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570. .NET 4.5부터 추가된 CLR Profiler의 실행 시 Rejit 기능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58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4.5부터 추가된 CLR Profiler의 실행 시 Rejit 기능

닷넷 프로파일러를 개발하는 입장에서, 가장 기다리던 기능이 바로 실행시 Rejit할 수 있는 것이었는데 드디어 .NET 4.5부터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ReJIT: A How-To Guide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davbr/rejit-a-how-to-guide

자세한 것은 위의 글에 다 나오니 생략하고 ^^ 저는 시행 착오 부분을 설명할까 합니다.

우선, Rejit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프로파일러가 CLR에게 SetEventMask 메서드를 통해 COR_PRF_ENABLE_REJIT을 설정해야 합니다.

COR_PRF_MONITOR Enumeration - COR_PRF_ENABLE_REJIT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unmanaged-api/profiling/cor-prf-monitor-enumeration

DWORD dwEventMask = ... | COR_PRF_ENABLE_REJIT;

HRESULT hr = corProfilerInfo2->SetEventMask(m_dwEventMask);

그런데, 저렇게만 하는 경우 hr == 0x8013137C 오류 코드가 반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검색해 보면 다음의 도움말을 찾을 수 있는데,

0x8013137C
; https://github.com/dotnet/coreclr/blob/master/src/inc/corerror.xml

<HRESULT NumericValue="0x8013137C"> 
<SymbolicName>CORPROF_E_REJIT_NOT_ENABLED</SymbolicName> 
<Comment> This call is not supported unless ReJIT is first enabled during initialization by setting COR_PRF_ENABLE_REJIT via SetEventMask. </Comment> 
</HRESULT> 

아쉽게도 오류 메시지에서는 별다른 해결의 힌트를 얻을 수 없었고, 대신 COR_PRF_ENABLE_REJIT의 도움말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를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Enables calls to the RequestReJIT and RequestRevert methods. The profiler must set this flag on startup. If the profiler specifies this flag, it must also specify COR_PRF_DISABLE_ALL_NGEN_IMAGES.


그렇습니다. SetEventMask에 설정할 때 "COR_PRF_ENABLE_REJIT | COR_PRF_DISABLE_ALL_NGEN_IMAGES"와 같이 함께 값을 설정해 주어야 하는 것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저 문제는 .NET 4.5에서 발생하고 (정확한 버전은 테스트를 해봐야 하지만 확실하게는) .NET 4.6.1에서는 COR_PRF_DISABLE_ALL_NGEN_IMAGES 옵션을 주지 않아도 잘 됩니다. 즉 개선이 된 것입니다. 따라서, COR_PRF_DISABLE_ALL_NGEN_IMAGES에 대한 부하를 4.6.1에서 없애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SetEventMask를 호출해 주시면 됩니다.

// 일단 COR_PRF_ENABLE_REJIT 옵션만 설정해 보고,
m_dwEventMask |= COR_PRF_ENABLE_REJIT;
hr = m_pICorProfilerInfo2->SetEventMask(m_dwEventMask);

if (hr != S_OK)
{
    // 오류가 발생했을 때에 한해 COR_PRF_DISABLE_ALL_NGEN_IMAGES 옵션도 함께 설정
    {
        DWORD dwEventMask = m_dwEventMask | COR_PRF_DISABLE_ALL_NGEN_IMAGES;
        hr = m_pICorProfilerInfo2->SetEventMask(dwEventMask);
    }
}

물론, 프로파일러 스스로 .NET 4.5와 4.6.1 버전을 인식할 수 있다면 그에 맞게 처리해주셔도 됩니다.




한 가지 더 설명할 것이 있는데, 바로 Rejit시킨 메서드를 다시 원본 메서드로 복원하고 싶을 때 호출하는 RequestRevert에 대해서입니다.

ICorProfilerInfo4::RequestRevert 메서드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unmanaged-api/profiling/icorprofilerinfo4-requestrevert-method

이를 호출한 경우, 0x8013137D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ICorProfilerInfo4 ptr = ...;
HRESULT hr = ptr->RequestRevert(count, modIDs, methodDefIDs, hrArray);
// hr == 0x8013137D

다행히 이번에는 검색해 보면 답이 나옵니다. ^^

<HRESULT NumericValue="0x8013137D"> 
<SymbolicName>CORPROF_E_ACTIVE_REJIT_REQUEST_NOT_FOUND</SymbolicName> 
<Comment> Could not revert the specified method, because a corresponding active ReJIT request was not found. Either the method was never requested to be reJITted OR the method was already reverted. </Comment> 
</HRESULT> 

보시는 바와 같이, Revert를 시키려면 반드시 그 메서드가 이전에 한번 RequestReJIT으로 요청된 적이 있었어야 합니다.

ICorProfilerInfo4::RequestReJIT 메서드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unmanaged-api/profiling/icorprofilerinfo4-requestrejit-method

이게 일면 당연하게 생각될 수도 있는데요. 하지만 .NET Profiler가 IL 코드를 변경하는 시점을 이전의 버전에서 JITCompilationStarted로 제공했기 때문에,

ICorProfilerCallback::JITCompilationStarted 메서드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framework/unmanaged-api/profiling/icorprofilercallback-jitcompilationstarted-method

이 때 변경한 메서드에 대해서는 RequestRevert가 0x8013137D 반환만 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 프로파일러 제작자라면 Rejit 및 Revert를 모두 구현하고 싶은 경우 JITCompilationStarted 시점의 IL 코드 변경을 재고해 봐야 합니다.




참고로, 제니퍼 4 닷넷 에이전트는 CLR Profiler 기능을 이용해 만든 것인데요. 새로운 메서드를 프로파일링하려고 하면 아쉽지만 설정 후 w3wp.exe를 재시작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신규 버전으로 새로 출시된 제니퍼 5 닷넷 에이전트부터는 Rejit과 Revert 기능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실행 시에 새로운 메서드에 대한 프로파일링 추가/삭제가 가능해졌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6/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54정성태5/31/201326330Java: 15. Java 7 Control Panel 실행시키는 방법
1453정성태5/22/201325356기타: 32. Microsoft FTP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1452정성태5/21/201333074Windows: 73. TabProcGrowth 값 삭제 후 IE를 실행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경우 [3]
1451정성태5/17/201331985Windows: 72. 윈도우 서버 2012 기초 사용법
1450정성태5/16/201322747오류 유형: 176. SQL10007N Message "0" could not be retrieved. Reason code: "3"
1449정성태5/15/201329847오류 유형: 175. SpeechRecognitionEngine 사용 시 오류 유형 2가지
1448정성태5/14/201324840VC++: 68. #pragma warning(disable: ...)로 오류 제어가 안된다면?
1447정성태5/3/201326528개발 환경 구성: 191. Debugging Tools for Windows 독립 설치 버전 [1]
1446정성태4/30/201327339.NET Framework: 368. Encoding 타입의 대체(fallback) 메카니즘 [1]
1445정성태4/26/201325562디버깅 기술: 54. NT 서비스의 Main 메서드 안에서 Process.GetProcessesByName 호출 시 멈춤 현상 [1]
1444정성태4/26/201329571기타: 31. Internet Explorer: 자바스크립트로 숨겨진 파일 다운로드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
1443정성태4/24/201325255개발 환경 구성: 190. Azure PaaS 웹 응용 프로그램 배포 후 SMTP 서버 구성 [2]
1442정성태4/21/201328817기타: 30.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의 CPU 점유 현상으로 글자 입력이 느려졌다면? [1]
1441정성태4/21/201335420.NET Framework: 367.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14]
1440정성태4/19/201324165오류 유형: 174. dumpbin.exe 실행시 mspdb110.dll 로드 오류
1439정성태4/18/201328017VS.NET IDE: 76. Visual Studio 2012와 Itanium 빌드 옵션 [2]
1438정성태4/17/201327441.NET Framework: 366.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437정성태4/17/201327673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1436정성태4/17/201333054.NET Framework: 365. Local SYSTEM 권한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35정성태4/15/201341924Windows: 71. ad-hoc 보다 더 편리한 "가상 Wifi" 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2]
1434정성태4/9/201323218오류 유형: 173. TFS 서버의 이벤트 로그 오류 - WebHost failed to process a request. Parameter name: certificate
1433정성태4/9/201323530개발 환경 구성: 189. TFS에 설치된 SharePoint 의 PowerShell 콘솔 띄우는 방법
1432정성태4/5/201324540오류 유형: 172. System.Web.PipelineModuleStepContainer.GetEventCount 에서 NullReferenceException 이 발생한다면?
1431정성태4/5/201325150기타: 29. 부팅 가능한 (외장) HDD를 기존 부팅 메뉴에 추가하는 방법
1430정성태4/4/201327036제니퍼 .NET: 23. 모바일용 웹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응답 시간 지연 현상 [5]파일 다운로드1
1429정성태3/29/201323390개발 환경 구성: 188. SCOM 2012 - ASP.NET 모니터링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