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kernel32.dll, kernel32legacy.dll, api-ms-win-core-sysinfo-l1-2-0.dll

재미있는 글이 있어서 소개해드립니다. ^^

Windows 10, UWP and PInvoke - GetNativeSystemInfo
; http://mtaulty.com/2016/01/11/windows-10-uwp-and-pinvoke-getnativesysteminfo/

윈도우 10이 Phone, Tablet, Desktop, XBox, IoT 환경을 아우르는 바람에 전통적인 kernel32.dll도 그 역할을 신세대에게 그 자리를 내어주는 듯합니다. ^^

일례로 Desktop 버전의 윈도우 10은 kernel32.dll이 정상적으로 구현되어 있지만, 윈도우 폰용 윈도우 10에는 kernel32.dll 자체가 없고 대신 Kernel32Legacy.dll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kernel32.dll에 구현되어 있던 GetNativeSystemInfo Win32 API가 Kernel32Legacy.dll에는 없다고!

대신, 2개의 윈도우 10 버전 모두 api-ms-win-core-sysinfo-l1-2-0.dll을 가지고 있으며 그 DLL에는 공통적으로 GetNativeSystemInfo API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Win32 API를 UWP 앱에서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kernel32.dll을 연결하지 말고,

[DllImport("kernel32.dll")]
static extern void GetNativeSystemInfo(ref SYSTEM_INFO lpSystemInfo);

api-ms-win-core-sysinfo-l1-2-0.dll을 연결하는 것이 더 권장되는 것입니다.

[DllImport("api-ms-win-core-sysinfo-l1-2-0.dll")]
static extern void GetNativeSystemInfo(ref SYSTEM_INFO lpSystemInfo);

윈도우 프로그래밍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던 kernel32.dll에게 이런 날이 올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6-07-15 02시47분
자세한 설명이 다음의 글에 있습니다.

Windows 7 Kernel Architecture Changes - api-ms-win-core files
; http://www.nirsoft.net/articles/windows_7_kernel_architecture_changes.html

정리하면, 예를 들어 CreateFile이라는 Win32 API를 호출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럼, 모든 윈도우의 버전에서 kernel32.dll이라는 동일한 파일을 제공해야 하고 그 안에 CreateFile을 만들어야 합니다. 운영체제 임의로 특정 API를 다른 DLL로 분리하거나 하는 등의 변화를 전혀 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 문제를 api-ms-win-core... 류의 dll로 해결합니다. 응용 프로그램은 api-ms-win-core...로 링크하고 운영체제는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시점에 필요한 함수로의 자유로운 연결 과정을 해주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윈도우 폰은 kernel32.dll을 뺄 수 있었고 대신 kernel32legacy.dll만 넣어둘 수 있었던 것입니다. 또한 본문에서 api-ms-win-core-sysInfo-l1-2-0.dll로의 링크를 통해 GetNativeSystemInfo API를 호출했다고 하는데, 그것은 해당 운영체제가 실행 시에 연결해 준 것입니다. 즉 구현은 윈도우 폰 운영체제에 설치된 또 다른 DLL에 있었다는 것.

다음의 글도 도움이 됩니다.

On API-MS-WIN-XXXXX.DLL, and Other Dependency Walker Glitches
; https://ofekshilon.com/2016/03/27/on-api-ms-win-xxxxx-dll-and-other-dependency-walker-glitches/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62정성태11/15/202215725.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1]
13161정성태11/14/202214405.NET Framework: 2068. C# - PublishSingleFile로 배포한 이미지의 역어셈블 가능 여부 (난독화 필요성) [4]
13160정성태11/11/202214353.NET Framework: 2067. C# - PublishSingleFile 적용 시 native/managed 모듈 통합 옵션
13159정성태11/10/202217671.NET Framework: 2066. C# - PublishSingleFile과 관련된 옵션 [3]
13158정성태11/9/202213366오류 유형: 826. Workload definition 'wasm-tools' in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 [...] conflicts with manifest 'microsoft.net.workload.mono.toolchain.net7'
13157정성태11/8/202214388.NET Framework: 2065. C# - Mutex의 비동기 버전파일 다운로드1
13156정성태11/7/202215986.NET Framework: 2064. C# - Mutex와 Semaphore/SemaphoreSlim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155정성태11/4/202214234디버깅 기술: 183. TCP 동시 접속 (연결이 아닌) 시도를 1개로 제한한 서버
13154정성태11/3/202214717.NET Framework: 2063. .NET 5+부터 지원되는 GC.GetGCMemoryInfo파일 다운로드1
13153정성태11/2/202216028.NET Framework: 2062. C# -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SYN_SENT, SYN_RECV)
13152정성태11/1/202214939.NET Framework: 2061. ASP.NET Core - DI로 추가한 클래스의 초기화 방법 [1]
13151정성태10/31/202214393C/C++: 161. Windows 11 환경에서 raw socket 테스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50정성태10/30/202213279C/C++: 160. Visual Studio 2022로 빌드한 C++ 프로그램을 위한 다른 PC에서 실행하는 방법
13149정성태10/27/202213850오류 유형: 825. C# - CLR ETW 이벤트 수신이 GCHeapStats_V1/V2에 대해 안 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148정성태10/26/202213799오류 유형: 82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net5.0'. Ensure that restore has run and that you have included 'net5.0' in the TargetFramew
13147정성태10/25/202213064오류 유형: 823. Visual Studio 2022 - Unable to attach to CoreCLR. The debugger's protocol is incompatible with the debuggee.
13146정성태10/24/202214363.NET Framework: 2060. C# - Java의 Xmx와 유사한 힙 메모리 최댓값 제어 옵션 HeapHardLimit
13145정성태10/21/202214993오류 유형: 822. db2 - Password validation for user db2inst1 failed with rc = -2146500508
13144정성태10/20/202214686.NET Framework: 2059. ClrMD를 이용해 윈도우 환경의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43정성태10/19/202215624오류 유형: 821. windbg/sos - Error code - 0x000021BE
13142정성태10/18/202220430도서: 시작하세요! C# 12 프로그래밍
13141정성태10/17/202216158.NET Framework: 205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세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140정성태10/11/202215560C/C++: 159. C/C++ - 리눅스 환경에서 u16string 문자열을 출력하는 방법 [2]
13139정성태10/9/202213656.NET Framework: 2057.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모든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138정성태10/8/202216257.NET Framework: 2056. C# - await 비동기 호출을 기대한 메서드가 동기로 호출되었을 때의 부작용 [1]
13137정성태10/8/202214173.NET Framework: 2055. 리눅스 환경의 .NET Core 3/5+ 메모리 덤프로부터 닷넷 모듈을 추출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