
            true/*preserveObjectReferences*/,
            null/*dataContractSurrogate*/);
    }
}

이걸로 일단 구현은 끝입니다. 빌드하고 실행해 보면, 결과는 어떨까요? ^^

아쉽게도 여전히 오류가 발생합니다. 문제를 추적해 보면, AddBehavior 메서드의 Description.Endpoints 루프가 실행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oid AddBehavior()
{
    if (base.Description != null)
    {
        foreach (ServiceEndpoint ep in this.Description.Endpoints)
        {
            System.Diagnostics.Debug.WriteLine("실행되지 않음!!!");

            foreach (OperationDescription op in ep.Contract.Operations)
            {
                op.Behaviors.Add(new ReferencePreserving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op));
            }
        }
    }
}

왜냐하면, 이렇게 .svc 파일의 ServiceFactory를 재정의해서 Endpoints를 열람하려면 web.config에서 명시적으로 endpoint 노드를 지정해 주어야만 열람이 되기 때문입니다.

<system.serviceModel>
    <services>
        <service name="MyService">
            <endpoint contract="IMyService" binding="basicHttpBinding"/>
        </service>
    </services>
    
    <behaviors>
        <serviceBehaviors>
            <behavior name="">
                <serviceDebug includeExceptionDetailInFaults="true"/>
                <serviceMetadata httpGetEnabled="true"/>
            </behavior>
        </serviceBehaviors>
    </behaviors>
</system.serviceModel>

다시 테스트를 해볼까요? 하지만, 그래도 오류가 발생할 것입니다. 다행히 오류 메시지를 살펴보면 문제의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An ExceptionDetail, likely created by IncludeExceptionDetailInFaults=true, whose value is: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An exception was thrown in a call to a WSDL export extension: ReferencePreserving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
 contract: http://tempuri.org/:IMyService ----> System.ArgumentException: Calling IWsdlExportExtension.ExportContract twice with the same ContractDescription is not supported.
   at System.ServiceModel.Description.MessageContractExporter.CreateMessage(MessageDescription message, Int32 messageIndex, Message& wsdlMessage)
   at System.ServiceModel.Description.MessageContractExporter.ExportMessage(Int32 messageIndex, Object state)
   at System.ServiceModel.Description.MessageContractExporter.ExportMessageContract()
   at System.ServiceModel.Description.WsdlExporter.CallExtension(WsdlContractConversionContext contractContext, IWsdlExportExtension extension)
   --- End of inner ExceptionDetail stack trace ---

말 그대로, 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가 2개 이상 설정되었다는 것!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모든 WCF 메서드에 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가 존재하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사실상 AddBehavior 코드가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야만 합니다.

void AddBehavior()
{
    if (base.Description != null)
    {
        foreach (ServiceEndpoint ep in this.Description.Endpoints)
        {
            foreach (OperationDescription op in ep.Contract.Operations)
            {
                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 dataContractBehavior =
                    op.Behaviors.Find<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 as 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

                if (dataContractBehavior != null)
                {
                    op.Behaviors.Remove(dataContractBehavior);
                }

                op.Behaviors.Add(new ReferencePreservingDataContractSerializerOperationBehavior(op));
            }
        }
    }
}

이제 정말 끝난 걸까요? ^^ 넵. 이것으로 모든 오류 수정이 끝났고, 이제 GetMyEntities WCF 메서드를 호출해도 정상적으로 동작을 합니다.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05정성태9/1/202011693Windows: 172. "Administered port exclusions"이 아닌 포트 범위 항목을 삭제하는 방법
12304정성태8/31/202010625개발 환경 구성: 505. 윈도우 - (네트워크 어댑터의 우선순위로 인한) 열거되는 IP 주소 순서를 조정하는 방법
12303정성태8/30/202010807개발 환경 구성: 504. ETW - 닷넷 프레임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행 도구 etrace 소개
12302정성태8/30/202010657.NET Framework: 936.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5) - Private Logger파일 다운로드1
12301정성태8/30/202010990오류 유형: 641. error MSB4044: The "Fody.WeavingTask" task was not given a value for the required parameter "IntermediateDir".
12300정성태8/29/202010451.NET Framework: 935.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4) CLR ETW Consumer파일 다운로드1
12299정성태8/27/202011276.NET Framework: 934.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3) ETW Consumer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298정성태8/27/202010997오류 유형: 640. livekd - Could not resolve symbols for ntoskrnl.exe: MmPfnDatabase
12297정성태8/25/202010275개발 환경 구성: 503. SHA256 테스트 인증서 생성 방법
12296정성태8/24/202010685.NET Framework: 933.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2) NT Kernel Logger파일 다운로드1
12295정성태8/24/202010124오류 유형: 639. Bitvise - Address is already in use; bind() in ListeningSocket::StartListening() failed: Windows error 10013: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
12293정성태8/24/202011439Windows: 171. "Administered port exclusions" 설명
12292정성태8/20/202012745.NET Framework: 932.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1)파일 다운로드2
12291정성태8/15/202011662오류 유형: 638. error 1297: Device driver does not install on any devices, use primitive driver if this is intended.
12290정성태8/11/202012363.NET Framework: 931. C# - IP 주소에 따른 국가별 위치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2289정성태8/6/20209725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12288정성태8/5/20209862오류 유형: 637. WCF - The protocol 'net.tcp' does not have an implementation of HostedTransportConfiguration type registered.
12287정성태8/5/202010368오류 유형: 636. C# - libdl.so를 DllImport로 연결 시 docker container 내에서 System.Dll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2286정성태8/5/202011122개발 환경 구성: 501. .NET Core 용 container 이미지 만들 때 unzip이 필요한 경우
12285정성태8/4/202011558오류 유형: 635. 윈도우 10 업데이트 - 0xc1900209 [2]
12284정성태8/4/202010782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12283정성태8/3/202011267디버깅 기술: 168. windbg - 필터 드라이버 확인하는 확장 명령어(!fltkd) [2]
12282정성태8/2/20209935디버깅 기술: 167. windbg 디버깅 사례: AppDomain 간의 static 변수 사용으로 인한 crash (2)
12281정성태8/2/202012550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12280정성태8/2/202011745오류 유형: 634. 오라클 (평생) 무료 클라우드 VM 생성 후 SSH 접속 시 키 오류 발생 [2]
12279정성태7/29/202012640개발 환경 구성: 499.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InterSystems의 Cache 데이터베이스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