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정확히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쌓이고 있지요.

이벤트 형식: 오류
이벤트 원본: DCOM
이벤트 범주: 없음
이벤트 ID: 10002
날짜: 2005-02-21
시간: 오후 8:14:18
사용자: NT AUTHORITY\ANONYMOUS LOGON
컴퓨터: THEMOST
설명:
DCOM 서버를 시작하려는 데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서버: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사용자 ANONYMOUS LOGON/NT AUTHORITY, SID=S-1-5-7.

자세한 정보는 http://go.microsoft.com/fwlink/events.asp에 있는 도움말 및
지원 센터를 참조하십시오.

현재로서는 해당 요청들이 왜 들어오는지에 대해서는 저도 잘은 모릅니다. 단지, 어쨌든 WORD 개체를 시작하려고 하는 시도가 발생하지만, 보안 권한이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오류보고가 쌓이고 있는 것인데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로그가 쌓이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
** Windows 2003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다른 OS 에서는 해당 프로그램의 문맥을 잘 살펴보시면 아래와 동일하게 설명하실 수 있습니다.

'구성요소 서비스' MMC 관리자에서
구성요소 서비스 / 컴퓨터 / 내컴퓨터 / DCOM 구성에서 "Microsoft Word 문서" 노드를 찾으세요.
그것의 속성메뉴에서 "보안" 탭을 누르세요... 이제부턴, 이벤트 로그에 명시된 데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1. 시작권한 을 "사용자 지정" 으로 돌리고. "편집" 버튼을 누른다.
2. "ANONYMOUS LOGON" 계정을 추가한다.

위와 같이 해주시면, 해당 오류 이벤트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겁니다.

왠지... "DCOM" 개체의 시작 권한을 ANONYMOUS 에게도 주는 것이 찜찜하긴 하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Word 가 굳이 DCOM 서버로 있어야 할 필요가 없는데요. 그렇다면 지워주는 것이 가장 좋겠는데... 그것도 찜찜하긴 하네요. ^^;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4/200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11정성태10/2/201823162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11710정성태10/2/201822065.NET Framework: 794. C# - 같은 모양, 다른 값의 한글 자음을 비교하는 호환 분해 [5]
11709정성태9/30/201820446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1]
11708정성태9/30/201822678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2]파일 다운로드1
11707정성태9/30/201823975오류 유형: 489. ASP.NET Core를 docker에서 실행 시 "Failed with a critical error." 오류 발생 [1]
11706정성태9/29/201820130개발 환경 구성: 400. Synology NAS(DS216+II)에서 실행한 gcc의 Segmentation fault [2]
11705정성태9/29/201820973개발 환경 구성: 399. Synology NAS(DS216+II)에 gcc 컴파일러 설치
11704정성태9/29/201824984기타: 73. Synology NAS 신호음(beep) 끄기 [1]파일 다운로드1
11703정성태9/27/201819747개발 환경 구성: 398. Blazor 환경 구성 후 빌드 속도가 너무 느리다면? [2]
11702정성태9/26/201816958사물인터넷: 44. 넷두이노(Netduino)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11701정성태9/26/201822690개발 환경 구성: 397. 공유기를 일반 허브로 활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00정성태9/21/201820747Graphics: 25. Unity - shader의 직교 투영(Orthographic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9정성태9/21/201819230오류 유형: 488. Add-AzureAccount 실행 시 "No subscrip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logged in account in Azure Service Management (RDFE)." 오류
11698정성태9/21/201820574오류 유형: 487. 윈도우 성능 데이터를 원격 SQL에 저장하는 경우 "Call to SQLAllocConnect failed with %1." 오류 발생
11697정성태9/20/201819433Graphics: 24. Unity - unity_CameraWorldClipPlanes 내장 변수 의미
11696정성태9/19/201820336.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695정성태9/19/201825505Graphics: 23. Unity - shader의 원근 투영(Perspective projection) 행렬(UNITY_MATRIX_P)을 수작업으로 구성
11694정성태9/17/201819718오류 유형: 486. nuget push 호출 시 405 Method Not Allowed 오류 발생
11693정성태9/16/201822879VS.NET IDE: 128. Unity - shader 코드 디버깅 방법
11692정성태9/13/201823173Graphics: 22. Unity - shader의 Camera matrix(UNITY_MATRIX_V)를 수작업으로 구성
11691정성태9/13/201820108VS.NET IDE: 127. Visual C++ / x64 환경에서 inline-assembly를 매크로 어셈블리로 대체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690정성태9/13/201823087사물인터넷: 43. 555 타이머의 단안정 모드파일 다운로드1
11689정성태9/13/201822364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11688정성태9/11/201817718오류 유형: 485.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11687정성태9/11/201819600사물인터넷: 42. 사물인터넷 - 트랜지스터 다중 전압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1686정성태9/8/201818688사물인터넷: 41. 다중 전원의 소스를 가진 회로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