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왜? Button 컨트롤에는 MouseDown/MouseUp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마침, 질문해 주신 분도 있고 ^^

Mouse이벤트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 https://www.sysnet.pe.kr/3/0/983

오랜만에 WPF에 대한 감각도 되찾을 겸 ^^ 살펴보았답니다.

질문의 요지는, WPF의 "Button" 컨트롤에 MouseDown/MouseUp 이벤트를 걸어두었는데, 왜? 발생하지 않느냐는 것입니다.

다소 허무하긴 하지만, 검색해 보니 ^^ 금방 답이 나오더군요.

MouseDown event not working WPF
; http://social.msdn.microsoft.com/Forums/eu/wpf/thread/61807025-d4c4-41e0-b648-b11183065009

Here MouseDown is a bubbling event so it will be fired only when it won't be handled at child level.
 
To capture the same you need to use PreviewMouseDown event which is a tunneling event.
 
OR
 
Paste below line in constructor of Window1 class:
 
InitializeComponent();
AddHandler(FrameworkElement.MouseDownEvent, new MouseButtonEventHandler(Button_MouseDown), true);

WPF의 이벤트 순서는 다음의 글에서 잘 설명했듯이,

WPF Input Events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desktop/wpf/advanced/routed-events-overview#how_event_processing_works

제일 바깥쪽의 요소에서부터 안쪽으로 Preview... 유의 이벤트가 발생한 다음, 다시 반대로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Preview가 없는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전자의 경우를 Tunneling이라고 하고, 후자의 경우를 Bubbling이라고 합니다. (이 외에, MouseEnter/Leave처럼 다른 요소로 전파되지 않는 Direct 유형이 있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Bubbling 이벤트의 경우 해당 요소에서 "처리되었다는 표시"를 하면 더 이상 이벤트 전달을 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그런지 예제 코드를 한번 구성해 보겠습니다. 우선, WPF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TestElement라는 WPF UserControl을 하나 추가한 후 빌드를 합니다. 그럼, 도구 상자에 빌드된 "TestElement" 사용자 컨트롤이 추가되고 드래그 & 드롭으로 윈도우에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mouse_updown_event_1.png

<Window x:Class="WpfApplication1.MainWindow"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Title="MainWindow" Height="168" Width="297" xmlns:my="clr-namespace:WpfApplication1">
    <Grid>
        <my:TestElement Margin="31,23,156,0" x:Name="testElement1" VerticalAlignment="Top" Height="84" MouseDown="testElement1_MouseDown" />
    </Grid>
</Window>

위에 보시면, MouseDown 이벤트도 같이 걸어두었는데요. MainWindow.xaml.cs에서는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이벤트 핸들러를 작성해 줍니다.

public partial class MainWindow : Window
{
    public MainWindow()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testElement1_MouseDown(object sender, MouseButtonEventArgs e)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testElement1_MouseDown");
    }
}

여기까지 작성하고 실행한 후, TestElement 영역에서 마우스를 클릭하면 정상적으로 MouseDown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Debug Output 창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그럼 Bubbling을 막아볼까요?

<UserControl x:Class="WpfApplication1.TestElement"
             xmlns="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presentation"
             xmlns:x="http://schemas.microsoft.com/winfx/2006/xaml"
             xmlns:mc="http://schemas.openxmlformats.org/markup-compatibility/2006" 
             xmlns:d="http://schemas.microsoft.com/expression/blend/2008" 
             mc:Ignorable="d" 
             Background="Blue"
             MouseDown="UserControl_MouseDown"
             d:DesignHeight="300" d:DesignWidth="300">
    <Grid>
        <TextBlock Text="test" />
    </Grid>
</UserControl>

public partial class TestElement : UserControl
{
    public TestElement()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UserControl_MouseDown(object sender, MouseButtonEventArgs e)
    {
        e.Handled = true;
    }
}

이렇게 해주고 나면, MainWindow에서 걸어두었던 MouseDown 이벤트 핸들러는 더 이상 동작하지 않습니다. 즉, Button의 MouseDown/Up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버튼의 특성이 아니라, 위와 같이 '마우스 이벤트를 처리했다'라고 표시해두기 때문에 일어난 상황입니다.

참고로, MouseLeftButtonDown이 MouseDown 이전에 발생하며 LeftButtonDown을 "e.Handled = true" 처리하는 경우 MouseDown도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군요. ^^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22정성태9/2/20246060C/C++: 169. C/C++ - CRT(C Runtime) 함수에 의존성이 없는 프로젝트 생성
13721정성태8/30/20246077C/C++: 168. Visual C++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 두 번째 이야기
13720정성태8/29/20246255VS.NET IDE: 193. C# - Visual Studio의 자식 프로세스 디버깅
13719정성태8/28/20246412Linux: 79. C++ - pthread_mutexattr_destroy가 없다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할까요?
13718정성태8/27/20247509오류 유형: 921. Visual C++ -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float.h': No such file or directory [2]
13717정성태8/26/20247122VS.NET IDE: 192. Visual Studio 2022 - Windows XP / 2003용 C/C++ 프로젝트 빌드
13716정성태8/21/20246810C/C++: 167. Visual C++ - 윈도우 환경에서 _execv 동작 [1]
13715정성태8/19/20247469Linux: 78. 리눅스 C/C++ - 특정 버전의 glibc 빌드 (docker-glibc-builder)
13714정성태8/19/20246807닷넷: 2295. C# 12 - 기본 생성자(Primary constructors) (책 오타 수정) [3]
13713정성태8/16/20247583개발 환경 구성: 721. WSL 2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13712정성태8/14/20247274개발 환경 구성: 720. Synology NAS - docker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13711정성태8/13/20248109Linux: 77. C# / Linux - zombie process (defunct process) [1]파일 다운로드1
13710정성태8/8/20248062닷넷: 2294. C# 13 - (6) iterator 또는 비동기 메서드에서 ref와 unsafe 사용을 부분적으로 허용파일 다운로드1
13709정성태8/7/20247790닷넷: 2293. C# - safe/unsafe 문맥에 대한 C# 13의 (하위 호환을 깨는) 변화파일 다운로드1
13708정성태8/7/20247618개발 환경 구성: 719. ffmpeg / YoutubeExplode - mp4 동영상 파일로부터 Audio 파일 추출
13707정성태8/6/20247830닷넷: 2292. C# - 자식 프로세스의 출력이 4,096보다 많은 경우 Process.WaitForExit 호출 시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1
13706정성태8/5/20247951개발 환경 구성: 718. Hyper-V - 리눅스 VM에 새로운 디스크 추가
13705정성태8/4/20248200닷넷: 2291. C# 13 - (5) params 인자 타입으로 컬렉션 허용 [2]파일 다운로드1
13704정성태8/2/20248194닷넷: 2290. C# - 간이 dotnet-dump 프로그램 만들기파일 다운로드1
13703정성태8/1/20247497닷넷: 2289. "dotnet-dump ps" 명령어가 닷넷 프로세스를 찾는 방법
13702정성태7/31/20247928닷넷: 2288. Collection 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정의 타입을 CollectionBuilder 특성으로 성능 보완파일 다운로드1
13701정성태7/30/20248214닷넷: 2287. C# 13 - (4) Indexer를 이용한 개체 초기화 구문에서 System.Index 연산자 허용파일 다운로드1
13700정성태7/29/20247862디버깅 기술: 200. DLL Export/Import의 Hint 의미
13699정성태7/27/20248336닷넷: 2286. C# 13 - (3) Monitor를 대체할 Lock 타입파일 다운로드1
13698정성태7/27/20248250닷넷: 2285. C# - async 메서드에서의 System.Threading.Lock 잠금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7정성태7/26/20247957닷넷: 2284. C# - async 메서드에서의 lock/Monitor.Enter/Exit 잠금 처리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