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관리 코드에서 IMetaDataDispenserEx, IMetaDataImport 관련 인터페이스를 얻는 방법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잘 나와 있습니다.

Introduction to CLR metadata
; https://iobservable.net/blog/2013/05/12/introduction-to-clr-metadata/

전체 소스 코드를 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ComTypes;

namespace ConsoleApplication1
{
    [ComImport, GuidAttribute("E5CB7A31-7512-11D2-89CE-0080C792E5D8")]
    class CorMetaDataDispenserExClass
    {
    }

    [ComImport, GuidAttribute("31BCFCE2-DAFB-11D2-9F81-00C04F79A0A3"),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IUnknown)]
    interface IMetaDataDispenserEx
    {
        uint DefineScope(ref Guid rclsid, uint dwCreateFlags, ref Guid riid, out object ppIUnk);

        uint OpenScope(string szScope, uint dwOpenFlags, ref Guid riid, out object ppIUnk);

        uint OpenScopeOnMemory(IntPtr pData, uint cbData, uint dwOpenFlags, ref Guid riid, out object ppIUnk);

        uint SetOption(ref Guid optionid, object value);

        uint GetOption(ref Guid optionid, out object pvalue);

        uint OpenScopeOnITypeInfo(ITypeInfo pITI, uint dwOpenFlags, ref Guid riid, out object ppIUnk);

        uint GetCORSystemDirectory(char[] szBuffer, uint cchBuffer, out uint pchBuffer);

        uint FindAssembly(string szAppBase, string szPrivateBin, string szGlobalBin, string szAssemblyName, char[] szName, uint cchName, out uint pcName);

        uint FindAssemblyModule(string szAppBase, string szPrivateBin, string szGlobalBin, string szAssemblyName, string szModuleName, char[] szName, uint cchName, out uint pcName);
    }

    [ComImport, GuidAttribute("7DAC8207-D3AE-4C75-9B67-92801A497D44"), InterfaceType(ComInterfaceType.InterfaceIsIUnknown)]
    interface IMetaDataImport
    {
        void CloseEnum(IntPtr hEnum);

        uint GetScopeProps(char[] szName, uint cchName, out uint pchName, ref Guid pmvid);

        uint GetTypeRefProps(uint tr, out uint ptkResolutionScope, char[] szName, uint cchName, out uint pchName);

        uint ResolveTypeRef(uint tr, ref Guid riid, out object ppIScope, out uint ptd);

        uint EnumMethods(ref IntPtr phEnum, uint cl, uint[] rMethods, uint cMax, out uint pcTokens);

        uint GetMethodProps(uint mb, out uint pClass, char[] szMethod, uint cchMethod, out uint pchMethod, out uint pdwAttr, out IntPtr ppvSigBlob, out uint pcbSigBlob, out uint pulCodeRVA, out uint pdwImplFlags);

        uint GetMemberRefProps(uint mr, out uint ptk, char[] szMember, uint cchMember, out uint pchMember, out IntPtr ppvSigBlob, out uint pbSigBlob);

        // for brevity, the rest of the methods are omitted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uid clsid = new Guid("E5CB7A31-7512-11D2-89CE-0080C792E5D8");

            Type dispenserType = Type.GetTypeFromCLSID(clsid);
            object dispenser = Activator.CreateInstance(dispenserType);

            var dispenserEx = dispenser as IMetaDataDispenserEx;

            Guid metaDataImportGuid = new Guid("7DAC8207-D3AE-4c75-9B67-92801A497D44");
            object rawScope;
            uint hr = dispenserEx.OpenScope("ClassLibrary1.dll", 0, ref metaDataImportGuid, out rawScope);
            var import = rawScope as IMetaDataImport;

            Console.WriteLine(import);
        }
    }
}

그런데, dispenserEx.OpenScope 코드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Managed Debugging Assistant 'InvalidVariant' has detected a problem in 'C:\...\ConsoleApplication1\bin\Debug\ConsoleApplication1.exe'.

Additional information: An invalid VARIANT was detected during a conversion from an unmanaged VARIANT to a managed object. Passing invalid VARIANTs to the CLR can cause unexpected exceptions, corruption or data loss.


아마 저 때 당시에는 Managed Debugging Assistant가 해당 변환을 오류로 인식하지 않은 듯 한데... 어쨌든 지금은 명백히 예외를 던지고 있습니다. 릴리스 버전으로 빌드해도 다음과 같이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Runtime.InteropServices.InvalidOleVariantTypeException: Specified OLE variant is invalid.
   at System.StubHelpers.ObjectMarshaler.ConvertToManaged(IntPtr pSrcVariant)
   at ConsoleApplication1.IMetaDataDispenserEx.OpenScope(String szScope, UInt32 dwOpenFlags, Guid& riid, Object& ppIUnk)
   at ConsoleApplication1.Program.Main(String[] args) in C:\...\ConsoleApplication1\Program.cs:line 68

해결책은 간단합니다. ^^ 다음과 같이 OpenScope 메서드에 마샬링 관련 힌트를 주시면 됩니다.

uint OpenScope(string szScope, uint dwOpenFlags, ref Guid riid, [Out, MarshalAs(UnmanagedType.Interface)] out object ppIUnk);

IMetaDataDispenserEx를 이용해 IMetaDataImport를 구했으면 비관리 코드에서 했던 것처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

string path = typeof(ClassLibrary1.Class1).Assembly.Location;
uint hr = dispenserEx.OpenScope(path, 0, ref metaDataImportGuid, out rawScope);
{
    var import = rawScope as IMetaDataImport;
    {
        uint typeDef = 0; //  (uint)typeof(ClassLibrary1.Class1).MetadataToken;
        import.FindTypeDefByName("ClassLibrary1.Class1", 0, out typeDef);

        var hEnum = IntPtr.Zero;
        var methodTokens = new uint[1024];
        var methodName = new char[1024];
        uint len;

        import.EnumMethods(ref hEnum, typeDef, methodTokens, (uint)methodTokens.Length, out len);
        for (var i = 0; i < len; i++)
        {
            uint tmpTypeDef;
            uint attrs;
            var sig = IntPtr.Zero;
            uint sigLen;
            uint rva;
            uint flags;
            uint methodNameLen;
            hr = import.GetMethodProps(methodTokens[i], out tmpTypeDef, methodName, (uint)methodName.Length, out methodNameLen, out attrs, out sig, out sigLen, out rva, out flags);

            var curName = new string(methodName, 0, (int)methodNameLen - 1);
            Console.WriteLine(curName);
        }

        import.CloseEnum(hEnum);

        Marshal.ReleaseComObject(import);
    }

    Marshal.ReleaseComObject(rawScope);
}

Marshal.ReleaseComObject(dispenser);
Marshal.ReleaseComObject(dispenserEx);

(첨부 파일은 위의 소스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16정성태4/26/202116923.NET Framework: 1049. C# - ETW EventListener를 상속받았을 때 초기화 순서파일 다운로드1
12615정성태4/26/202114173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
12614정성태4/24/202118578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613정성태4/23/202116953.NET Framework: 1048.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612정성태4/23/202116718.NET Framework: 1047.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파일 다운로드1
12611정성태4/22/202115539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
12610정성태4/22/202115426.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9정성태4/22/202118098.NET Framework: 1045. C# - 런타임 시점에 이벤트 핸들러를 만들어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8정성태4/21/202118696.NET Framework: 1044. C# - Generic Host를 이용해 .NET 5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2607정성태4/21/202115818.NET Framework: 1043. C# - 실행 시점에 동적으로 Delegate 타입을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6정성태4/21/202121741.NET Framework: 1042. C# - enum 값을 int로 암시적(implicit) 형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605정성태4/18/202117088.NET Framework: 1041. C# - AssemblyID, ModuleID를 관리 코드에서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04정성태4/18/202114998VS.NET IDE: 163. 비주얼 스튜디오 속성 창의 "Build(빌드)" / "Configuration(구성)"에서의 "활성" 의미
12603정성태4/16/202116661VS.NET IDE: 162. 비주얼 스튜디오 - 상속받은 컨트롤이 디자인 창에서 지원되지 않는 문제
12602정성태4/16/202117680VS.NET IDE: 161.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1]
12601정성태4/15/202116729.NET Framework: 1040. C# - REST API 대신 github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2600정성태4/15/202116999.NET Framework: 1039. C# - Kubeconfig의 token 설정 및 인증서 구성을 자동화하는 프로그램
12599정성태4/14/202117718.NET Framework: 1038. C# - 인증서 및 키 파일로부터 pfx/p12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98정성태4/14/202118382.NET Framework: 1037. openssl의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597정성태4/13/202117856개발 환경 구성: 569. csproj의 내용을 공통 설정할 수 있는 Directory.Build.targets / Directory.Build.props 파일
12596정성태4/12/202117209개발 환경 구성: 568. Windows의 80 포트 점유를 해제하는 방법
12595정성태4/12/202117049.NET Framework: 1036. SQL 서버 - varbinary 타입에 대한 문자열의 CAST, CONVERT 변환을 C# 코드로 구현
12594정성태4/11/202116488.NET Framework: 1035. C# - kubectl 명령어 또는 REST API 대신 Kubernetes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를 통해 프로그래밍으로 접근 [1]파일 다운로드1
12593정성태4/10/202117441개발 환경 구성: 567.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ubectl proxy 없이 k8s 대시보드 접근 방법
12592정성태4/10/202116966개발 환경 구성: 566. Docker Desktop for Windows - k8s dashboard의 Kubeconfig 로그인 및 Skip 방법
12591정성태4/9/202120925.NET Framework: 1034. C# - byte 배열을 Hex(16진수) 문자열로 고속 변환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