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디버깅 기술: 77. windbg의 콜스택 함수 인자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52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74. x64 콜 스택 인자 추적과 windbg의 Child-SP, RetAddr, Args to Child 값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0832

디버깅 기술: 77. windbg의 콜스택 함수 인자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0934

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48

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1349

디버깅 기술: 111. windbg - x86 메모리 덤프 분석 시 닷넷 메서드의 호출 인자 값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1451

디버깅 기술: 128. windbg - x64 환경에서 닷넷 예외가 발생한 경우 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던 사례
; https://www.sysnet.pe.kr/2/0/11991

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069

디버깅 기술: 172. windbg - 파일 열기 시점에 bp를 걸어 파일명 알아내는 방법(Managed/Unmanaged)
; https://www.sysnet.pe.kr/2/0/12377

디버깅 기술: 181. windbg - 콜 스택의 "Call Site" 오프셋 값이 가리키는 위치
; https://www.sysnet.pe.kr/2/0/12750




windbg의 콜스택 함수 인자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

재미있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독립 실행형 COM+ 응용 프로그램의 메서드를 호출했더니 호출 측의 스레드가 멈춰버린 것입니다. 도대체 스레드가 왜 멈춰버린 것일까요? 이를 확인하기 위해 windbg로 dllhost.exe에 연결해 콜 스택을 확인했습니다.

0:012> ~*kv

...[생략]...

   1  Id: 339c.2874 Suspend: 1 Teb: 7ffdc000 Unfrozen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9f1dc4 7c827519 773d7a4b 50000018 00000004 ntdll!KiFastSystemCallRet (FPO: [0,0,0])
009f1dc8 773d7a4b 50000018 00000004 00000003 ntdll!ZwRaiseHardError+0xc (FPO: [6,0,0])
009f1e24 773b8377 009f2758 1018e1d8 00012012 USER32!ServiceMessageBox+0x145 (FPO: [Non-Fpo])
009f1f80 7739eec9 009f1f8c 00000028 00000000 USER32!MessageBoxWorker+0x13e (FPO: [Non-Fpo])
009f1fd8 7739ee65 00000000 009f2758 1018e1d8 USER32!MessageBoxTimeoutW+0x7a (FPO: [Non-Fpo])
009f1ff8 7739ee41 00000000 009f2758 1018e1d8 USER32!MessageBoxExW+0x1b (FPO: [Non-Fpo])
009f2014 100fcf2c 00000000 009f2758 1018e1d8 USER32!MessageBoxW+0x45 (FPO: [Non-Fpo])
WARNING: Stack unwind information not available. Following frames may be wrong.
...[생략]...
009fdf7c 791b77cd 00fd7390 009fe010 00000000 mscorsvr!MakeJitWorker+0x21e (FPO: [Non-Fpo])
...[생략]...
009fffec 00000000 77c7b023 000a1560 00000000 kernel32!BaseThreadStart+0x34 (FPO: [Non-Fpo])

...[생략]...

# 12  Id: 339c.25b4 Suspend: 1 Teb: 7ffdd000 Unfrozen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6bffc8 7c83fb38 00000005 00000004 00000001 ntdll!DbgBreakPoint (FPO: [0,0,0])
006bfff4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ntdll!DbgUiRemoteBreakin+0x36 (FPO: [Non-Fpo])

세상에... COM+ 메서드에서 메시지 박스가 수행된 것입니다. COM+ 응용 프로그램을 호스팅하는 dllhost.exe는 서비스 사용자 권한(LOCAL SERVICE)으로 실행중이기 때문에 세션이 달라 사용자의 interactive 데스크톱이 아닌, 그저 보여지지만 않을 뿐 저 세션 너머에서 띄워져 스레드를 blocking하고 있는 것입니다.

궁금한 것은 도대체 저 MessageBox에 전달된 인자가 뭐냐는 것이죠?!!




실력있는 분들은 금방 아실 수 있지만... 이런 경우 windbg 초보인 분들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팁을 전달해 드릴까합니다. 방법은 간단한데, 단순한 유형의 콘솔 프로그램을 만들고 동일한 상황을 재현하면 됩니다. 가령 MessageBox라면 다음과 같이 C/C++ 코드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include "stdafx.h"
#include <Windows.h>

int main()
{
    ::MessageBox(NULL, L"TEST_Text", L"Test_Caption", MB_OK);
    return 0;
}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windbg로 붙여 역시 같은 방법으로 콜 스택을 확인합니다.

0:004> ~*kv

   0  Id: 20b4.4da0 Suspend: 1 Teb: 003bc000 Unfrozen
 #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 0019f628 746299d9 00000000 00000000 00000000 USER32!NtUserWaitMessage+0xc (FPO: [0,0,0])
01 0019f670 74629804 00000000 00000000 00000000 USER32!DialogBox2+0x13c (FPO: [Non-Fpo])
02 0019f6a0 74681666 00000000 7467f510 0019f8e8 USER32!InternalDialogBox+0x104 (FPO: [Non-Fpo])
03 0019f76c 7468053a 0019f8e8 008d6b50 00000000 USER32!SoftModalMessageBox+0xea6 (FPO: [1,41,4])
04 0019f8d0 7468025c 0019fa70 0019f9a4 003b9000 USER32!MessageBoxWorker+0x299 (FPO: [Non-Fpo])
05 0019f950 7467ffcb 00000000 008d6b50 008d6b30 USER32!MessageBoxTimeoutW+0x6c (FPO: [6,27,4])
06 0019f970 74680298 00000000 008d6b50 008d6b30 USER32!MessageBoxExW+0x1b (FPO: [Non-Fpo])
*** WARNING: Unable to verify checksum for C:\...\Debug\msgboxShow.exe
07 0019f98c 008d16d4 00000000 008d6b50 008d6b30 USER32!MessageBoxW+0x18 (FPO: [Non-Fpo])
08 0019fa70 008d1dde 00000001 00593980 00599640 msgboxShow!main+0x34 (FPO: [Non-Fpo]) (CONV: cdecl) [c:\...\msgboxshow.cpp @ 9]
09 0019fa84 008d1c2a def28cab 008d1046 008d1046 msgboxShow!invoke_main+0x1e (FPO: [Non-Fpo]) (CONV: cdecl) [f:\...\exe_common.inl @ 64]
0a 0019fadc 008d1abd 0019faec 008d1df8 0019fb00 msgboxShow!__scrt_common_main_seh+0x15a (FPO: [Non-Fpo]) (CONV: cdecl) [f:\...\src\startup\exe_common.inl @ 255]
0b 0019fae4 008d1df8 0019fb00 763f38f4 003b9000 msgboxShow!__scrt_common_main+0xd (FPO: [Non-Fpo]) (CONV: cdecl) [f:\...\src\startup\exe_common.inl @ 300]
0c 0019faec 763f38f4 003b9000 763f38d0 03cefbb7 msgboxShow!mainCRTStartup+0x8 (FPO: [Non-Fpo]) (CONV: cdecl) [f:\...\startup\exe_main.cpp @ 17]
0d 0019fb00 77835de3 003b9000 bda21586 00000000 KERNEL32!BaseThreadInitThunk+0x24 (FPO: [Non-Fpo])
0e 0019fb48 77835dae ffffffff 7785b7c6 00000000 ntdll!__RtlUserThreadStart+0x2f (FPO: [SEH])
0f 0019fb58 00000000 008d1046 003b9000 00000000 ntdll!_RtlUserThreadStart+0x1b (FPO: [Non-Fpo])

...[생략]...

#  4  Id: 20b4.6e98 Suspend: 1 Teb: 003c8000 Unfrozen
 #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 0235fa9c 77879d59 bf8e1402 77879d20 77879d20 ntdll!DbgBreakPoint (FPO: [0,0,0])
01 0235facc 763f38f4 00000000 763f38d0 01e2fa57 ntdll!DbgUiRemoteBreakin+0x39 (FPO: [Non-Fpo])
02 0235fae0 77835de3 00000000 bf8e15e6 00000000 KERNEL32!BaseThreadInitThunk+0x24 (FPO: [Non-Fpo])
03 0235fb28 77835dae ffffffff 7785b7c6 00000000 ntdll!__RtlUserThreadStart+0x2f (FPO: [SEH])
04 0235fb38 00000000 77879d20 00000000 00000000 ntdll!_RtlUserThreadStart+0x1b (FPO: [Non-Fpo])

7번 프레임이 사용자 코드에서 호출한 MessageBox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의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07 0019f98c 008d16d4 00000000 008d6b50 008d6b30 USER32!MessageBoxW+0x18 (FPO: [Non-Fpo])

ChildEBP = 0x0019f98c
RetAddr = 0x08d16d4
Args To Child = 00000000 008d6b50 008d6b30

간단하게는 "Args To Child"에 보여지는 값을 조사해야 할 시작점으로 잡으면 됩니다. 메시지 박스의 경우 전달된 문자열을 알아낼 것이기 때문에 "du" 명령어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0:004> du 008d6b50
008d6b50  "TEST_Text"

0:004> du 008d6b30
008d6b30  "Test_Caption"

참 쉽죠~~~ ^^

인자가 많아 3개 이상이 되어 "Args To Child" 목록에 나오지 않아도 상관없습니다. ChildEBP 지점의 스택 메모리를 조사해 "Args To Child"에 나오는 인자 목록을 찾으면 그 근방의 값들이 나머지 인자에 해당하기 때문에 원하는 인자의 값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 찾아낼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런 식의 간단한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싶지 않다면 콜 스택을 추적하는 기술을 익히시면 됩니다. 가령 x64의 경우라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추적할 수 있습니다.

x64 콜스택 인자 추적과 windbg의 Child-SP, RetAddr, Args to Child 값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0832

저 과정이 싫은 분들은 그냥 이 글대로 하시면 됩니다. ^^




간단한 프로그램을 이용해 특정 인자가 어디 있는지 확인을 했으면, 이제 문제가 되는 프로그램으로 다시 돌아가 보겠습니다. COM+를 호스팅하고 있는 dllhost.exe를 windbg로 연결해 구한 호출 스택을 다시 보면 이제는 제법 친숙한 느낌이 들 것입니다. ^^

0:012> ~*kv

...[생략]...

   1  Id: 339c.2874 Suspend: 1 Teb: 7ffdc000 Unfrozen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9f1dc4 7c827519 773d7a4b 50000018 00000004 ntdll!KiFastSystemCallRet (FPO: [0,0,0])
009f1dc8 773d7a4b 50000018 00000004 00000003 ntdll!ZwRaiseHardError+0xc (FPO: [6,0,0])
009f1e24 773b8377 009f2758 1018e1d8 00012012 USER32!ServiceMessageBox+0x145 (FPO: [Non-Fpo])
009f1f80 7739eec9 009f1f8c 00000028 00000000 USER32!MessageBoxWorker+0x13e (FPO: [Non-Fpo])
009f1fd8 7739ee65 00000000 009f2758 1018e1d8 USER32!MessageBoxTimeoutW+0x7a (FPO: [Non-Fpo])
009f1ff8 7739ee41 00000000 009f2758 1018e1d8 USER32!MessageBoxExW+0x1b (FPO: [Non-Fpo])
009f2014 100fcf2c 00000000 009f2758 1018e1d8 USER32!MessageBoxW+0x45 (FPO: [Non-Fpo])
WARNING: Stack unwind information not available. Following frames may be wrong.
...[생략]...
009fdf7c 791b77cd 00fd7390 009fe010 00000000 mscorsvr!MakeJitWorker+0x21e (FPO: [Non-Fpo])
...[생략]...
009fffec 00000000 77c7b023 000a1560 00000000 kernel32!BaseThreadStart+0x34 (FPO: [Non-Fpo])

...[생략]...

# 12  Id: 339c.25b4 Suspend: 1 Teb: 7ffdd000 Unfrozen
ChildEBP RetAddr  Args to Child              
006bffc8 7c83fb38 00000005 00000004 00000001 ntdll!DbgBreakPoint (FPO: [0,0,0])
006bfff4 00000000 00000000 00000000 00000000 ntdll!DbgUiRemoteBreakin+0x36 (FPO: [Non-Fpo])

이전에 해봤기 때문에 "Args To Child"의 두 번째 항목이 MessageBox의 Text 인자임을 알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자신있게 ^^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0:012> du 009f2758 
009f2758  "Assertion failed!..Program: d:\."
009f2798  "................................"
009f27d8  "............[생략].............."
009f2818  "................................"
009f2858  ".test.cpp.Line: 660..Expression: ""
009f2898  "............[생략].............."
009f28d8  ".."..For information on how your"
009f2918  " program can cause an assertion."
009f2958  "failure, see the Visual C++ docu"
009f2998  "mentation on asserts..(Press Ret"
009f29d8  "ry to debug the application - JI"
009f2a18  "T must be enabled)"

그렇습니다. assert 코드로 인해 메시지 박스가 뜬 것이었고 친절하게 코드의 파일과 라인 번호까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

(사실, 예제 상황이 현실적이지가 않습니다. 그냥 간단한 재현과정없이 무조건 "Args To Child"의 인자 목록을 확인해도 될 사례이니까요~~~!)

참고로, 이 글의 문제 상황 같은 경우 현재 로그인 사용자 세션 너머의 데스크톱 화면을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해도 됩니다.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8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1-10-29 11시20분
[이승은]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guest]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83정성태12/4/201723405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1]
11382정성태12/4/201721945오류 유형: 436.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Connection Timeout Expired 예외 발생 시 "[Pre-Login] initialization=48; handshake=1944;" 값의 의미
11381정성태11/30/201718439.NET Framework: 702.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380정성태11/30/201718477디버깅 기술: 109. windbg - (x64에서의 인자 값 추적을 이용한) Thread.Abort 시 대상이 되는 스레드를 식별하는 방법
11379정성태11/30/201719140오류 유형: 435. System.Web.HttpException - Session state has created a session id, but cannot save it because the response was already flushed by the application.
11378정성태11/29/201720640.NET Framework: 701.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377정성태11/29/201719890.NET Framework: 700. CommonOpenFileDialog 사용 시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376정성태11/28/201724283VS.NET IDE: 123. Visual Studio 편집기의 \r\n (crlf) 개행을 \n으로 폴더 단위로 설정하는 방법
11375정성태11/28/201719084오류 유형: 434. Visual Studio로 ASP.NET 디버깅 중 System.Web.HttpException - Could not load type 오류
11374정성태11/27/201724176사물인터넷: 14.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1]
11373정성태11/27/201723172오류 유형: 433.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11372정성태11/25/201726136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19837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19842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1824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27449.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27496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19136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1381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3340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3389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19754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2572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2437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1931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26710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